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목표안전수준

Search Result 19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alculation of future rainfall scenarios to consider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in Seoul City's hydraulic facility design standards (서울시 수리시설 설계기준의 기후변화 영향 고려를 위한 미래강우시나리오 산정)

  • Yoon, Sun-Kwon;Lee, Taesam;Seong, Kiyoung;Ahn, Yuj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6
    • /
    • pp.419-431
    • /
    • 2021
  • In Seoul,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duration of rainfall is shortened and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heavy rains are increasing with a changing climate. In addition, due to high population density and urbanization in most areas, floods frequently occur in flood-prone areas for the increase in impermeable areas. Furthermore, the Seoul City is pursuing various projects such as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measures to resolve flood-prone areas. A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target wa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climate change impact of future precipitation, and this study conducted to reduce the overall flood damage in Seoul for the long-term. In this study, 29 GCMs with RCP4.5 and RCP8.5 scenarios were used for spatial and temporal disaggregation, and we also considered for 3 research periods, which is short-term (2006-2040, P1), mid-term (2041-2070, P2), and long-term (2071-2100, P3), respectively. For spatial downscaling, daily data of GCM was processed through Quantile Mapping based on the rainfall of the Seoul station manag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for temporal downscaling, daily data were downscaled to hourly data through k-nearest neighbor resampling and nonparametric temporal detailing techniques using genetic algorithms. Through temporal downscaling, 100 detailed scenarios were calculated for each GCM scenario, and the IDF curve was calculated based on a total of 2,900 detailed scenarios, and by averaging this, the change in the future extreme rainfall was calcula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ability of rainfall for a duration of 100 years and a duration of 1 hour increased by 8 to 16% in the RCP4.5 scenario, and increased by 7 to 26% in the RCP8.5 scenario.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mount of rainfall designed to prepare for future climate change in Seoul was estimated and if can be used to establish purpose-wise water related disaster prevention policies.

Risk Management and Strategies in Airport Security Check (공항 보안검색에 있어서의 위험관리와 대응과제)

  • Kim, Jae-Woon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34
    • /
    • pp.89-113
    • /
    • 2013
  • Travel by airplane using airport in globalized modern society is familiar to our life but such airport can be a target of terrorists who would threaten our safety. However, aviation terrorism which is represented by 9.11 terror gives horror beyond our imagination to modern people. Since the first airplane hijacking in Peru in 1931 happened, security organization in each nation has taken various prevention measures to block aviation terrorism. The most realistic measures to prevent aviation terrorism would be security check activity to control approach of terrorist that passengers on airplane and cargos are checked to find out dangerous article like explosive etc. But security check activity in Korea shifted to security check activity focused on private security for efficiency of airport operation differently from security check activity in advanced countries where public interests is strengthened according to risk of terror after 9.11 system. That is, since Incheon airport opened in March 2001, security check system focused on the police was changed. Now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instructs and supervises security check job and private security personnel are in charge of actual security check activity. But this check system has limitation in blocking terror activity by terrorists which is systematized and intelligent as time passes due to deteriorated job satisfaction of private security personnel and confusing supervising system.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o introduce risk management skill which is one of management strategy of private corporation for security check activity to prevent terror activity. With this skill, risk factors of aviation terror are identified and analyzed regularly, and each process such as setting of priority, activity to reduce risk, and assessment of security is carried out.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do efforts, for example, to properly change level of security check according to threat of terror such as to place policeman at airport security in case threat of terror is severe.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ational police organization for good communication of security check activity in field and supervising function, which can encourage systemat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aviation security job.

  • PDF

Preparation of an Inactivated Influenza Vaccine Using the Ethanol Extracts of Medical Herbs (한약재 식물 에탄올추출물을 이용한 인플루엔자 불활화백신 제작)

