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목표언어

Search Result 47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National IT Ontology Construction (국가 IT 온톨로지 구축)

  • Kim, Jae-Ho;Shin, Ji-Ae;Choi, Key-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16-19
    • /
    • 2006
  • 본 논문은 2006년부터 시작된 "국가 IT 온톨로지 인프라 기술개발" 과제의 온톨로지 구축 부분을 소개한다. 이 과제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의 5년 과제로 산학연이 참여하여, 국가 IT 분야에 범용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IT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인터넷, 인트라넷,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제공되는 각종 IT 서비스에 적용하여 seamless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온톨로지는 한-영 2개의 언어로 제작되며, 국제표준 언어인 OWL을 사용하여 국내외적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대용량 IT 온톨로지를 목표로 한다.

  • PDF

The Study on Intraoral Pressure, Closure Duration, and VOT During Phonation of Korean Bilabial Stop Consonants (한국어 양순 파열음 발음시 구강내압과 폐쇄기, VOT에 대한 연구)

  • 표화영;최홍식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6.11a
    • /
    • pp.89-89
    • /
    • 1996
  •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말의 양순 파열음인 /ㅂ, ㅃ, ㅍ/의 발음시, 각각의 음소에서의 구강내압의 크기와 폐쇄기 및 VOT의 길이를 측정하고, 목표 자음이 어두에 나올 때 및 음절 초에 나올 때, 그리고 어음을 보통 소리로 말했을 때와 큰 소리로 말했을 때, 그 세 측정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채취된 어음의 구강내압은 발음시 Pressure sensor를 사용함으로써 산출된 파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폐쇄기와 VOT는 컴퓨터에 입력된 음성신호를 Spectrogram으로 분석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양순 파열음 중 구강내압은 /ㅍ/>/ㅃ/>/ㅂ/의 순이었고, 폐쇄기의 길이는 /ㅃ/>/ㅍ/>/ㅂ/, 그리고, VOT의 길이는 /ㅍ/>/ㅂ/>/ㅃ/의 순이었다. 양순 파열음이 어두에 올 패보다 음절 초에 올 때 더 큰 구강내압을 보였으며, 폐쇄기의 길이는 더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VOT의 길이도 폐쇄기와 마찬가지로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양순 파열음을 큰 소리로 발음했을 때, 목표 자음의 위치에 상관없이, 구강내압의 크기는 의미 있게 커졌으며, 폐쇄기와 VOT는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

Design of Chatterbot for Internet Slangs (통신어를 위한 채팅로봇 설계)

  • Jeon, Kil-Ho;Kim, Jae-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0.10a
    • /
    • pp.155-157
    • /
    • 2010
  • 채팅로봇이란 인간과 기계가 서로 대화를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그 목표는 나와 대화를 하고 있는 상대방이 실제 인간인 것처럼 생각하도록 하는 것이다. 오늘날도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노력하고 있으며, ELIZA, Julia, ALICE, 심심이 등 많은 채팅로봇이 개발되어 일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많은 종류의 채팅로봇은 대부분 단순 패턴매칭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에 정의된 적절한 응답을 출력하는 것에 불과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을 통해서 채팅할 때 사용하는 여러 형태의 통신어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입력된 문장에 대해 형태소 분석과 품사부착을 통해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고 분석된 구조를 토대로 모호한 문장의 패턴을 인식하여 인식률을 높이는 형태이다. 채팅로봇은 인터넷 업계에서 단순한 대화상대뿐만 아니라 특정 주제를 가진 홈페이지 또는 각종 쇼핑몰에서 다방면으로 그 활용도가 높기 때문에 성능이 높은 채팅로봇을 제작하여 사용한다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a Dialogue State Tracking System utilizing the Results of Rule and Statistics-based System and Evaluation using User Simulator (규칙 및 통계 기반 시스템의 결과를 활용하는 대화 상태 추적 시스템의 개발 및 사용자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평가)

  • Shin, Chang-Uk;Chang, Du-Seong;Cha, Jeong-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518-52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목적 지향 대화 시스템을 위한 대화 상태 추적 시스템과 사용자 시뮬레이터를 설계 및 제안한다. 사용자 시뮬레이터는 작성된 대화 상태 추적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대화 상태 추적 시스템은 대화 기록과 함께 사전에 학습된 대화 기록 및 규칙/통계 기반 추론 시스템의 추론 결과를 입력으로 받는다. 그리고 입력된 발화 기록 중 마지막 사용자 발화의 사용자 목표와 개체명 그리고 다음 시스템 발화의 화행을 추론한다. 또한, 작성된 대화 상태 추적기의 성능을 평가하고 분석하기 위해, 주어진 환경에서 시스템과 대화를 수행하며 대화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사용자 시뮬레이터를 구현 및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실험과 분석을 통해, 규칙 및 통계 기반의 기반 시스템을 이용해 목표 시스템의 성능 개선이 가능함을 보인다. 또한, 제안하는 사용자 시뮬레이터는 규칙과 통계를 이용해 평가 코퍼스 없이 여러 상황에 대해 대화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 PDF

