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기 첨가물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6초

석조문화재 보존.복원에 적용될 에폭시 수지의 경화 시 반응열 제어 및 안정성 향상 연구 (Tuning Exothermic Curing Reaction of Hydrogenated Bisphenol A Epoxy Resins for Stone Conservation)

  • 최용석;박유진;강용수;원종옥;김정진;김사덕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1-139
    • /
    • 2012
  • 석조문화재의 보존 복원 과정에 적용되는 에폭시 수지에 경화제의 혼합을 통하여 경화 시 발열 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 접착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사용된 에폭시 주제는 hydrogenated bisphenol A (HBA), 경화제로는 속경화형 경화제 FH와 poly(propyleneglycol)bis(2-aminopropylether) (SH)를 사용하였으며, 무기 첨가물은 탈크를 사용하였다.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비에 따라 경화 시 온도를 측정하고, differental scanning calorimeter (DSC)를 이용하여 경화동력학을 확인하였으며, 기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무기 첨가물의 함량에 따른 인장강도, 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 혼합을 통하여 경화 시 반응열 상승폭 제어 및 경화 거동 제어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무기 첨가물 첨가를 통해 적절한 강도 조절이 가능하여 석조문화재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접착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HBA계 에폭시 수지/무기 첨가물 복합체의 혼합조건에 따른 성능 개선 연구 (Performance Improvement of Hydrogenated Bisphenol-A Epoxy Resin/Inorganic Additives Composites for Stone Conservation by Controlling Their Composition)

  • 최용석;이정현;정용수;강용수;원종옥;김정진;김사덕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65-276
    • /
    • 2012
  • 석조문화재의 보존 복원 작업에 적용할 수 있는 에폭시 수지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성분을 조합하여 경화 거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접착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사용된 에폭시 수지 주제는 hydrogenated Bisphenol-A (HBA), 경화제로 속경화형 경화제 FH와 저속 경화제 SH를 구성하였으며, 반응성 희석제는 difunctional polyglycidyl epoxide (DPE), 무기 첨가물은 탈크를 사용하였다.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 조건에 따라 경화 시 점도, 온도 및 differental scanning calorimetry(DSC)를 이용하여 경화 동력학을 측정하였고, 기계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무기 첨가물의 함량에 따른 굴곡강도, 인장강도, 압축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다양한 석조문화재의 보존처리 작업에 맞춰 에폭시 수지 구성물의 성분 조합을 통해 경화 특성을 제어하고, 무기 첨가물의 도입을 통해 기계적 특성을 조절하여 성능 개선 및 작업 효율성을 향상 시킨 새로운 접착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수열반응을 이용한 미생물 담체용 다공성 세라믹스의 제조 (Fabrication of Porous Ceramics for Microorganism Carrier by Hydrothermal Reaction)

  • 정승화;양성구;강종봉;조범래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강연 및 논문개요집
    • /
    • pp.192-192
    • /
    • 2003
  • 오염된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담체를 이용하여 미생물을 배양하고, 미생물에 의해 정수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미생물을 배양을 위한 담체의 조건으로 다양한 크기의 연속기공을 갖고, 젖음성과 표면거칠기가 높으며, 이들 중 초기 미생물번식의 조건을 제공하는 기체 포집용 미세기공을 보유하고, 미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수백 $\mu\textrm{m}$까지의 다양한 크기의 연속된 기공을 갖는 미생물 담체용 다공성 세라믹스의 제조를 목적으로 본 연구를 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크기의 기공분포를 형성하기 위하여 첨가물로 activated carbon과 무기염, 고분자 binder를 활성알루미나 기지재료에 사용하여 수열반응에 의해 각각의 물질이 형성할 수 있는 기공의 크기를 확인하고, 수 nm에서 수백 $\mu\textrm{m}$까지의 연속된 기공이 존재하는 담체를 제조하였다. 수열조건과 첨가물의 양에 따라 수은침투가압을 이용하여 기공의 크기와 분포를 측정하고 평균기공률을 얻을 수 있었고, 압축강도를 측정하고, 기공의 형상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국내산 현무암과 맥반석으로부터 무기질 연속섬유 제조와 그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norganic Continuous Fibers from Korean Basalt and Quartz Diorite Porphyry)

