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선 방사 신호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4초

UWB 시스템의 방사출력 측정방법 연구 (The research of the UWB system radiation measurement)

  • 송홍종;차재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77-28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다가올 초고속 무선 서비스의 핵심 서비스 중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는 UWB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저출력 주파수 특성의 방사출력 측정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UWB 시스템의 측정환경에서는 RMS 전계강도 측정, UWB PSD 측정, 검출 가능한 UWB 신호레벨, UWB 천이신호 수집 등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또한, CIDPR16-1에서 언급한 축력 측정법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저 준위 e.i.r.p 복사 측정법에 대해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신호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시의 고려사항에 대해 서술함으로써 UWB 시스템 상용화에 필요한 방사출력 측정에 필요한 내용을 마무리하였다.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조영제 주입에 따른 무선신호기 사용의 유용성평가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a Wireless Signal Device for the Use of Contrast Agent in Computed Tomography)

  • 홍기만;정묘영;서영현;송종남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17-425
    • /
    • 2018
  • 늘어나는 CT 조영제 주입 검사만큼이나 환자의 심리적 불안감은 물론 검사자인 방사선사 또한 조영제 부작용과 혈관 외 유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조영증강 CT 검사 시에 무선신호기를 사용하여 조영제 사용에 대한 환자와 방사선사의 불안감과 두려움 등의 심리적 불안해소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CT 검사 후에 무선신호기에 대한 환자와 방사선사의 만족도조사를 설문을 통해 실시하였다. 또한 무선신호기를 사용함으로써 CT 검사 시 발생할 수 있는 조영제 부작용에 대한 방사선사의 신속한 대처와 혈관 외 유출 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실험대상은 2017년 8월~11월 4개월간 전남에 소재한 C대학병원을 방문하여 CT를 시행한 20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CT 검사 시행 후 연구에 동의하는 환자 90명을 설문조사하였다. 그 중 남자 57, 여자 33명이다. 방사선사는 CT실에서 근무하며 무선신호기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무선신호기를 사용 전 환자 만족도는 $6.01{\pm}0.88$, 사용 후 환자 만족도는 $8.20{\pm}1.06$으로 사용 전보다 만족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 후 방사선사 만족도는 $8.46{\pm}1.06$으로 환자만족도 평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두군 모두 만족도가 8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무선신호기 사용에 따른 심리적 안정 기여도는 과거 부작용 유경험자에서 $8.98{\pm}0.65$, 무경험자 $8.00{\pm}1.2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무선신호기의 호출로 방사선사의 신속한 대처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 환자와 방사선사에게도 불안감으로부터 심리적 안정을 주어 검사만족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무선기기 보호를 위한 ISM 기기의 방사 한계치에 관한 연구 (Study on Radiation Limit of ISM Equipment for Protecting Radio Device)

  • 심용섭;이일규;홍선의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0-14
    • /
    • 2011
  • 본 논문은 최근 급증하는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기기 및 무선기기의 사용 증가에 따라 ISM 기기와 무선기기가 인접한 공간에서 운용될 경우 상호간에 간섭이 예측되는 상황에서, ISM 기기와 무선기기 상호간에 간섭 없이 양립할 수 있도록 ISM 기기의 방사 한계치 산출 방법을 제시하였다. ISM 기기의 방사 한계치는 원하는 무선기기의 신호에 무선기기 보호를 위해 요구되는 보호비를 적용하고 이에 보정 요소를 고려하여 산출한다. 이어서 한계치 산출이 요구되는 시나리오를 제시함과 동시에 Matlab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이용한 방사 한계치 산출 S/W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ISM 기기의 방사 한계치 산출 방법은 ISM 기기로부터 무선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선량계 구현 (A Dosimeter System using a short distance radio communication)

  • 서용칠;손종대;이흥호;김승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571-57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선량계 시스템에 거리 무선 통신 방식중 Bluetooth를 이용하여 선량계를 구현한 것에 대해 논하였다. 휴대용 선량계란 감마선과 속중성자 및 열중성자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측정 할 수 있는 기기이다. 휴대용 선량계는 선랑계의 소형화를 위해 모듈별로 구성하여 공간의 최적화를 취하였다. 모듈의 구성은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하는 CPU부 센서로부터 측정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센서부로 구성되어졌다. 센서 모들의 PIN 다이오드와 MODFET 센서를 이용하여 감마선, 속중성자, 열중성자를 측정한다. 휴대용 선량계를 관리하고 측정한 데이터의 백업 및 분석을 위하여 PC용 관리프로그램과 근거리 무선 통신(Bluetooth)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만들어 사용하였다. 측정 지역의 방사선량을 휴대용 선량계로 측정하여 PC용 관리프로그램에서 실시간으로 방사선량을 확인 할 수 있다.

  • PDF

30MHz 이하 무선 서비스에 대한 전자기기의 잠재적 간섭 영향 (Potential Interference of Electric Equipments on Radio Service below 30MHz)

  • 윤혜주;이일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69-273
    • /
    • 2013
  • 본 논문은 대표적인 전파응용기기로 알려진 PDP(Plasma Display Panel) TV와 RF(Radio Frequency) 전구가 30MHz 이하 무선 서비스에 대한 전자기기의 잠재적 간섭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PDP TV와 RF 전구의 방사 크기를 전자파무반사실에서 측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다수의 간섭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 결합된 간섭신호의 크기를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간섭원의 수에 따라 결합된 간섭 신호의 크기가 증가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실험을 통해 얻어진 전자기기의 방사 측정값과 CISPR(International Special Committee on Radio Interference) 11의 제한치를 비교함으로 30MHz 이하의 무선 서비스에 대한 전자기기 간섭 잠재성을 확인하였다.

