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기화합물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2초

더덕껍질의 일반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Skin)

  • 김나영;채현석;이인숙;김동수;서강태;박성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27-1633
    • /
    • 2010
  • 본 연구는 더덕껍질의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더덕껍질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생리활성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물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더덕껍질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탄수화물 24.74%, 조단백질 2.73%, 조지방 2.96% 및 조회분 4.84%이었고 더덕껍질 100 g의 함유 열량은 266.00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64.73%로 나타났다. 또한,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633.40과 870.72 mg/100 g wet weight basis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칼슘, 마그네슘, 인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의 경우 fructose의 함량이 전체 유리당의 약 7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덕껍질 물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24.65\;{\mu}g/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6.19\;{\mu}g/g$으로 분석되었으며, DPPH 소거 활성을 농도별로 측정하여 비교 한 결과 $500\;{\mu}g/mL$ 농도에서 79.30%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환원력의 경우에는 더덕껍질 추출물이 25 mg/mL의 농도에서 3.5로 높은 환원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더덕껍질 물추출물은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더덕껍질을 식품 내 첨가물로서, 혹은 다른 약용으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규불화염계 복합 조성물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Engineering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Fluosilicates Based Composite)

  • 양일승;윤현도;김도수;길배수;한승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769-774
    • /
    • 2005
  • 최근 무기 불소계 공정 부산물의 발생에 따른 환경 오염 문제 해결과 재활용을 위한 노력이 중요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종 재활용 기술 및 제조 시설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에도 끊임없는 기술 개발의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내에서도 1990년대 후반부터 인산$(H_3PO_4)$ 및 불산(HF)을 제조하는 공정 중에 액상형태의 부산물로 회수되는 불화규산$(H_2SiF_6)$을 활용하여 안정한 액상형태로 제조되는 규불화염계 화합물이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진시키는 동시에 수밀성 증진 및 경화 후 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향후 건설용 혼화재료로써의 새로운 기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산 제조 공정 중에 공정부산물로 회수되는 불화규산$(H_2SiF_6)$을 활용하여 제조된 규불 화염계 복합 조성물을 첨가한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콘크리트의 굳지 않은 특성(유동성, 공기량, 블리딩, 응결시간), 콘크리트의 경화 특성(압축강도, 길이 변화) 및 콘크리트 수밀성에 대하여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규불화염계 복합 조성물의 첨가하면 시멘트 수화 과정 중에 생성되는 난용성 금속불화물의 충전작용 및 가용성 실리카의 포졸란반응의 복합적 효과에 의해 압축강도가 향상되고 투수율 및 공극률이 크게 감소되어 콘크리트 경화체의 수밀성이 증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밤의 Polyphenol물질과 Polyphenol Oxidase의 생화학적 특성 (Polyphenol Compounds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lyphenol Oxidase in Chinese Chestnut)

  • 윤기윤;문광덕;손태화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9권
    • /
    • pp.51-59
    • /
    • 1991
  • 밤과실의 가공 및 저장중 갈변기구를 규명하는 일환으로 밤에 함유된 polyphenol 화합물 및 PPO를 분리, 동정하고 PPO의 생화학적 특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밤의 total phenol 함량은 $6.5{\mu}g/g$이었고 ferulic acid, caffeic acid, synapic acid, p-coumaric acid, gallic acid, salicylic acid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PPO를 분리, 정제하여 전기영동한 결과 단일의 단백질 및 효소활성밴드를 확인하였으며 정제된 효소의 비활성도는 260.9이고 조효소액보다 11.7배 정제되었다. PPO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5.9, $45^{\circ}C$였으며 효소활성은 $80^{\circ}C$에서 15분 처리시 거의 실활되었다. 무기염의 영향을 본 결과 $Mg^{{+}{+}}$, $Ca^{{+}{+}}$, $Zn^{{+}{+}}$들은 효소활성을 증가시켰으나 $Fe^{{+}{+}}$, $K^+$, $Hg^{{+}{+}}$는 활성을 저해시켰다. 저해제로는 L-ascorbic acid, thiourea, sodium chloride, L-cysteine의 저해작용이 강했다. 밤의 PPO는 o-diphenol에 대한 강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catech이에 대해 가장 강했으며 monophenol에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PPO의 Km값은 catechol에 대해 5mM이었다.