  • 김재근;배지수;나상문;김승일;진용준
    • Composites Research
    • /
    • 제19권6호
    • /
    • pp.32-37
    • /
    • 2006
  • 본 논문은 두 가지 암석인 국내 광물로부터 무기질 연속섬유 제조과정을 요약한 것이다. 두 가지 광물인 현무암과 맥반석으로부터 용융 방법으로 연속섬유를 생산하였다. 제조방법은 유리화된 재료를 노즐이 하나인 백금과 로듐 합금 도가니인 부싱에 넣어 섬유방사가 가능한 온도로 가열하였다. 유리화된 현무암은 어떤 첨가물도 없이 연속섬유 제작에 적합하였으나 맥반석은 산화붕소의 첨가가 연속섬유 방사를 가능하도록 하였다.

무기 첨가물 함량에 따른 사출성형품의 성형 수축 (Shrinkage of Injection Molded Part for Inorganic Additive Compositions)

  • 김병두;유용호;황보현;류민영;김안식;박상현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8-64
    • /
    • 2004
  • The shrinkages of injection molded parts are different in molding operational conditions, resins and additives. The shrinkage of injection molded part for crystalline polymer,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has been studied for various operational conditions of injection molding and content of additives. Mica was used as a additive to PBT to examine the part shrinkage according to the mica content. The part shrinkages of mica contained PBT decreased as mica content increases. Higher injection temperature and injection pressure resulted in a lower shrinkage. As mold temperature increases the part shrinkage decreased. The part shrinkage of flow direction was less than that of the perpendicular direction to the flow for both pure and mica contained PBT. However the shrinkage difference between flow and perpendicular to flow directions decreased as mica content increased.

  • PDF

민자주방망이버섯 (Lepista nuda)의 톱밥배양 (Sawdust cultures of Lepista nuda)

  • 이상선;최경진;오창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4호통권79호
    • /
    • pp.274-279
    • /
    • 1996
  • 민자주방망이버섯(Lepista nuda)의 분리균을 여러 가지 곡물에서 키운 결과, 조에서는 잘 자랐으나, 수수에서는 잘 자라지 않았다. 이들 중에서 조를 선택하여, 여러 가지 유기물 혹은 금속 첨가물을 첨가한 실험 결과 조배지에서는 질소 성분이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반면에 우리 주변에 흔히 있는 아카시나무 톱밥을 이용한 배지에서는 질소성분과 무기염류의 효과가 여러 가지로 나타난다. 그러나 유기물로서는 흔히 사용되는 미강이 가장 좋은 첨가물로 밝혀졌다. 여기서의 연구는 고형배양을 통하여 직접 균사를 배양하였기 때문에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 PDF

효소 및 염의 첨가와 순간 열처리가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zyme and Inorganic Salts Addition and Heat Treatment on kimchi Fermentation)

  • 강근옥;구경형;이형재;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3-187
    • /
    • 1991
  • 김치의 발효촉진과 억제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microwave에 의한 절임배추의 열처리, 효소 및 김치액의 첨가, 완충액과 몇 가지 무기염을 첨가하여 $25{\sim}35^{\circ}C$에서 발효하는 동안 pH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순간 열처리와 amylase 및 celulase 첨가 단독으로는 김치발효 시간 단축에 뚜렷한 효과가 없었으나 이들을 병용하였을 때는 현저한 발효촉진 효과가 있었다. 김치액의 첨가는 pH 4.6의 것을 10%되게 첨가하고 발효시켰을 때 발효가 2배 정도 빨라졌고 맛과 냄새에서도 다른 pH의 김치액보다 좋았다. 완충액 중 phosphaste 완충액이, 무기염 중에서는 nitrite염, $Na_2HPO_4$가 김치발효를 현저히 억제시켜 김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첨가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동충하초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젤리의 품질특성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Dongchunghacho Jelly with Assorted Increments of Paecilomyces japonica Powder)

