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용콘텐츠

Search Result 14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development of dance contents as an island of culture and art (문화예술 섬으로서의 무용콘텐츠 개발 연구)

  • Baek, Ju-mi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07-108
    • /
    • 2016
  • 제주도는 2015년 '문화예술 섬'으로 조성하고 2016년 제주문화예술재단의 '도민이 행복한 문화예술섬'으로 만드는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를 중심으로 '무용콘텐츠'의 역할을 확대시키고 지속적으로 개발, 발전하기 위하여 무용콘텐츠 개발방안을 모색하고자한다. 기존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논문, 학술지, 단행본,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이용하여 이론적 객관적 근거를 제시하며 다음과 같이 지역축제콘텐츠, 공연예술콘텐츠 중 연출적 요소, 주제적 요소, 공간적 요소, 체험형콘텐츠, 감상형콘텐츠로 나누어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위의 방안들을 이용한 제주도와 하나 되는 무용콘텐츠를 통하여 지역발전 및 무용예술의 발전과 대중화 그리고 문화적 가치를 증대시키는 것을 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Various Applicabilities on Dance Contents through Cases of Gaga (가가(Gaga)의 사례를 통한 무용콘텐츠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

  • Kim, Eun 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
    • /
    • pp.578-58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various kinds of applicability by analyse a case of application, Gaga movement Language of Ohad Naharin. There are experiences based on participation on Gaga Workshop in Tel Aviv, 2015, Gaga People Website that Gaga Movement Ltd. have for running programs, Dance Journals and Theses for materials. As a result, Gaga was applied to performing arts, education and Tourism. It evolved movement in dance works and narrowed the distances between dancers and audiences in performing arts. Gaga/Dancers was for dance education contents for professional dancers. Gaga/people was for Dance education contents for public. Last, Gaga was applicable to tourism as it combined with regional nature of desert, in Gaga in Desert. This achievement is originated by the way of Gaga Movement Ltd. business Most of all, it was the attitude of returning their achievement of dance in art. It is considered that various kinds of application on dance contents enriches culture in society.

The Prospect of Industrialization by the Increased Demand of Digital Dance Contents (디지털무용콘텐츠의 수요증가에 따른 산업화 전망)

  • Choi, Jong-ho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37-238
    • /
    • 2012
  • 전 세계가 디지털 혁명을 통해 새로운 미래로 향해가며 많은 콘텐츠들이 디지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케이팝과 같은 한류문화콘텐츠들이 국제적인 콘텐츠시장을 겨냥하며 새로운 콘텐츠들을 개발해 나아가고 있다. 또한 힙합, 발레, 비보이, 현대무용 등 다양한 무용콘텐츠들이 공연콘텐츠에서 영상콘텐츠로 범위가 확장되며 소셜미디어를 통해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무용 콘텐츠들의 수요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디지털무용콘텐츠의 산업화를 전망하여 본다.

  • PDF

An Applicability of Dance Contents for Bade Pool Facility (바데 풀에 적합한 무용콘텐츠 활용가능성)

  • Kim, eunjung;Cho, s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35-336
    • /
    • 2016
  •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문화시설로 활용 가능한 여가를 위한 바데 풀(Bade Pool)시설에 적합한 무용콘텐츠 활용가능성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먼저 바데풀에 대해 알아보고, 국내 시설 현황, 해외사례, 그리고 무용콘텐츠 활용방안에 대해 다루었다. 국내에서 바데 풀은 정적 보양시설로 매뉴얼에 맞추어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가가움직임언어(Gaga Movement Lanquage), 에릭 프랭클린(Eric Franklin)의 무용심상훈련, 그리고 발레를 제시하였다. 바데풀에서의 가벼운 움직임을 동반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신체적, 정서적으로도 다양한 체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관리가 까다로운 기반 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연구가 지속된다면 기반시설의 폐기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 PDF

Influence of Dance Socialization's Agent on the Dance Participation (무용사회화 주관자가 무용참가에 미치는 영향)

  • Kim, kyung-sik;Hyun, bo-ram;Kim, jeong-r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237-238
    • /
    • 2013
  • 이 연구는 4년제 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무용사회화 주관자가 무용참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171명의 무용전공대학생을 유의표집 하였다. 통계 처리는 SPSSWIN18..0을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무용사회화 주관자인 부모, 형제자매, 친구, 학교교사, 대중매체 등이 무용참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PDF

An Analysis on the Status of Dance Career Intervention for Dance Major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무용전공자를 위한 고등교육 진로개입 실태분석)

  • Kim, Eun Hye;Kim, Ji Young;Kim, Hyoung 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71-47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무용전공자를 위한 진로개입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무용전공자를 위한 진로개입은 외형적으로 확대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체계적인 진로개입을 위한 접근 방안은 제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대학 무용전공자를 위한 진로개입 발전 방안으로 무용직업군 직업표준체계, 진로흥미검사지, 진로교육 콘텐츠를 도출하였다.