  • PDF

미생물의 생체광물형성작용을 이용한 자기치유 스마트 콘크리트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Healing Smart Concrete Using Microbial Biomineralization)

  • 김화중;김성태;박성진;김사열;천우영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501-511
    • /
    • 2009
  • 이 연구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유지관리 및 보전활동의 절력화와 콘크리트구조물의 장기 수명화를 목적으로 번잡한 검사나 보수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미세한 균열에도 수시의 점검 등이 필요 없이 미생 물의 생체광물형성작용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그 자체에 자기치유 기능을 부여하는 것에 관한 내용이다. 이 논문은 콘 크리트에 자기치유 기능을 부여하는 것에 관한 연구 중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방법으로 미생물의 생체광물형성작 용(biomineralization)을 이용한 자기치유 콘크리트 개발에 관한 기초적 연구로서, Sporosarcina pasteurii가 탄산칼슘을 석 출시키는 biomineralization을 이용하여 미생물이 신진대사 작용을 할 때의 탄산칼슘 석출 반응에 의한 세포 외에 다른 화합물의 생성, 탄산염광물의 석출 및 모래표면을 고화시켜 모래의 입자를 접착하는 바인더로서의 이용을 검토 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광물 형성 및 모래표면의 고화가 어느 정도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으며, 또한 유기(미생물)·무기(CaC$O_3$) 복합 구조를 가진 calcite에 의해 균열의 보수도 어느 정도 가능한 것이 기초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콘 크리트구조물에 이러한 미생물의 신진대사 작용에 따른 생체광물형성작용의 이용은 미생물과 같이 완성된 진정한 의미 의 자기치유 콘크리트가 될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미생물의 적용에 따른 효과는 보수 기능뿐만 아니라 환경 문제를 배려한 새로운 재료로서의 개발로 이어져 향후 더욱 더 중요한 연구주제의 하나가 될 것이다.

감국의 이화학적 성상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amgug (Chrysanthemun indicum L.))

  • 신영자;전정례;박금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46-151
    • /
    • 2004
  • 다양한 식품 소재의 창출을 목적으로 그 기초자료로서 감국꽃잎의 이화학적 성상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감국꽃잎의 수분함량이 10.51% ,조단백 9.38%, 지방 3.47%, 회분 4.87%, 환원당 13.12%, 조섬유가 9.03%, 비타민 C의 함량은 0.74%였다. 아미노산 조성은 전체 아미노산 중 필수아미노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41.42%이고, 비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58.58%였다. 감국의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가 13.5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alanine(11.25%), aspartic acid(10.35%)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산은 6종의 구성지방산이 확인되었는데 주요지방산은 palmitic acid(23.63%)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linoleic acid(17.51%), linolenic acid(12.76%), myristic acid(4.36%)의 순이었다. 무기질 함량은 K가 847.4 $\mu\textrm{g}$/g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Mg 369.0 $\mu\textrm{g}$/g, Ca 300.8 $\mu\textrm{g}$/g, Na 61.4 $\mu\textrm{g}$/g 순으로 나타났다. 감국꽃잎에는 45종의 휘발성분이 확인되었으며, 주요 향기성분으로는 docosane(9.41%), benzene, 1-(1,5-dimethyl-4-hexenyl)-4-methyl-benzene(5.78%), camphor(5.39%) 순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 0.67 mg%이었으며,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0.84 mg%으로 나타났다.

규불화마그네슘에 의한 포틀랜드 시멘트의 수화 지연효과 (The Effects of Hydration Retarding of Portland Cement by $MgSiF_6.6H_2O$)

