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선스마트센서

Search Result 31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Kalman Filter-based Data Recovery in Wireless Smart Sensor Network for Infrastructure Monitoring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 스마트 센서 네트워크의 칼만 필터 기반 데이터 복구)

  • Kim, Eun-Jin;Park, Jong-Woong;Sim, Sung-H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0 no.3
    • /
    • pp.42-48
    • /
    • 2016
  • Extensive research effort has been made during the last decade to utilize wireless smart sensors for evaluating and monitoring structural integrity of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The wireless smart sensor commonly has sensing and embedded computation capabilities as well as wireless communication that provide strong potential to overcom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wired sensor systems such as high equipment and installation cost. However, sensor malfunctioning particularly in case of long-term monitoring and unreliable wireless communication in harsh environment are the critical issues that should be properly tackled for a wider adoption of wireless smart sensors in practice. This study presents a wireless smart sensor network(WSSN) that can estimate unmeasured responses for the purpose of data recovery at unresponsive sensor nodes. A software program that runs on WSSN is developed to estimate the unmeasured responses from the measured using the Kalman filter.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network software is experimentally verified by estimating unmeasured acceleration responses using a simply-supported beam.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Harbor Structures using Imote2-Platformed Smart Wirless Sensor Node (Imote2 플랫폼 기반 스마트 무선센서노드를 이용한 항만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

  • Park, Jae-Hyung;Lee, So-Young;Kim, Jeong-Ta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307-31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항만 구조물의 구조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Imote2 센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무선센서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고민감도 MEMS 가속도계를 탑재한 Imote2 센서 플랫폼 기반스마트 무선센서를 설계하였다. 둘째, 스마트 무선센서노드의 독자적인 구조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내장소프트웨어를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모형 케이슨 구조물의 진동실험을 통해 개발된 스마트 무선센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Imote2-Platformed Wireless Smart Sensor Node for Health Monitoring of Harbor Structures (항만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Imote2 플랫폼 기반 스마트 무선센서노드의 성능 평가)

  • Park, Jae-Hyung;Kim, Jeong-Tae;Lee, So-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3 no.1
    • /
    • pp.26-33
    • /
    • 2011
  • In this study, a high-sensitive smart wireless sensor based on an Imote2 sensor platform is developed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harbor structures.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following approaches are implemented. Firstly, the smart wireless sensor based on the high-performance Imote2 sensor platform is designed to measure acceleration with high sensitivity from structures. Secondly, embedded software is designed for autonomous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Finally, the performance of the smart wireless sensor is estimated from experimental tests on a lab-scaled caisson structure.

Design of Smart Phone Personal Area Network System based on Zigbee (Zigbee 기반의 스마트 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설계)

  • Sung, Gi-Dong;Cheon, Seung-hwan;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496-498
    • /
    • 2014
  •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무선 매체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 중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 시장이 증가하고 있다.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킹 기술로서 무선이라는 요소와 빠른 전송속도라는 요소를 갖추고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높은 전력소모와 다채널의 갯수 제한 등과 같은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블루투스의 단점을 보완하여 부상되고 있는 것이 지그비(Zigbee) 무선통신기술이다. 지그비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의 기술보다도 저전력, 저가격, 다채널, 브로드캐스팅, 사용의 용이성을 지원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와 스마트 폰 사이의 무선통신기술로서 지그비를 이용하여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계하여서 블루투스에 비해 낮은 전력소모와 다채널의 지원을 이용하여 다수의 다양한 센서를 스마트 폰과 근거리에서 실시간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An Development of Security System based on The Home Gateway (홈 게이트웨이 기반 보안 시스템 개발)

  • Cho, Soo-Hyung;Lee, Sang-H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299-302
    • /
    • 2010
  • 보안 시스템에 사용되는 많은 감시 카메라들이 RS-485 통신 방식을 통해 제어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RS-485 연결을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무선 연결로 대체할 수 있다면 선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어 설치가 쉬워지고 카메라의 배치 또한 자유로워 질 것이다. 본 논문은 RS-485 연결을 대체할 수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에 대한 개발로 홈게이트웨이와 무선 센서 노드, 스마트폰 감시 카메라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구현에 대해 설명한다. 홈 게이트웨이는 유 무선 인터넷 뿐만 아니라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었으며 MicaZ 기반의 센서 노드는 RS-485 인터페이스로 카메라와 연결된다. 넓은 지역에 분산된 보안 카메라들을 제어하기 위해 멀티-홉 또한 지원하도록 구현되었다. 보안 시스템의 감시 카메라들은 스마트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 된다. 실제 환경에 배치하여 실험한 결과, 스마트폰에서의 카메라 제어에 대해 실제 카메라가 매우 빠르게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 Implementation of Mobile Gateway Based on Android Smartphone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게이트웨이 구현)