RF 방사 신호 차폐를 통한 비상 유압경고등의 비정상 점등 현상의 원인분석 및 개선 (Analysis and Improvement of False Alarm Phenomenon of Emergency Hydraulic Warning Light by Shielded RF Radiation Signal)

  • 권정혁;김경남;전병권;이왕상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8-7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내의 RF 방사 신호로 인하여 비상 유압 경고등이 비정상으로 점등되는 현상에 대한 개선 방안을 연구하였다. RF 방사 신호의 전자파 간섭으로 비행 중에 비상 유압 시스템의 경고등이 점등되면, 비행 임무 및 안전에 영향을 주어 비행 임무의 효율 저해 및 정비 소요가 발생한다. 따라서, 비상 유압 경고등의 비정상 점등에 대해서 원인 분석 및 고장탐구를 수행하였다. RF 방사 신호의 경로에 있는 항공기의 동체 하부 복합체 스트립을 차폐하여 비상유입지시계로 유입되는 RF 방사 신호를 차단하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지상과 비행 모니터링을 통해 개선 방안을 적용한 결과도 함께 기술하였다.

실내무선전파환경에서의 원형편파 전파를 고려한 수정된 UWB 채널 모델 (A Modified UWB Channel Model Considering The Circular Polarization Wave in Indoor Radio Propagation Environments)

  • 서유정;안재성;하덕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651-654
    • /
    • 2008
  • 협대역 다중접속 방식의 한계를 벗어난 Ultra-wide band(UWB) 기술이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많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UWB 시스템은 방사전력 제한을 두고 있어서 근거리 실내 무선통신 분야에서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실내 무선 환경에서는 벽, 천장, 바닥 그리고 실내에 위치한 장애물 등에 의한 다중경로 페이딩 영향으로 초고속 실내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실내 다중경로 성분에 의한 페이딩을 경감시키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원형편파를 이용하면, 상대적으로 긴 지연을 갖는 강한 다중경로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기 때문에 수신신호의 RMS 지연 감소, 페이딩 경감 및 신호강도 개선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형편파를 고려한 수정된 UWB 채널의 파라미터를 수정 정립하였고, 수정된 채널모델을 UWB 시스템에 적용하여 성능 개선을 시도하였다.

  • PDF

비방사성유전체선로를 이용한 155.52Mbps ATM 신호전송용 60㎓ 대역 무선통신송수신기개발 (The 60㎓ Transceiver Development for 155.52Mbps ATM Signal Transmission using NRD Waveguide)

  • 신천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2B호
    • /
    • pp.167-173
    • /
    • 2004
  • 본 논문은 비방사성유전체선로를 이용한 60㎓ 무선통신 송수신기 개발에 관한 것이다. 비방사성유전체선로를 이용하여 건발진기, 셔큘레이터, ASK변조기, 밸런스믹서, 3dB 방향성 결합기 및 대역통과 필터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밀리미터파 대역인 60㎓에서 동작하고 전송대역폭은 2㎓ 정도이며, 송신출력 10mW이하에서 1Km이상의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송수신기를 제작하였다. 또한 제작된 무선통신송수신기에 대해 BER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통신거리 1Km에서 155.52Mbps ATM(OC-3) 데이터 전송속도에서 BER은 10-11 정도였으며, 심한 강우시에는 BER 10-6 정도로 안정된 전송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무선통신을 이용한 방사선측정 시스템 개발 (Developement of Radiation Measuring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 이봉재;장시영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85-95
    • /
    • 1995
  • GM 계수관을 방사선 검출기로서 사용하고, 검출기의 신호를 디지탈 펄스로 변환하는 펄스처리회로와 디지탈 통신방식의 하나인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복조회로를 설계하였으며, 휴대용 무전기로 송수신되는 방사선 검출신호를 방사선량과 방사선량율로 개인용 컴퓨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일채널 무선 방사선측정 시스템을 개발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성능검증 실험에서 펄스를 입력한 경우와 검출기에 방사선을 조사시킨 경우 펄스처리회로에서 약 5V의 동일한 디지탈 펄스가 출력되었고, 무선통신계통에서도 입력과 출력이 왜곡없이 송수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검출기에 표준방사선원(Cs-137)으로 방사선을 조사시켜 선량률을 측정한 결과 측정오차는 조사된 선량률의 10% 이내를 나타내었다. 본 시스템은 국내에선 처음으로 설계되었으며, 향후 다중채널로 구성하여 실시간 개인방사선피폭선량계, 방사선감시기 등 여러 용도의 방사선측정기에 응용함으로써 방사선방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맵 기반 효율적 무선 에너지 하비스팅 알고리즘 (Efficient RF Energy Harvesting Algorithm based on Frequency Selective Fading Map)

  • 박지호;황유민;송유찬;김진영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4-29
    • /
    • 2015
  • 최근,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사용이 보편화 되고 다양한 통신 기술이 서비스되면서 단말의 소형화, 사용 지속성 측면에서 에너지 효율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단말이 지속적으로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단말 주변 수 m 내에서 RF 에너지 신호를 방사하는 source로부터 RF 신호를 자원으로 무선으로 전력을 충전하는 무선 에너지 하비스팅 시나리오를 가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에너지 하비스팅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RF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Tx)와 에너지 하비스팅 장치인 수신부(Rx)간 주기적으로 할당된 전체 주파수 범위 내에서 하비스팅 효율 맵을 형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통해서 주파수에 따른 페이딩 정도를 파악하고 가장 높은 효율 값을 갖는 주파수를 선택하여 source 신호로 송신하여 에너지 하비스팅 효율 최적화를 달성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을 통해 가장 높은 효율을 갖는 신호는 가장 낮은 효율의 신호에 비해 동일 거리에서 최대 4.45dB 이득이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