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균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7초

암환자(癌患子)의 복수(腹水) 및 늑막액(肋膜液)이 마우스의 면양적혈구(緬羊赤血球)에 대(對)한 면역반응(免疫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scitic and Pleural Fluids from the Cancer Patients on the Immune Responses of Mice to Sheep Red Blood Cells)

  • 정을삼;하대유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9-97
    • /
    • 1979
  • 암환자(癌患者)에서 세포성면역반응(細胞性免疫反應)이 대체적(大體的)으로 억제(抑制)되었다는 사실(事實)은 여러 항원(抗原)에 대(對)한 피부반응(皮膚反應)의 감소(減少), 임파구(淋巴球)의 mitogen에 대(對)한 임파아구형성반응저하(淋巴芽球形成反應低下) 및 임파구(淋巴球)와 면양적혈구(緬羊赤血球)(SRBC)와의 자연로젤형성(自然로젤形成)의 감소(減少) 등에 의(依)하여 구명(究明)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상(現象)에 대(對)한 기전(機轉)의 설명(說明)은 많은 연구(硏究)에도 불구(不句)하고 아직 미흡(未洽)하다. 본(本) 실험(實驗)에서 저자(著者)는 간암(肝癌) 및 폐암환자(肺癌患者)로부터 무균적(無菌的)으로 채취(採取)한 복수(腹水) 및 늑막액(肋膜液)을 마우스에 SRBC로 면역(免疫)하기 2일전(日前), 항원조사(抗原注射)와 동시(同時) 또는 항원주사(抗原注射) 2일(日)에 투여(投與)하여 마우스의 SRBC에 대(對)한 세포성(細胞性) 및 체액성면역반응(體液性免疫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실험(實驗)하였다. 그 결과(結果) SRBC로 면역(免疫)하기 전(前)에 암성삼출액(癌性渗出液)을 투여(投與)받은 마우스군(群)의 면역반응(免疫反應)은 대조군(對照群)의 면역반응(免疫反應)에 비(比)하여 유의성(有意性)있는 감소(減少)를 보인데 비(比)하여, 암성삼출액(癌性渗出液)을 SRBC와 동시(同時) 및 항원주사(抗原注射) 후(後)에 투여(投與)받은 마우스군(群)의 면역반응(免疫反應)은 대조군(對照群)의 그것과 유의(有意)한 차이(差異)가 없었다. 따라서 이상(以上)의 본(本) 실험결과(實驗結果)는 암성삼출액(癌性渗出液)이 면역억제인자(免疫抑制因子)를 가지고 있으며 이 억제인자(抑制因子)는 면역계(免疫系)의 afferent arc을 억제(抑制)함을 강력(强力)히 시사(示唆)한 증거(證據)라고 사료(思料)된다.

  • PDF

신생아 장내 미생물의 형성과 이의 분석을 위한 분자 생태학적 기술 (Development of Intestinal Microorganisms and Molecular Ecological Methods for Analysis of Intestinal Ecosystem in the Neonate)

  • 박자령;배진우;이성근;남영도;오종원;박용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59-168
    • /
    • 2005
  • 인간의 장(腸)은 태어날 때만 해도 무균 상태이지만 태어나면서 산모나 주위 환경에 의해 미생물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미생물은 숙주 안에서 면역, 영양학적, 생리학적, 보호과정 등의 특징을 유발시키며, 밀접한 상호작용을 한다[6,24, 35]. 많은 연구를 통해 장내 미생물이 우리에게 주는 이로운 점들이 밝혀 지긴 했지만, 우리가 목표로 하는 장내 미생물이 숙주의 장내, 건강 상태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은 아직 뚜렷하게 밝혀 지지 않고 있다. 즉, 숙주(인간)의 건강의 상태를 결정지어 주는 장내미생물 biomarker의 확립이 아직 불분명한 상태이다. 장내미생물의 방대한 다양성으로 인하여, 이를 연구하기 위한 분자 생태학 기술의 올바른 접목과 더 나은 방향으로의 기술 발전이 필요하다. 앞으로 더 나은 기술 개발을 통해, 신생아 장내의 초기에 형성되는 미생물을 검출하고, 여러 외부 요인에 따라 어떻게 연속되어 가면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밝힐 수 있다면, 질병 치료뿐 아니라 예방도 가능해 질 것이다.