  • Lee, Donggeon;Lim, Jae-H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
    • /
    • pp.333-338
    • /
    • 2014
  • Zigbee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optimized for WSN (Wireless Sensor Network) environment. A WSN gateway is used for node control and data transmission. However, a fixed-type gateway can restrict the flexibility of the WSN environment. A smartphone-mounted high-performance processor and Android OS can be easily used in a mobile WSN gateway.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obile WSN gateway based on Android smartphones. In the proposed system, a Zigbee sensor module is connected with a smartphone via USB (Universal Serial Bus) port. We also implemented an Android application for the mobile WSN gateway.

An Efficient Key management for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효율적인 키 관리 연구)

  • Park, Sung-Ko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3 no.1
    • /
    • pp.129-139
    • /
    • 2012
  • Recently, the smart sensor technologies are rapidly developing in accordance with the technology of implementation in small-size, low-cost, and low power consumption. With these sensor technologies, especially with MEMS and NEMS, the researches on the WSN are actively performing. For the WSN, a network security function is essential even it requires high physical resource level. But the WSN with the smart sensor technologies could not be provided with enough resources for the function because of limited size, computing-power, low-power, and etc. In this paper, we introduce security and key-management protocols of WSN.

Considering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Support Plan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고려한 기술 지원 방안)

  • You, Sanghyun;Choi,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96-98
    • /
    • 2014
  • Wireless Sensor Network(WSN) is a wireless real-time information(Acquired from the sensor nodes that have the computing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ies.) collected, and to take advantage of processing techniques. Currently it is very diverse, such as environmental monitoring, health care, security, smart home, smart grid applications is that. Thus it is required 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the algorithm for the efficient use of the limited energy capacity. Suggested by the algorithm for selecting a cluster head node for a hybrid type and clustered, by comparing the amount of energy remaining and a connection between the nodes In this paper, we aim to increase efficiency and accuracy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 PDF

Standardization Activities on Wireless Sensor Network Transmission Technologies (무선 센서네트워크 전송기술 표준화 동향)

  • Jeong, W.C.;Park, T.J.;Shin, C.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5 no.4
    • /
    • pp.27-37
    • /
    • 2010
  • 최근 들어 무선 센서네트워크는 온/습도 관리와 같은 단순한 기능의 저전력 모니터링 서비스에서 시의성과 무선 전송의 신뢰성을 요구하는 산업 자동화 서비스 및 스마트 그리드와 같이 통신 거리를 확장한 옥외 서비스를 위한 기술로 서비스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술은 자원의 제약에 기인한 고유의 특성을 갖는다. 특히 전송 계층 기술은 이러한 제약 사항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하며, 상위 계층 기술의 성능은 전송기술에 대한 성능적 의존성을 가질 수 밖에 없다. 본 고에서는 최근 무선센서 네트워크 서비스 확대를 위한 시장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시의성/신뢰성 향상을 위한 IEEE 802 WG15의 TG4e MAC 기술과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를 위한 TG4g SUN PHY 기술에 대한 표준화 활동을 중심으로 표준 기술 동향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표준 전략을 분석한다.

개인용 탑승시스템 제어를 위한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설계

  • Kim, Yeon-Gyun;Kim, Dong-Heon
    • ICROS
    • /
    • v.22 no.1
    • /
    • pp.17-23
    • /
    • 2016
  • 본 기술 특집호에서는 개인용 탑승시스템(PMS, Personal Mobility System) 혹은 이동로봇을 무선 원격 제어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지자기센서 기반형, 조그셔틀형)들을 소개하고, 사용자 편리성 제어 기반으로 인터페이스 방식을 분석한다. 지자기센서 기반의 절대방향 제어는 자기북극을 기준으로 한 지자기센서의 측정값인 방향각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방향각에 탑승시스템의 방향각을 같도록 탑승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다. 탑승시스템에 서있는 탑승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탑승시스템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제어할 때에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어진 시작 버튼에 손가락을 놓고, 원하는 방향으로 스마트폰을 좌 우로 회전시키면 탑승시스템은 그 방향으로 회전을 하며 주행한다. 터치기반의 조그셔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탑승시스템에 서있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어진 조그셔틀 스위치에 손가락을 놓고, 원하는 방향대로 손가락을 움직이면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통하여 탑승시스템을 주행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