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인기

Search Result 1,10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velopment of Collision Avoidance System based on TCAS II for Smart UAV (TCAS II를 이용한 스마트무인기용 충돌회피시스템 개발)

  • Lee, Hyeon-Cheol;Kim, Seung-Ju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5 no.2
    • /
    • pp.248-257
    • /
    • 2006
  • There will come someday when UAUs can fly into the airspace of manned aircraft in the near future because of the increasing number of operational UAUs together with technologies development. Since pilots of UAVs are on the gound, the equipment for sensing and avoiding obstacles in front is indispensable. In this paper, we analyze functions and interfaces of TCAS II, a collision avoidance device for manned aircraft, then find out whether it is suitable for the collision avoidance device for UAV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it, if any. It turns out to be that the onboard directional antenna of TCAS II does not provide a precise directional information, and that the TCAS II is not assumed to be installed alone, but used as supplementary with other device which provides the better precision.

  • PDF

Development of Portable GCS for UAV (이동형 무인항공기 지상통제 시스템 개발)

  • Choe, Seong-Min;Park, Beom-Jin;Kim, Jung-Uk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5.11a
    • /
    • pp.47-49
    • /
    • 2015
  • 무인항공기는 일반 유인항공기와는 다르게 크기의 제한이 없다. 또한 작은 사이즈의 무인항공기는 적은 인원의 투입으로도 항공기 각 분야의 검증이 가능하므로 소형화된 무인기는 여러 회사 및 연구원 학교등에서 개발되고 있다. 항공기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면 운영요원의 숫자 또한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쉽게 이동이 가능하고 운영이 가능한 이동형 무인항공기 지상통제 시스템의 요구가 생기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항공주우연구원의 소형 무인기를 운영하기 위해 개발한 이동형 무인항공기 지상관제 시스템에 관하여 기술 하였다.

  • PDF

Efficient Detection of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s in Cluttered Environment (클러터 환경을 고려한 효과적 소형 무인기 탐지에 관한 연구)

  • Choi, Jae-Ho;Kang, Ki-Bong;Sun, Sun-Gu;Lee, Jung-Soo;Cho, Byung-Lae;Kim, Kyung-Ta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30 no.5
    • /
    • pp.389-398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tect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s(UAVs) flying in a real-world environment. Small UAV signals are frequently obscured by clutter signals because UAVs usually fly at low altitudes over urban or mountainous terrain. Therefore, to obtain a desirable detection performance, clutter signals must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noise, and thus, a performance analysis of each clutter removal technique is required. The proposed detection process uses clutter removal and pulse integration methods to suppress clutter and noise signals, and then detects small UAVs by utilizing a constant false alarm rate detector. After applying three clutter removal techniques, we analyzed the performance of each technique in detecting small UAVs. Based on experimental data acquired in a real-world outdoor environment, we found it was possible to derive a clutter removal method suitable for the detection of small UAVs.

Science Technology - EMP탄, 현대전 전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다

  • Kim, Hyeong-Ja
    • TTA Journal
    • /
    • s.153
    • /
    • pp.52-53
    • /
    • 2014
  • 최근 북한 것으로 추정되는 정찰용 무인기가 잇따라 발견되면서 EMP탄의 전술에 관심이 높다. 무인기에 EMP탄을 실어 국내에 침투할 경우 순식간에 대한민국 전체를 암흑세계로 전락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 또한 북한이 EMP탄으로 미국 본토를 공격할 능력을 충분히 갖췄다고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에 수백 대가 넘는 무인기가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게다가 우리의 주요 군부대를 비롯하여 정부 시설의 좌표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 따라서 하루빨리 북한의 EMP탄 공격에 맞설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체 EMP탄이 뭐기에 이토록 큰 위협으로 다가오는 것일까.

  • PDF

Research on Dual Flight Control System for High Altitude Long Endurance UAV (고고도 장기체공 무인기의 비행제어시스템 이중화에 대한 연구)

  • An, Seok-Min;Kim, Seong-Uk;Yu, Hyeok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5.11a
    • /
    • pp.55-58
    • /
    • 2015
  • 고고도 장기체공 무인기는 일반적인 무인기와 달리 고고도에서의 환경과 장시간의 체공에 따른 위험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비행제어시스템이며, 본 논문에서는 비행제어시스템의 이중화에 따른 설계결과와 비행시험결과를 기술하였다.