Naegleria fowleri 감염에 대한 방어면역에 관한 실험적 연구 (Protective immunity against Naegzeria meningoencephalitis in mice)

  • 이순곤;임경일;이근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2호
    • /
    • pp.293-299
    • /
    • 1985
  • 병원성 자유생활 아메바인 Naegleria fowleri를 CGVS 배지에서 무균적으로 배양하여 그 영향형을 복강내로 주입하여 인위적으로 면역시킨 마우스에 본 원충율 비강내로 감염시켰을때 방어면역이 생성되는지를 관찰하였다. 감염 8일후부터 마우스가 사망하기 시작하였고 이 마우스의 뇌에서 전형적인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이 발생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N. fowleri 감염으로 인한 마우스의 사망율은 대조군에서 보다 네가지 항원으로 면역시킨 실험군에서 모두 현저히 낮았으며, 감염에서 사망할 때까지의 생존기간도 면역시킨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연장되었으나, N. fowleri 세포막항원으로 면역시킨 실험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할때 차이가 없었다. 또한 N. gruberi 영양형으로 면역시킨 실험군에서도 생존기간이 연장되었다. 이상의 성적을 요약하면 N. fowleri를 마우스 복강내로 주입시켜 면역시킬 때 방어면역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개에서 두갈래근 힘줄 윤활막염의 관절강 내 코티코스테로이드 치료 1예 (Intra-articular Corticosteroid Treatment of Biceps Tenosynovitis in a Dog)

  • 이재연;지현철;이기자;박성준;최호정;이영원;김명철;정성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2-34
    • /
    • 2007
  • 3개월 령, 35kg의 수컷 볼조이가 간헐적인 좌측 전지 파행을 주 증상으로 내원 하였다. 1년 전 심한 운동 후 간헐적인 파행 및 동통을 호소하였으며, 증상은 계속 악화되었다. 신체 검사 상에서 좌측 두갈래근의 촉진과 견관절의 굴곡 및 신장 시에 통증을 호소하였다. 일반방사선 검사에서 좌측 견관절의 결절사이고랑에서 골증식체와 관절주위변성이 관찰되었다. 관절 조영상에서는 좌측 두갈래근 힘줄에 거칠고 불규칙한 영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활액 검사 상에서는 퇴행성 관절 질환 소견이 보였다. 이상의 검사들을 바탕으로 두갈래근 힘줄 윤활막염으로도 진단하고, 내과적 치료를 실시하였다. 무균적으로methylprednisolone acetate 40mg을 관절낭 내로 주사하고, 3주간 엄격한 운동 제한을 실시하였다. 3주 후 내원 시 두갈래근 힘줄의 통증은 완전히 소실되었으나 퇴행성 관절염에 의한 경등도의 파행이 존재하여 NSAIDs의 투여를 실시하였다. 장기적인 예후의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원발질환의 재발 시에는 2차 약물치료 또는 힘줄 절단술(힘줄 고정술, 힘줄박리술)등 을 통한 수술적인 치료가 고려될 수 있다.

무균 돈사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대기 중 미생물 탐지기법 확립 (Optimization of monitoring methods for air-borne bacteria i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pig facilities)

  • 이덕용;서연수;강상균;유한상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55-261
    • /
    • 2006
  • Experimental animals have been used to biological and medical purposes and the animals must be, for these purposes, healthy and clean to microbial infection. However, the animals can be easily exposed to pathogenic microorganism via several routes. Of the routes,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keep the animals healthy and clean, especially air condition. Monitoring of air-condition has been required to keep the animal healthy and clean. However, any guideline is not available for experimental conditions with pigs. Therefore, the sampling times and points were compared in different conditions to establish an optimal protocol for monitoring of air borne bacteria. Tryptic soy agar(TSA), blood agar containing 5% defibrinated sheep blood and Sabraud dextrose agar(SDA) were used as media to capture total bacteria, pathogenic bacteria and fungi, respectively. Two methods, compulsive capture using an air-sampler and capturing fall-down bacteria were used to capture the microorganisms in the air. The points and time of capturing were different at each experiment. Air borne microorganisms were captured at three and five points in the open and closed equipments, respectively. Air was collected using an air-sampler for 1 min and 5 min and the agar plates as open status were left from 30 min to 2hr. At first, we monitored an experimental laboratory which dealt with several pathogenic bacteria and then, a protocol obtained from the investigation was applied to open or close experimental conditions with pigs. Number of bacteria was high from 10:00 to 15:00, especially on 13:30-15:30 but sharply decreased after 17:00. The tendency of the number of bacteria was similar between two methods even though the absolute number was higher with air sampler. Critical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ells was observed at 5 min with air sampler and 2 hr with fall-down capturing method. However, 1 min with air sampler and 1 hr with fall-down capturing were the best condition to identify bacterial species collected from the air. Number of bacteria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ampling points in closed condition but not in opened condition. Based on our results, a guide-line was suggested for screening air-borne microorganism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ith pigs.