  • 김애정;방인수;여정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0-46
    • /
    • 2007
  • 본 연구는 건강지향적인 식품 소재로서 기능성과 효능을 지닌 동충하초를 이용하여 먹기 편한 젤리를 제조하기 위해 동충하초 분말을 각각 0%, 0.5%, 1%, 1.5%, 2% 첨가하여 만든 동충하초 젤리의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색도, 물성 및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충하초 젤리의 일반성분 함량에서 수분 함량과 조단백질 함량은 동충하초 분말을 첨가한 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반면에 조지방 함량은 대조군이 가장 높고 동충하초 분말 첨가군이 낮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동충하초 분말을 첨가한 군이 대조군보다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 함량이 높았다(p<0.05). 색도 검사에서 L값과 a값은 대조군에 비해 동충하초 분말을 첨가한 군에서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b값은 대조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직감은 대조군에 비해 동충하초 분말을 첨가한 군에서의 Hardness, Gumminess 및 Chewiness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동충하초 분말 1% 첨가군에서의 색, 맛,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가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건강지향적인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기호성과 이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충하초 젤리의 동충하초 분말 첨가량은 1% 첨가군이었으며 겔화제와 같은 첨가물에 따른 동충하초 젤리의 관능평가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된다고 사료된다.

가시광선하에서 황화물계 광촉매를 이용한 로다민 B의 광분해 반응에 대한 무기염의 영향 (Effect of Inorganic Salts on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Rhodamine B Using Sulfide Photocatalysts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 이근대;진영읍;박성수;홍성수
    • 공업화학
    • /
    • 제28권6호
    • /
    • pp.655-662
    • /
    • 2017
  • CdS 및 CdZnS 황화물계 광촉매를 단순 침전법으로 제조하고, 가시광선 조사하에서의 로다민 B 분해반응에 대한 광촉매로서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이때 KCl, NaCl, $K_3PO_4$, $Na_3PO_4$ 등의 4가지 무기염 첨가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특히 광촉매 반응 과정에서의 $K^+$, $Na^+$, $Cl^-$ 그리고 $PO_4{^{3-}}$ 이온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첨가되는 무기염들은 전체 광촉매 반응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무기염 중의 양이온에 비해 음이온이 반응속도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반응조건하에서 $PO_4{^{3-}}$ 음이온은 광촉매 반응속도를 크게 감소시키지만 $Cl^-$ 이온은 오히려 반응속도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광촉매 반응을 이용한 폐수처리에 있어서는 다른 첨가물질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도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통 환제의 유해 중금속 함량 및 위해도 평가 (The Content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Herbal Pills)

