• Title/Summary/Keyword: 무작위법

Search Result 38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Object Detection Using Combined Random Fern for RGB-D Image Format (RGB-D 영상 포맷을 위한 결합형 무작위 Fern을 이용한 객체 검출)

  • Lim, Seung-Ouk;Kim, Yu-Seon;Lee, Si-Wo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9
    • /
    • pp.451-459
    • /
    • 2016
  • While an object detection algorithm plays a key role in many computer vision applications, it requires extensive computation to show robustness under varying lightning and geometrical distortions. Recently, some approaches formulate the problem in a classification framework and show improved performances in object recognition. Among them, random fern algorithm drew a lot of attention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and high recognition rates. However, it reveals performance degradation under the illumination changes and noise addition, since it computes patch features based only on pixel intens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tructure of combined random fern which incorporates depth information into the conventional random fern reflecting 3D structure of the patch. In addition, a new structure of object tracker which exploits the combined random fern is also introduced.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superior performance of object detection under illumination change and noisy condi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s.

A Pollutant Transport Model by the Forward-Tracking Method (전방추적법에 의한 오염물질의 전송 모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0 no.1
    • /
    • pp.37-44
    • /
    • 1998
  • In this study a new hybrid method is developed for solving flow-dominated transport problems accurately and effectively. The method takes the forward-tracking particle method for advection. However, differently from the random-walk Lagrangian approach it solves the diffusion process on the fixed Eulerian grids. Therefore, neither any interpolating algorithm nor a large enough number of particles is required. The method was successfully examined for both cases of instantaneous and continuous sources released at a point. Comparison with a surrounding 5-point Hermite polynomial method (Eulerian-Lagrangian method) and the random-walk pure Lagrangian method shows that the present method is superior in result accuracy and time-saving ability.

  • PDF

Q-factor Estimation of Seismic Trace Including Random Noise using Peak Frequency-Shift Method (무작위 잡음이 포함된 탄성파 트레이스로부터 Peak Frequency-Shift 방법을 이용한 Q-factor 추정)

  • Kwon, Junseok;Chung, Wookeen;Ha, Jiho;Shin, Sungryul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1 no.1
    • /
    • pp.54-60
    • /
    • 2018
  • The data acquired from seismic exploration can be used to detect the existence of oil and gas resources through appropriate processing and interpretation. The seismic attributes indicating the existence of resources are extracted from amplitude information, where the Q-factor representing intrinsic attenuation plays an useful role of hydrocarbon indicator. So, the accuracy of Q-factor estimation is very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resources.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Q-factor and analyzed the error rate through a numerical example. To mimic real data, random noise was added to the synthetic data. With the noise-added data, the Q-factor was estimated and the error rate was analyzed by using the spectral ratio method (SRM) and peak frequency shift method (PFSM). Both methods provided a relatively accurate Q-factor when the signal-to-noise ratio was 90 dB. However, the peak frequency shift method (PFSM) produced better results than the spectral ratio method (SRM) as the level of random noise increased.

Error Analysis of Equivalence Ratio using Bayesian Statistics (베이지안 확률기법을 이용한 당량비 오차분석에 관한 연구)

  • Ahn, Joongki;Park, Ik Soo;Lee, Ho-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2 no.2
    • /
    • pp.131-137
    • /
    • 2018
  • This paper analyzes the probability of failure for the equivalence ratio error. The control error of the equivalence ratio is affected by the aleatory and epistemic uncertainties. In general, reliability analysis techniques are easily incorporated to handle the aleatory uncertainty. However, the epistemic uncertainty requires a new approach, as it does not provide an uncertainty distribution. The Bayesian inference incorporates the reliability analysis results to handle both uncertainties. The result gives a distribution of failure probability, whose equivalence ratio does not meet the requirement. This technique can be useful in the analysis of most engineering systems, where the aleatory and epistemic uncertainties exist simultaneously.