액체배양 방법을 이용한 멸종위기종 복주머니란 종자 무균발아 및 증식 (Propagation of asymbiotically germinated seedlings with liquid culture for endangered lady's slipper orchid (Cypripedium macranthos Sw.))

  • 이정관;허윤선;박상임;박재성;정미진;손성원;서강욱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45-45
    • /
    • 2018
  • We had already reported the successful germination for green pods of purple lady's slipper orchid (Cypripedium macranthos Sw.). The green pod methods is to take immature seeds in green capsules, sterilize the capsule, and take out the sterile seeds. This method, however, needs very critical time of harvest. The critical time of seed harvest changes depending upon the species, condition of the specimen, and climatic influence, and the right time lies between 5 and 12 weeks after fertilization. In this study, the mature seeds were collected after 120-130 days with hand-polination of lady's slipper orchids. Mature seeds are usually dormant and it has to be overcome, either with hormone or storing the seeds near freezing for two or three months to break dormancy. The seeds were first surface sterilized with 70% ethanol and then transferred 1% NaOCl for 10-15 minutes, followed by rinses 3 times with sterilized distilled water. The cypripedium seeds consists of an embryo within a seed coat known as a testa. The testa is water repellent and the seed has a large air space between the embryo and testa so the seed tends to float on water. We had resolved the problems with vacuum pump to soak water into the testa before sterilization. The seeds were placed on liquid or agar solidified germination media. Cultures were incubated at $24{\pm}1^{\circ}C$ in dark. The seeds were germinated in 6-8 weeks in liquid suspension culture (germination percentage over 18%); however, the seeds on agar solidified media took more than 5 months to germinate and the germination percentage less than 5%. The most effective media for liquid culture was 1/4 strength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with 50 ml/l coconut water ($4brix^{\circ}$) at pH 5.8.

  • PDF

유통중인 발아현미밥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Cooked Germinated-brown Rice)

  • 박종대;최봉규;금준석;이현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1-106
    • /
    • 2005
  • 시중에 유통중인 발아현미 무균포장밥 제품 2종을 대상으로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64.5\%$였으며 주요 유리당은 glucose, sucrose, maltose로 A 제품은 glucose가 $0.20\%$, B 제품은 sucrose 함량이 $0.50\%$로 각각 가장 많았다. 발아현미밥의 백색도는 69.32로 B 제품이 높았으며, vitamin E 함량은 A 제품이 $30.7\;{\mu}g/100g$, B제품이 $46.9\;{\mu}g/100g$이었고, 식이섬유 함량은 A 제품이 $2.8\%$, B 제품이 $2.2\%$로 분석되었다. DSC 특성에서는 두 제품이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peak 1의 호화개시온도는 각각 $56.5^{\circ}C$, $56.2^{\circ}C$ 호화엔탈피는 5.46 J/g, 5.56 J/g이었다. Peak 2의 호화개시온도는 $109.5^{\circ}C$, $108.9^{\circ}C$이고 용융엔탈피는 0.33 J/g, 0.37 J/g였다. 관능평가 결과에서는 외관, 맛, 조직감에서 높은평가를 받은 B 제품이 더 양호한 전반적기호도를 나타내었다.

균근 형성과 소나무 유묘 생장이 우수한 송이 균주의 선발 (Korean Tricholoma matsutake Strains that Promote Mycorrhization and Growth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 전성민;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55-165
    • /
    • 2016
  • 송이산의 방치, 기주식물의 질병, 산불, 기후변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국내외 송이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어 송이균의 생태적 특성을 이용한 인공재배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송이 접종묘 생산에 적합한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무균 배양병 내에서 소나무 유묘와 송이균 간의 외생균근 합성을 시도하였다. 송이 균근 형성률은 총 19개 균주 중 5개 균주(NIFoS 421, 434, 1681, 1984, 2001)가 80% 이상을 나타냈다. 7개 송이 균주(NIFoS 434, 441, 561, 562, 1016, 1807, 1812)는 평균 3.0 이하의 S/R ratio를 나타내었고, 소나무 유묘 지상부의 생물량이 지하부보다 2.0~4.8배 정도 높았다. 8개 균주(NIFoS 441, 561, 562, 1016, 1807, 1812, 1984, 2001)는 유묘의 지상부 부피 생장에, 3개 균주(NIFoS 441, 562, 1812)는 균근을 형성하면서 지하부 부피 생장을 돕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시험균을 접종한 지 6개월 후, 총 19개 시험균 중 4 균주 (NIFoS 434, 561, 1984, 2001)는 타 균주들에 비해 송이균의 균근 형성력과 소나무 유묘 생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송이 접종묘 제작에 있어 이들의 활용이 기대된다.