  • 이성득;이영기;김무상;박석기;김연선;채영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5-387
    • /
    • 2012
  • 시중에서 유통 중인 환제 31종 93건을 수집하여 유해 중금속 (납, 카드뮴, 비소 및 수은)의 함량을 조사하고 유해성을 평가하였다. 중금속 중 납, 카드뮴, 비소는 Microwave dirgestion system를 이용하여 질산 분해 후 ICP-MS를 사용하였고, 수은은 시료를 수은분석기에 직접 주입하여 측정하였다. 중금속의 위해성 평가는 국제식품첨가물위원회(JECFA)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과 비교하여 %PTWI를 산출하였고 또한 참고섭취량(RfD)과 발암잠재력(SF)을 이용하여 비발암위해도와 발암위해도를 평가하였다. 전체 시료의 중금속의 평균 함량(mg/kg)은 납 0.87, 카드뮴 0.08, 비소 2.87 및 수은 0.16이었고, 재료별 평균 함량(mg/kg)은 표피 0.63, 열매 3.94, 잎 1.42, 뿌리 1.05, 종자 0.16, 해조류 22.31 및 기타 10.17이었다. 납은 전체 시료인 31개 중 28개 시료에서 0.01 mg/kg이상 검출되었으며 카드뮴은 31개 중 24개 시료에서 0.01 mg/kg이상 검출되었고, 비소는 31개 중 29개 시료에서 0.01 mg/kg 이상 검출되었다. 또한 수은은 31개 중 29개 시료에서 0.01 mg/kg 이상 검출되었다. 시료 중 석류환과 칡환은 납의 함량이 높았고, 톳환은 수은의 함량이 높았으며 다시마와 톳환은 비소의 함량이 높았다. 중금속의 위해지수 (비발암위해도)는 표피 0.09, 열매 0.51, 잎 0.33, 뿌리 0.21, 종자 0.02, 해조류 4.84, 기타 0.05이었다. 납의 평균 주간섭취량(${\mu}g$/kg/week)은 0.77로, 국제식품 첨가물위원회(JECFA)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25의 3.1% 수준이었으며, 납의 초과발암위해도는 표피 $1.95{\times}10^{-7}$, 열매 $1.45{\times}10^{-6}$, 잎 $2.14{\times}10^{-7}$, 뿌리 $6.27{\times}10^{-7}$, 종자 $1.99{\times}10^{-8}$, 해조 $3.61{\times}10^{-7}$, 기타 $9.64{\times}10^{-8}$이었으며, 전체 시료에서는 $4.24{\times}10^{-7}$로 산출되어 평생 동안 섭취할 경우 천만명당 4명의 비율로 암이 발생하는 수준이었다. 카드뮴의 평균 주간섭취량(${\mu}g$/kg/week)은 0.06로 국제식품첨가물위원회(JECFA)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7과 미국 환경보호청(U.S.EPA)의 참고섭취량(RfD) 0.001 mg/kg/day의 0.9%이었다. 비소의 평균 주간섭취량(${\mu}g$/kg/week)은 2.14이었으나, 비소의 %PTWI는 2010년 비소 독성에 대한 기존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값의 유지가 적절하지 못하다는 국제식품첨가물위원회(JECFA)(140)의 판단 하에 폐지되어 비교할 수 없었고, 미국 환경보호청(U.S.EPA)의 참고섭취량(RfD) 0.3 ${\mu}g$/kg/day을 기준으로 평가하면 참고섭취량(RfD)의 98.3%이었다. 또한 미국 환경보호청(U.S.EPA)의 발암 잠재력(SF)값을 적용하여 시료 중의 비소종이 모두 무기비소일 경우 초과발암위해도를 산출한 결과 표피 $1.54{\times}10^{-5}$, 열매 $7.24{\times}10^{-5}$, 잎 $1.23{\times}10^{-4}$, 뿌리 $2.02{\times}10^{-5}$, 종자 $3.25{\times}10^{-6}$, 해조 $2.18{\times}10^{-3}$, 기타 $5.67{\times}10^{-6}$이었고, 전체 시료에서는 $3.38{\times}10^{-4}$이었으나, 농산물 중의 무기비소 비율 약 23%를 감안하면 $7.78{\times}10^{-5}$이었으며, 비소 함량이 높게 나타난 해조류를 제외한 다른 시료들의 초과발암위해도는 $9.20{\times}10^{-6}$이었다. 수은의 주간 평균섭취량(${\mu}g$/kg/week)은 0.026로 국제식품첨가물위원회(JECFA)의 잠정주간 섭취허용량(PTWI) 5의 0.5%의 수준이었다. 유통 환제에서 중금속의 함량을 분석하고 위해성을 평가한 결과 중금속이 비교적 높게 검출된 일부 시료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시료에서 자연 함량의 수준으로 측정되어,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