  • PDF

A Discussion on Trust in Leaders by Types of Leaders in Dance Major (무용지도자의 유형에 따른 지도자 신뢰도에 관한 논의)

  • Kang, Ji Hye;Ahn, Byoung 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89-290
    • /
    • 2018
  • 본 연구는 강지혜의 '고등학교 무용전공 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지도자 신뢰 및 만족의 관계 연구'를 바탕으로 한 무용지도유형과 지도자 신뢰도의 관계에 대한 논의이다. 기존의 연구는 2010년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무용전공생과 무용지도자의 관계를 논의를 통해 탐색하고 분석함으로써 실기 수업에 있어 무용수행 효율성을 높이고 무용지도자 역할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논의에 따르면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융복합 사회 속에서 교육을 받는 학생들에게 무용지도자의 신뢰를 높이며 교육이 획일적인 지도자 중심의 지도보다는 학생들의 의견을 수용하여야 하는 무용지도자야하며, 학생들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상호작용하는 것은 무용전공생에게 지도자에 대한 신뢰와 무용지도자의 지도효율성과 무용수행도 높아질 수 있음과 동시에 무용지도자의 역할이 강화될 것이다.

  • PDF

A Foundational Study for Development of Standardized Classification Scheme on Dance-Related Occupations (무용 직업유형 및 분류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Kim, Eun Hye;Kim, Ji Young;Kim, Hyung 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529-53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자를 위한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진로개입을 위한 무용직업군 유형 및 분류체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와 전문가회의를 거쳐 최종적인 무용직업군 유형과 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무용직업군 유형 및 분류체계를 바탕으로 무용진로개입 발전 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YouTube Video Content Analysis: Focusing on Korean Dance Videos (유튜브(YouTube) 영상 콘텐츠 분석: 국내 무용 영상을 중심으로)

  • Suejung Chae;Jihae Suh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4
    • /
    • pp.1-13
    • /
    • 2023
  • The widespread adoption of smartphones and advancements in internet technology have notably shifted content consumption habits toward video. This research aims to dissect the nature of videos posted on YouTube, the global video-sharing platform,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oth produced and preferred content. For this study, dance was chosen as a specific subject from a variety of video categories. Data on YouTube videos associated with the term "dance" was compiled over three years, from 2019 to 2021. The investigation revealed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ypes of dance videos frequently uploaded to YouTube and those that receive a high number of views.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indicates a viewer preference for vlogs that provide insights into the daily lives of dance students, as well as for purpose-driven videos, such as those highlighting dance exam preparations or school dance events. Notably, the vlogs that attract the most attention are typically created by dance students at the college or secondary school level, rather than by professionals. Although the study was focused on dance, its methodologies can be applied to different subjects. These insigh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recommendation system that aids content creators in effectively targeting their productions.

Study on Comparative Recognition Regarding Professional Dancers' Abilities (무용수 직업 능력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 Kim, lee-kyung;Lee, jea-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9-300
    • /
    • 2016
  • 청년실업 문제가 심각한 현대에 특히 무용부분의 사회진출과 취업은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각 대학과 정부차원에서 대학 평가 등을 통해 취업을 장려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예능계의 특수한 상황으로 전문적이지만 취업을 하기 위한 발판이나 환경에는 제도적, 환경적인 문제들이 있음을 문제 의식화하여 본 연구는 무용수 직업능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무용 교수자, 학습자, 전문무용수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40명씩 총 12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업 관련 인식도와 직업 관련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빈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취업 어려움에 대한 체감도가 교육가와 무용수는 높았으나 예비무용수들은 낮게 나타났다. 교육가들과 무용수들은 취업을 위해 전공 능력을 발휘하여야 하며, 인턴십 제도의 정착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예비무용수들은 무용 외에도 다양한 능력 개발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