Investigating Uncertainty in Flow Measurement and Developing Rating Curves (유량측정시 불확실성의 검토와 수위-유량곡선식의 개발)

  • Lee, Kil Seong;Lee, Ky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242-124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유속계와 봉부자를 동한 측정값의 불확실성를 검토한 후, 한강의 7개 지류의 실측 자료들의 불확실성을 ISO 규정을 통하여 추정하였다. Simulated Annealing 기법과 황금비 분할법을 이용한 비선형회귀식을 적용하여 기존의 수위-유량 곡선식자 비교해보았다. 불확실성 추정결과 유량 측정치들의 불확실성이 ISO 규정의 기준에 비해 높게 추정되었으며, 특히 무작위 오차와 계통 오차 중에 무작위 오차의 불착실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존 수위-유량곡선식과 Simulated Annealing 기법과 황금비 분할법을 이용한 방법을 비교해본 결과 황금비 분할법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이때 수위-유량곡선식의 영수위값을 황금비 분할법을 이용해 구한 후 비교해 본 결과는 기존의 선형회귀방법과 비선형방법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곡선 분리시에는 하나의 수위-유량곡선일때보다 오차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 PDF

Filling in Hydrological Missing Data Using Imputation Methods (Imputation Method를 활용한 수문 결측자료의 보정)

  • Kang, Tae-Ho;Hong, Il-Pyo;K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54-1259
    • /
    • 2009
  • 과거 관측된 수문자료는 분석을 통해 다양한 수문모형의 평가 및 예측과 수자원 정책결정에서 활용된다. 하지만 관측장비의 오작동 및 관측범위의 한계에 의해 수집된 자료에는 결측이 존재한다. 단순히 결측이 존재하는 벡터를 제외하거나, 결측이 존재하는 자료 구간에 선형성이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평균을 활용하기도 했으나, 이로 인하여 자료의 통계특성에 왜곡이 야기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결측의 보정으로 자료가 보유하는 정보의 손실 및 왜곡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자료의 결측은 크게 완벽한 무작위 결측(missing completely at random, MCAR), 무작위 결측(missing at random, MAR), 무작위성이 없는 결측(nonrandom missingness)으로 분류되며, 수문자료는 결측을 포함한 기간이 그 외 기간의 자료와 통계적으로 동일하지는 않지만 결측자료의 추정이 가능한 MAR에 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를 가정으로 결측을 보정하였다. Local Lest Squares Imputation(LLSimput)을 결측의 추정을 위해 사용하였으며, 기존에 쉽게 사용되던 선형보간법과 비교하였다. 적용성 평가를 위해 소양강댐 일 유입량 자료에 1 - 5 %의 결측자료를 임의로 생성하였다. 동일한 양의 결측자료에 대해 100개의 셋을 사용하여 보정의 불확실성 범위를 적용된 방법에 대해 비교..평가하였으며, 결측 증가에 따른 보정효과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Normalized Root Mean Squared Error(NRMSE)를 사용하여 적용된 두 방법을 평가한 결과, (1) 결측자료의 비가 낮을수록 간단한 선형보간법을 사용한 보정이 효과적이었다. (2) 하지만 결측의 비가 증가할수록 선형보간법의 보정효과는 점차 큰 불확실성과 낮은 보정효과를 보인 반면, (3) LLSimpute는 결측의 증가에 관계없이 일정한 보정효과 및 불확실성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 PDF

도계육의 시료 채취방법에 따른 세균의 검출량 비교

  • Yun, Hye-Suk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8 no.1
    • /
    • pp.127-135
    • /
    • 2005
  •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10주 미만의 식용 영계육을 처리하는 공정에서 25 그룹의 내장적출하지 않은 것 또는 내장적출한 도계육을 도계공정의 네지점에서 채취하였다. 도계 공정 각 지점의 계육으로부터 무작위로 선택된 부위에서 껍질을 잘라낸 것, 목의 껍질을 잘라낸 것,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스폰지 재질의 스왑봉으로 계육을 스왑법으로 채취한 것, 또는 도계육을 통째로 세척한 세척액이다. 총균수, 대장균군, 대장균을 각 시료로부터 증균하였다. 사방 1 cm 안의 평균 로그값(log A)과 사방 25cm안에서 측정된 전체 측값치들의 로그값(N)은각 그룹 당 25개였다. 동일한 처리공정 단계에서 얻은 계육으로부터 얻은 같은 그룹의 세균의 측정값의 경우에, 무작위로 선택한 부위에서 잘라낸 껍질 또는 목에서 벗겨낸 껍질, 세척액 샘플에서 측정한 균수의 집합인 N의 세 값 또는 log A의 세 값은 <0.5 logunit 차이였다.그러나 스왑법으로 측정한 사방 1 cm안의 평균로그값(log A)과 사방 25 cm 안에서 측정된 전체측정치의 로그값(N)의 대략 절반이 다른 방법들로 측정한 동일한 측정항목의 값과 >0.5 log unit 까지 차이가 났다. 이런 결과로부터 도계육에서 무작위로 선택한 부위나 목에서 껍질을 잘라내는 방법, 또는 세척액 채취 등의 샘플링 방법은 도계육 표면의 단위영역 당 유사한 양의 세균이 검출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 PDF