  • 한상호;이경희;정성철;김남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3-170
    • /
    • 1997
  • 대표적인 무기계 지연제인 규불하마그네슘(MgSiF6.6H2O)을 시멘트 수화반응시 첨가했을 때의 수화반응의 지연 효과 및 특성과 수용액 이온농도 변화 고찰하기 위하여 규불화마그네슘을 시멘트 질랴의 0.3wt%에서 5wt%까지 변화시키면서 그 영향을 연구 검토하였다. 시멘트 모르타르의 flow는 지연제의 첨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응결 시간은 지연제의 첨가량에 따라 지연되었다. 모르타르의 압축 강도는 지연제의 첨가량에 따라 3일, 7일까지는 지연제를 첨가하지 않은 plain mortar에 비하여 약간 낮은 강도를 나타내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회복되어 28일이 지나면 plain 모르타르와 같은 강도를 나타낸다. 규불화마그네슘이 첨가되면 수화 초기 단계에서 시멘트로부터 용출된 알카리 이온과 반응하여 K2SiF6의 생성이 일어나며 그와 동시에 Ca++와 F++와의 반응에 따라 CaF2화합물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이때 생성된 K2SiF6 및 CaF2생성물의 비표면적은 대단히 컸으며 이들 물질이 수화반응 초기에 미수화 시멘트시 입자 표면에 생성되어 시멘트의 수화가 지연되는 것으로 검토된다. 또한 수화초기의 수화용액의 Ca++ 및 K+이온 농도의 저하 역시 포틀랜드 수화반응속도를 지연시켜 주는 이유가된다.

  • PDF

양파 재배 중 식이유황 methylsulfonlymethane 처리가 양파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Onions Applied with Methylsulfonylmethane (MSM) during Cultivation)

  • 권은진;류다연;서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13-220
    • /
    • 2013
  • 국내 토양층에 절대적으로 부족한 원소인 황을 양파 재배 중 처리함으로써 유황 처리가 식품 소재로서의 양파의 품질특성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5,000m^2$ 농지를 세 구역으로 구분하여, 식이유황 MSM을 수확 2달 전 1달 간격으로 2회 처리한 군(S-1), 파종 시 토양에 직접 1회 처리하고 이후 수확 2달 전에 1회로 추가 처리한 군(S-2), MSM 유황을 처리하지 않고 재배한 양파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수확 이후 3종 양파의 품질 특성은 화학적 조성, 물리적 특성, 관능적 특성 분석으로 구분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3종 양파 모두 유황의 처리 유무 및 시기에 관계없이 칼슘(Ca)과 철(Fe)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이는 양파의 무기질 조성에 유황의 일시적 처리 유무보다는 지역 토양 자체의 특성이 더 크게 작용했음을 시사하였다. 한편, 양파의 대표적 유기 황 화합물인 thiosulfinate와 총 환원력은 파종 전 유황을 토양에 직접 처리한 S-2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각각 20%와 2.9배 높은 값을 나타냄으로써 유황 처리 유무 및 처리 방법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3종 양파 모두 매운 맛과 향은 유의적으로 다르지 않아 화학적 조성의 차이가 관능적으로 인지 가능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해석되었다. S-1, S-2양파는 대조군에 비해 낮은 명도로 그 색이 등색에 가까웠으며, 유황 처리로 양파의 색 특성에 대한 기호도를 향상시켰다. 양파의 아삭거리는 정도에 대한 물리적 지표로 선정 평가된 경도와 저작성은 양파의 압착 방향에 따라 값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는 S-1, S-2 양파에서 대조군 보다 높은 저작성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 수준의 차이는 아삭함의 관능적 특성 및 그 기호도에는 유의적 차이를 유발하지 않았다. S-1, S-2 양파는 대조군과 비교 시 종합적 기호도에서 서로 다르지는 않았으나, 양파의 색과 단맛에 대한 기호도를 상승시켰다. 특히, S-2 양파에서 관찰된 thiosulfinate 증가와 총 환원력 증가 결과는, 토양층이 적정 유황을 함유할 수 있도록 지속적 유황 처리가 이루어진다면 양파의 기능성과 관능성이 개선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배검은별무늬병균과 배붉은별무늬병균에 대한 유기농자재들의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Agro-Materials against Pear Scab (Venturia nashicola) and Pear Rust (Gymnosporangium asiaticum) Fungi)