  • PDF

Automatic Flight Control System Development for Optionally Piloted Vehicle (유무인 겸용 비행체의 자동비행조종시스템 개발)

  • Lee, Sangjong;Choi, Hyoung Sik;Seong, Kie-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2 no.11
    • /
    • pp.968-973
    • /
    • 2014
  • Optionally Piloted Vehicle is one of the UAV development technology and method, which can provide the economic and efficient unmanned system. Existing manned aircraft is evaluated through much flight operations and it can supply the reliable aircraft platform, engine and subsystems for operation. In addition, OPV can be operated both manned and unmanned vehicle to satisfy the mission requirement. under the certain flight conditions. This paper describes main development procedures for automatic flight control system of OPV and summarizes the technical issues and results.

Sea Wave Modeling Analysis and Simulation for Shipboard Landing of Tilt 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틸트로터 무인기 함상이착륙 위한 파고운동 해석 및 시뮬레이션)

  • Yoo, Chang-Sun;Cho, Am;Park, Bum-Jin;Kang, Young-Sh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2 no.9
    • /
    • pp.731-738
    • /
    • 2014
  • The mission of UAV has been expanded from a land to an ocean based on an enhancement of its technologies.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also tries to expand the mission of tilt rotor UAV to an ocean, in which the shipboard landing of UAV is required. However the environment of an oceanic operation is severer than that of land due to salty, fogy, and windy condition. The landing point for automatic landing is not fixed due to movement of shipboard in roll, pitch, and heave. It makes the oceanic operation and landing of UAV difficult. In order to conduct an oceanic operation of tilt rotor UAV, this paper presents that the sea wave modeling according to the sea state is conducted and the shipboard landing of tilt rotor UAV under the sea wave is tested and evaluated through the flight simulator for UAV.

Random Waypoint Mobility Model for UAV Group Reconnaissance based on Regional Arrival Count (영역별 탐색수를 고려한 그룹 무인기 정찰용 Random Waypoint 이동성 모델)

  • Jo, Yong-Il;Jung, Yong-Min;Ha, Ok-Kyoon;Kim, Kyo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7-8
    • /
    • 2016
  • Ad-hoc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FANET(Flying Ad-Hoc Notworks)을 이용한 그룹 무인기 정찰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비행을 위한 효율적인 그룹 무인기 정찰을 위하여 새로운 이동성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Random Waypoint에 기반 하는 모델로써 정찰되지 않은 구역의 선택 확률을 높여 균형적 탐색을 유도한다.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제안하는 모델이 기존의 Random Waypoint 에 비해 80% 정찰비율 시간 향상 면에서 우수함을 보인다.

  • PDF

Improvement of Target Position Estimation Accuracy for UAV using Kalman Filter (칼만필터를 이용한 무인기의 표적위치 추정 정확도 개선)

  • Oh, Soo-Hun;Kim, Tae-Sik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6 no.1
    • /
    • pp.237-244
    • /
    • 2007
  • Estimation of target position is one of the main functions of surveillance UAVs, and is being used to various purposes but generally noisy target position is estimated due to the existence of random measurement errors. In this report, a method of diminishing target position estimation error by calculating target position using Kalman Filtered optimum values such as position, attitude of UAV and sight vector of optical instrument, is proposed.

  • PDF

Implementation of UAV with Automatic Navigation Flight (자동항법비행이 가능한 무인기의 구현)

  • Park, Myeong-Chul;Kim, Dong-Hee;Lee, Seung-Woo;Lee, Gyu-Y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279-280
    • /
    • 2018
  • 본 과제는 비행체에 자동제어 시스템인 자동항법비행기능을 탑재한 무인기를 제작한다. 자동항법비행이 가능한 무인기는 사람이 직접 조종하는 기존의 비행체들 보다 정밀하고 섬세한 제어가 가능하며 조종자의 시야가 닿지 않는 곳에서의 비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공에서 영상을 촬영하며 5.8GHz대역의 영상 송 수신기를 통한 실시간 영상 확인이 가능하다. 본 과제는 GPS를 이용한 프로그래밍을 통해 미리 지정한 좌표를 따라 비행이 가능하며 실시간 영상 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갈 수 없는 오염된 지역 등의 정찰이 가능하고, 비행체에 장착되는 장비에 따라 군용, 소방용 등의 다양한 범위에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