통일형수도와 일본형수도에 있어서 종근.분리근의 생육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rowth of Excised Root between Indica- Japonica Hybrids and Japonica Type in Paddy Rice)

  • 김진호;서인석;이성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7-154
    • /
    • 1989
  • 일본형 수도, 통일형 수도 및 통일형 수도의 교배친 등을 공시하여 이의 종근으로부터 근단을 1cm로 절취한 분리근을 천전 등의 $\ulcorner$개량배지$\lrcorner$를 기본으로 하여 pH, 당농도, Casamino acid 농도 등을 달리한 oq지에 무균배양한 분리근의 생장 튿성을 비교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리근의 근장은 27$^{\circ}C$구에서는 일본형품종과 다수형 품종간에 별차이는 없었으나 3$0^{\circ}C$구에서는 일본형 수도에 비교해서 통일형 품종의 신장이 현저히 양호하였다. 2. 분리근의 건물중은 27$^{\circ}C$구 및 3$0^{\circ}C$구 공히 일본형 품종에 비교해서 통일형 품종이 현저하게 무거운 것으로 인정되었다. 3. 일본형 품종과 통일형 품종간에 나타난 분리근의 건물중 차이는 주로 측근발육의 양부에 따른 것으로 특히 2~3cm길이의 특근수에 차이가 인정되었다. 4. Casamino acid 반응에서 일본형 품종은 주근 및 측근의 생장이 0.2%구에서 양호하였으나, 통일형 품종에서는 대부분의 품종이 주근의 신장은 Casamino acid 무처리구에서 측근의 생장은 0.2%구에서 매우 양호하였다. 5. 분리근의 생장은 배지의 pH, 당농도 및 Casamino acid 농도 등을 달리한 경우에 있어서도 통일형 품종이 일본형 품종보다 양호하였다. 6. 통일형 품종의 교배친중 인도별 품종과 일본형 품종에 있어서 전자는 후자보다 분리근의 생장이 양호하였을 뿐만 아니라 Casamino acid반응이 통일형 품종과 거의 같은 경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개의 어깨 관절에서 박리성 골연골염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탐색적 관절내시경의 적용 (Exploratory Arthroscopic Treatment to Diagnose and Treat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Shoulder Joint in a Dog)

  • 김충섭;이해범;최을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6-149
    • /
    • 2013
  • 6개월 된 수컷 Great Pyrenees (35 kg)가 왼쪽 앞다리에 2주 동안 지속된파행으로 전북동물의료센터에 내원하였다. 파행은 병원 내원 3일 전부터 더욱 심해졌다고 한다. 신체검사 상에서 환자는 왼쪽 어깨 부분에 통증을 보였고, 보행 검사에서 파행을 보이고 있었다. 방사선 검사와 신경계 신체검사에서는 유의적인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의학적 기왕력과 보행검사를 토대로 박리성 골연골염을 의심하였다. 어깨관절에 대한 확실한 진단을 위해서, 탐색적 관절내시경 수술이 시행되었다. 미미한 두갈래근건초염과, 활막염, 그리고 상완골 머리 후내측에 위치한 박리성 골연골염 병변이 관찰되었다. 연골편의 제거, 연골하골의 변연절제가 관절내시경과 전기 버(electric burr)를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환자는 수술 다음 날에 퇴원하였다. 2주 후, 환자는 술 부를 핥아서 생긴 염증과 피하조직에 생긴 장액종으로 인해 내원하였다. 항생제 처치와 무균적 붕대가 적용되었고, 장액종은 수술적으로 제거되었으며, 관절내시경을 실시한 11주 후 환자의 보행은 정상이었다. 관절내시경은 관절낭 안쪽의 구조물 관찰이 가능하기 때문에 진단이 어려운 관절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