Enhancing Open-Ended Knowledge Tracing with Prefix-Tuning (Prefix-Tuning 기반 Open-Ended Knowledge Tracing 모델 연구)

  • Suhyune Son;Myunghoon Kang;Aram So;Heuiseok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672-676
    • /
    • 2023
  • 지식 추적 (knowledge tacing)은 주어진 학습자의 과거 문제 해결 기록을 기반으로 학습자의 지식 습득 정도를 파악하여 목표 문제에 대한 정답 여부를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전 연구에서는 이진 분류 기반의 모델을 사용하여 정답 유무만 예측하였기 때문에 학습자의 답변에 존재하는 정보를 활용하지 못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이를 생성 태스크로 변환하여 컴퓨터과학 분야에서 프로그래밍 질문에 대한 지식 추정을 수행하는 open-ended knowledge tracing (OKT)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최적의 OKT 모델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학습자의 지식 상태에 따라 답변 생성을 조정하는 새로운 OKT 방법론을 제안한다. 실험을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의 우수성과 효율성을 증명한다.

  • PDF

Interaction of native language interference and universal language interference on L2 intonation acquisition: Focusing on the pitch range variation (L2 억양에서 나타나는 모국어 간섭과 언어 보편적 간섭현상의 상호작용: 피치대역을 중심으로)

  • Yune, Youngsook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3 no.4
    • /
    • pp.35-46
    • /
    • 2021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nteractive aspects between pitch reduction phenomena considered a universal language phenomenon and native language interference in the production of L2 intonation performed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To investigate their interaction, we conducted an acoustic analysis using acoustic measures such as pitch span, pitch level, pitch dynamic quotient, skewness, and kurtosis.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ext comprehension and pitch was examined. The analyzed material consisted of four Korean discourses containing five and seven sentences of varying difficulty. Sev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irty Chinese learners who differed in their Korean proficiency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test. The results, for differences by language, showed that Chinese had a more expanded pitch span, and a higher pitch level than Korean. The analysis between groups showed that at the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pitch reduction was prominent, i.e., their Korean was characterized by a compressed pitch span, low pitch level, and less sentence internal pitch variation. Contrariwise, the pitch use of advanced speakers was most similar to Korean native speaker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xt difficulty and pitch use. Through this study, we observed that pitch reduction was more pronounced than native language interference in the phonetic layer.

Effects of College English FnF (Focus on Form) Class Types on Target Vocabulary and Grammar (대학 교양영어 FnF수업유형이 목표어휘와 목표문법의 습득에 미치는 효과)

  • Kim, Young-hee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7 no.12
    • /
    • pp.371-380
    • /
    • 2017
  • This paper aims to explore a comparative instructional effects among meaning-based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input-enhanced FnF instruction and output-enhanced FnF instruction in order to optimize the teaching methods of target grammar and vocabulary. The experiment selected three homogeneous groups of 30 students in each group for the comparison: One comparative group with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one input-enhanced FnF group and another output-enhanced FnF group.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input-enhanced group outperformed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grammar tes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output-enhanced group overweighted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vocabulary test. However,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input-enhanced group and the output-enhanced group. The conclusion from the result could bear the following pedagogical implication: The general English education must use the eclectic method of adopting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with FnF of input-enhanced target grammar and output-enhanced target vocabulary to supplement the students with the basic vocabulary and grammar.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of Detail Design Language of the Idiosyncrasy of Community Facilities with the Qualitative Method - in Cases of Concord, Lexington and Arlington, Massachusetts - (정성적 접근방법에 따른 도시 커뮤니티 시설 특성의 상세설계 언어 형상에 관한 연구 - 콩코드(Concord), 렉싱톤(Lexington), 알링톤(Arlington) 타운을 사례로 -)