  • 송장훈;서호진
    • 식물병연구
    • /
    • 제24권1호
    • /
    • pp.33-40
    • /
    • 2018
  • 본 연구는 무기살균제, 식물추출물, 미생물 등 우리나라에 등록된 병해관리용 유기농자재 중 19종에 대해 배검은별무늬병균과 배붉은별무늬병균을 접종하고 배 잎 조직에서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배검은별무늬병균에 대해 황, 구리 등이 함유된 유기농자재 9종 중에서 대부분은 포자발아를 완전히 억제하였고, 일부 발아한 포자의 경우에도 부착기가 전혀 형성되지 않았으나 배붉은별무늬병균에 대해서는 석회황합제, 네오보르도, 흰가리스 등에 한하여 항균활성을 보였다.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유기농자재 중 흰가루자바는 배 검은 별무늬병균의 분생포자 발아를 완전하게 억제하였으며 배 붉은별무늬병균에 대해서도 71.6% 수준으로 비교적 높은 포자발아 억제효과를 보였다. 미생물 함유 제제로써 청고탄(Streptomyces griseus)은 배검은별무늬병균에 대해 88.8%의 포자발아억제율을 보이고 부착기도 형성하지 않으며 세포간에 자재집적이 확인되지 않았다. 탑시드(Paenibacillus polymyxa)는 배검은별무늬병균과 배 붉은별무늬병균에 대해 포자발아억제율이 각각 71.0%와 90.6% 수준이며 부착기형성도 이뤄지지 않았다. 향후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보호효과뿐만 아니라 미생물 대사산물과 천연화합물이 지니고 있는 유도저항성 효과도 고려하여 포장조건에서 누적적으로 살포하면서 종합적인 항균활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수세미오이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uffa cylindrica (L.) Roem)

  • 이규옥;유양희;황권택;이정민;이호준;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33-738
    • /
    • 2012
  • 본 연구는 수세미오이의 일반성분과 생리활성 평가를 위한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수세미오이는 수분 93.69%, 조섬유 1.64%, 조단백 0.52%, 조지방 0.27%, 조회분 0.06%을 함유하고 있었다. 주요 무기질로 K, P, Ca, Mg 등이 분석되었고, 주요 유기산은 아세트산과 호박산으로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으로 ${\beta}$-aminoisobutyric acid가 100.74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phosphoethanolamine, urea, asparagine, valine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구성 아미노산으로 glutamic acid가 1,039.99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aspartic acid, lysine, arginine 순으로 분석되었다. 수세미오이의 생리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물, 80% 에탄올, 메탄올을 이용하여 열수추출물(LCH), 냉수추출물(LCC), 80% 에탄올추출물(LCE), 메탄올추출물(LCM)을 수득하고 각 추출물간 라디칼 소거활성에 기인한 항산화활성을 비교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에서는 LCE가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ABTS 라디칼소거활성 및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활성에서도 80% 에탄올추출물이 각각 12.13%, 16.88%, 26.61%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세미오이 80% 에탄올추출물은 항산화활성을 갖는 기능성식품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수세미오이의 성분함량은 수세미오이를 이용한 식품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시판 블루베리와 라즈베리의 영양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eberry and Raspberry)

  • 정창호;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375-1381
    • /
    • 2008
  • 국내 시판되는 블루베리와 라즈베리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블루베리와 라즈베리 각각의 일반성분은 수분 10.47%와 22.67%, 조단백질 2.66%와 2.64%, 조지방 2.04%와 1.67%, 가용성물질소물 81.36%와 70.19%, 조섬유 1.48%와 0.85% 및 회분 1.99%와 1.98%였다. 총페놀화합물 함량은 라즈베리(5.340 mg/g)보다 블루베리(9.028 mg/g)가 높게 나타났다. 블루베리와 라즈베리의 주요 무기성분은 Ca(451.34 and 97.48 mg/100 g), K(355.40 and 215.20 mg/100 g), P(321.10 and 294.04 mg/100 g) 및 Na(137.58 and 137.67 mg/100 g)이었다. 블루베리와 라즈베리의 총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2,011.44 mg/100 g과 2,098.82 mg/100 g이었으며,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및 leucine이었다. 블루베리와 라즈베리 80% 메탄올 추출물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5 mg/mL에서 각각 88.67%와 62.77%, 76.34%와 30.53%의 소거활성을 보였다. 블루베리와 라즈베리 80% 메탄올 추출물의 환원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beta$-carotene-linoleate와 FTC method를 이용한 항산화활성은 블루베리가 라즈베리보다 2배 높은 활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