The Assessment of Reporting Interventions i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Acupuncture according to the STRICTA Recommendation (STRICTA 권고안에 따른 침 효과에 대한 무작위 대조군 임상 시험 논문의 개업 보고에 대한 평가)

  • Son, Chi-Hyoung;Cho, Sung-Il;Park, Hi-Joon;Moon, Sung-Il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v.23 no.2
    • /
    • pp.59-67
    • /
    • 2006
  • 목 적 : Pubmed에서 검색된 침의 효과에 대한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논문에서 STRICTA 권고안의 반영률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 방 법 : Pubmed에서 2003 년 7 월 1 일부터 2004 년 6 월 30 일까지 발간된 침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 논문을 검색 한 후 수작업으로 침의 효과에 대해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을 실시한 36 개의 논문을 채택하였다 .대상논문들의 저널, 대상 질병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Jadad scale 접수를 매기고 STRICT A 권고안의 반영률을 ‘STRICTA 접수’를 매겨서 알아보았다. 논문이 SCI, SCIE, 무등재된 저널 중 어디에 실려 있는가에 따라 ANOVA 를 사용하여 Jadad 점 수 및 STRICTA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단순상관 분석을 통해 STIRCT A 점수와 Jadad scale 접수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결 과 : Jadad scale 접수의 평균은 2.6점 이었으며 STRICTA 접수의 평균은 11.0점 이었다. 36편의 침 무작위 임상시험논문에서 다음의 6가지 항목 - 문현적 근거, 자침 깊이, 함께 처치한 내용, 시술자 배경, 참가자의 맹검여부. 대조군 선택을 정당화 할 수 있는 근거-의 기술율은 50% 미만이었다. SCI, SOE, 무둥재된 것에 따라 논문들의 Jadad 접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STRICTA 점수 평균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STRICTA 점수와 Jadad scale 점수 간에는 아무런 관계가 없었다. 결 론 :36 편의 침 임상시험 논문은 STRICTA 권고안의 많은 부분을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STRICTA 권고안을 받아들이는 정도는 Jadad 점수와는상관이 없었다.

  • PDF

Development of Real-time Simultaneous Discharge Algorithm for Randomly Feeding Object (무작위 이송 개체용 실시간 동시 배출 알고리즘 개발)

  • Kim, S. C.;Hwang, H.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4 no.2
    • /
    • pp.145-152
    • /
    • 1999
  • Methods of discharging each graded agricultural product are divided into two according to the type of feeding. One is based on feeding objects using a series of specially designed holders mounted with an equal interval. The other is randomly feeding objects while being isolated without a specific interval. In this paper, a real time simultaneous discharge algorithm, which is good for objects randomly fed individually and for multi-objects located along a series of discharge buckets, was developed. And the developed algorithm was implemented to the controller and the performance was verified using the system developed for dried mushrooms. The discharge system used for the experiment was composed of a variable speed conveyor, a series of double channel bucket mounted along both sides of the conveyor, and a series of air nozzles and optic sensors. Developed algorithm worked perfectly and could be directly used for automatic discharge system for randomly feeding agricultural products.

  • PDF

Comparative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Stand Volume (임분재적(林分材積) 추정(推定)에 관(關)한 비교연구(比較硏究))

  • Lee, Jong La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46 no.1
    • /
    • pp.29-43
    • /
    • 1980
  • The sampling methods selected for this area was (1) Simple random sampling (2) Systematic sampling and (3) Sub-sampling. For the calculation of the number of sampling plot, 10 %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adapted. As a result, 57 plots each for simple random sampling and systematic sampling was calculated. In the sub-sampling method, however, total of 40 plots, which were consisted of 5 Blocks, secondary 4 major units and tertiary 2 minor units, were examined. The reus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rate of expected error was 9.24% for simple random sampling, 8.36% for systematic sampling and 7.54% for sub-sampling, respectively. Therefore, the sub-sampling was proved to be the most accurate method among the test. 2. The volume calculated by each sampling method was compared to the volume of all stand. The rate of expected error was also lowest in the sub-sampling (0.39%), followed by systematic sampling (4.18%) and simple random sampling (7.92%). 3. Comparing the various reuslts and analysis of these results, the sub-sampling was regarded as the most rapid and economical method because this method had not only the least number of plots but also the least expected error among the tested sampling methods Therefore the sub-sampling is proved to be an ideal sampling method for forest surve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