  • Kwon, Sang-Z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5 no.5
    • /
    • pp.1-15
    • /
    • 2007
  • 본 연구는 커뮤니티 시설 상세 설계의 대상물에 대한 질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그 대상물의 이미지를 상징화하는 단계적 발전 과정을 거쳐 그 시설의 상세 설계적 언어를 형상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례로 역사적, 문화적, 전이적 특성을 지닌 세 커뮤니티를 조사하여 디자인 언어와 상징화되는 이미지를 구명해 보면서 디자인 언어의 구성과 설계요소와의 관계 커뮤니티의 목표 등과 연관시켜 커뮤니티의 본질성을 추구하는 수단을 평가 분석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커뮤니티 시설의 상세 설계 언어의 형상을 검토하는 방법을 통섭적으로 제시하였다. 설계 언어의 형상 분석의 수단을 구체화 하는 데는 시각적 형태, 설계 주제의 상황, 설계요소의 관계성, 설계요소의 위치와 구성 등과 연관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상세설계 언어의 형상을 개발하는 시도로 네 가지 기본 전제를 세우고 그를 설명해 보았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시설 특성의 상징화를 위한 설계언어연구 대상의 사례로 미국의 전통성이 강한 메사츄세츠주에서 역사적, 문화적, 전이적 특성을 각기 다르게 지니고 있는 콩코드(Concord), 렉싱톤(Lexington), 알링톤(Arlington) 등의 세 커뮤니티를 택하였다. 사례 커뮤니티 시설 특성의 상세 설계 언어의 형상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시각적 노트와 디자인 의미와 그 상징성을 바탕으로 상징과 시각적 언어를 찾으면서 상세 요소의 디자인 언어를 비교하였다. 그를 바탕으로 디자인 언어와 의미 및 그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편익을 기초로 사회, 건강, 환경, 경제 등 네 가지로 세부 분류된 커뮤니티 시설을 검토하였다. 커뮤니티 시설 특성을 파악하는 기법 발굴 과정에서 시작된 시각적 형상으로부터 상징과 그 의미 등을 구명하면서 그를 정성화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설계 언어, 상징적 언어, 커뮤니티, 자연적 심미성 등의 네 가지로 대표되는 평가 요소에 의하여 분석 평가 검토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이 그 상세설계언어의 형상에 관하여 통섭적 접근이 이루어 졌다.

Mapping Heterogenous Hierarchical Concept Classifications for the HLP Applications -A case of Sejong Semantic Classes and KorLexNoun 1.5- (인간언어공학에의 활용을 위한 이종 개념체계 간 사상 -세종의미부류와 KorLexNoun 1.5-)

  • Bae, Sun-Mee;Im, Kyoungup;Yoon, A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6-1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인간언어공학에서의 활용을 위해 세종전자사전의 의미부류와 KorLexNoun 1.5의 상위노드 간의 사상을 목표로 전문가의 수작업에 의한 세밀한 사상 방법론(fine-grained mapping method)을 제안한다. 또한 이질적인 두 이종 자원 간의 사상에 있어 각 의미체계의 이질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세종의미부류체계가 밝히고자 했던 한국어의 의미구조와, Prinston WordNet을 참조로 하여 KorLexNoun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는 영어 의미구조를 비교함으로써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언어 독립적인 개념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향후 KorLex의 용언에 기술되어 있는 문형정보와 세종 전자사전의 용언의 격틀 정보를 통합 구축하여 구문분석에서 이용할 때, 세종 의미부류와 KorLexNoun의 상위노드를 통합 구축함으로써 논항의 일반화된 선택제약규칙의 기술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사상방법론은 향후 이종 자원의 자동 사상 연구에서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아울러 두 이종 자원의 사상을 통해 두 의미체계가 지닌 장점을 극대화하고, 동시에 단점을 상호 보완하여 보다 완전한 언어자원으로써 구문분석이나 의미분석에서 이용될 수 있다.

  • PDF

Automatic Evaluation of Speech and Machine Translation Systems by Linguistic Test Points (자동통번역 시스템의 언어 현상별 자동 평가)

  • Choi, Sung-Kwon;Choi, Gyu-Hyun;Kim, You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1041-1044
    • /
    • 2019
  • 자동통번역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가장 잘 알려진 자동평가 기술은 BLEU이다. 그러나 BLEU로는 자동통번역 결과의 어느 부분이 강점이고 약점인지를 파악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통번역 시스템의 언어 현상별 자동평가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언어 현상별 자동평가 방법은 BLEU가 제시하지 못하는 언어 현상별 자동평가가 가능하며 개발자로 하여금 해당 자동통번역 시스템의 언어 현상별 강점과 약점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언어 현상별 정확도 측정은 Google 과 Naver Papago 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정확률이 40%이하를 약점이라고 간주할 때, Google 영한 자동번역기의 약점은 스타일(32.50%)번역이었으며, Google 영한 자동통역기의 약점은 음성(30.00%)인식, 담화(30.00%)처리였다. Google 한영 자동번역기 약점은 구문(34.00%)분석, 모호성(27.50%)해소, 스타일(20.00%)번역이었으며, Google 한영 자동통역기 약점은 담화(30.00%)처리였다. Papago 영한 자동번역기는 대부분 정확률이 55% 이상이었으며 Papago 영한 자동통역기의 약점은 담화(30.00%)처리였다. 또한 Papago 한영 자동번역기의 약점은 구문(38.00%)분석, 모호성(32.50%)해소, 스타일(20.00%)번역이었으며, Google 한영 자동통역기 약점은 담화(20.00%)처리였다. 언어 현상별 자동평가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동통번역기의 다양한 약점을 찾아내어 약점과 관련된 targeted corpus 를 반자동 수집 및 구축하고 재학습을 하여 자동통번역기의 성능을 점증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