  • Cho, Sehee;Lee, Seung-Hoon;Kim, Seonjeong;Cheong, Yucheol;Kim, Yewon;Kim, Ju Won;Kim, Su Jeong;Seo, Seungin;Seo, Dong-Won;Lim, Jae-Hwan;Jeon, Sejin;Jang, Yo Ha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2 no.12
    • /
    • pp.919-928
    • /
    • 2022
  • As seen in the COVID-19 pandemic, unexpected emergence of new viruses presents serious concern on public health. Especially, the absence of effective vaccines or antiviral drugs against emerging viruses significantly increases the severity of disease and duration of viral circulation among population. Natural products have served as a major source for safe and effective antiviral drug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virucidal activity of medical herb extracts with a view to discover novel antiviral agents with desired levels of safety and antiviral efficacy. Ethanol extracts of ten selected medical herbs were tested for antioxidant activity and in-vitro cytotoxicity in various animal cell lines. Of note, the herbal extracts showed broad and potent virucidal activities against rotavirus, hepatitis A virus, and influenza A virus. The extracts of Sorbus commixta and Glycyrrhiza uralensis showed strong virucidal activities against influenza A virus. We also examined whether the extracts of Sorbus commixta and Glycyrrhiza uralensis can be used as inactivating agents to prepare an inactivated viral vaccine. In a mouse model, influenza A virus inactivated by the extracts elicited high levels of neutralizing antibodies, and the vaccination provided complete protection against lethal challen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rb-derived natural products can be developed to antiviral drugs as well as inactivating agents for preparation of inactivated viral vaccin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e-Parenthood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Home Economics subject (고등학생을 위한 가정교과 기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Noh, Heui-Yeon;Cho, Jae Soon;Chae, Jung Hyu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9 no.4
    • /
    • pp.161-19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pre-parenthood education program(PPEP) based on Home Economics(HE) subject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PEP based on HE subject in this study followed ADDIE model except implementation through 4 processes such a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First, program development directions were set in three aspects such as 'general development',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mes of the program are 11 in total such as '1. Parenting, what is being a parent', '2. Choosing your spouse, happy marital relationship, the best gift to your children', '3. Pregnancy and birth, a moving meeting with a new life', '4. Taking care of a new born infant for 24 hours', '5. Taking care of infants, relationship with my lovely baby, attachment', '6. Taking care of young children, my child from another planet', '7. Parents and children in healthy family', '8. Parent-child relationship, wise parents to make effective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9. Parents safety manager at home,', '10. Practice to take care of infants', and '11. Practice of community nurturing support service development'. In particular, learning activities of the program have major characteristics such as 1) utilization of cases including practice problems related to parenting, 2) community exchange activities utilizing learned knowledge and techniques, 3) actual life project activities utilizing learning contents related with parenting, 4) activities inducing positive changes in current life of high school students, and 5) practice activities for the necessities of life such as food, clothing and shelter supporting development of children. Second, the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sign. Teaching-learning plans and materials for 17 classe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11 themes. The developed plans include class flow and teacher's reference. It starts with receiving a class-related message from a virtual child at the introduction stage and ended with replying to the message by summarizing contents of the class and making a promise as a parent-to-be. That is the basic frame of class flow. Learning materials included various plans and reports necessary for learning activities and they are prepared in details so that they can be play the role of textbooks in regular curriculum. Third, evaluation of developed program was executed by a 5 point Likert scale survey on 13 HE experts on two aspects of program development process and program development results. In the evaluation of development process, mean value was 4.61 and index of content validity was 97.4%. For development results, mean value was 4.37 and index of content validity was 86.9%. These values showed that validity i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results in this study was highly secured and confirmed that PPEP based on HE was appropriate and valid to enhance parent qualifications of high school learners.

Relationship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in the Cement Based Solid Product for Consolidating Disposal of Medium-Low Level Radioactive Waste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용 시멘트 고화체의 압축강도와 동탄성계수의 관계)

  • Kim, Jin-Man;Jeong, Ji-Yong;Choi, Ji-Ho;Shin, Sang-Chul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5 no.3
    • /
    • pp.321-329
    • /
    • 2013
  • Recently, the medium-low level radioactive waste from nuclear power plant must be transported from temporary storage to the final repository. Medium-low level radioactive waste, which is composed mainly of the liquid ion exchange resin, has been consolidated with cementitious material in the plastic or iron container. Since cementitious material is brittle, it would generate cracks by impact load during transportation, signifying leakage of radioactive ray. In order to design the safety transporting equipment, there is a need to check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urrent waste. However, because it is impossible to measure strength by direct method due to leakage of radioactive ray, we will estimate the strength indirectly by th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Therefore, it must b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of strength and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According to the waste acceptance criteria,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 based solid is defined as more than 3.44 MPa (500 psi). Compressive strength of the present solid is likely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is baseline because of continuous hydration of cement during long period. On this background, we have tried to produce the specimens of the 28 day's compressive strength of 3 to 30 MPa having the same material composition as the solid product for the medium-low level radioactive wast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ngth and th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By controling the addition rates of AE agent, we made the mixture containing the ion exchange resin and showing the target compressive strength (3~30 MPa). Th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of this mixtures is 4.1~10.2 GPa, about 20 GPa lower in the equivalent compressive strength level than that of ordinary concrete, and increasing the discrepancy according to increase strength.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show the liner relationship.

A Study about the Direction and Responsibility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Agency to the Cyber Security Issues (사이버 안보에 대한 국가정보기구의 책무와 방향성에 대한 고찰)

  • Han, Hee-Won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39
    • /
    • pp.319-353
    • /
    • 2014
  • Cyber-based technologies are now ubiquitous around the glob and are emerging as an "instrument of power" in societies, and are becoming more available to a country's opponents, who may use it to attack, degrade, and disrupt communications and the flow of information. The globe-spanning range of cyberspace and no national borders will challenge legal systems and complicate a nation's ability to deter threats and respond to contingencies. Through cyberspace, competitive powers will target industry, academia, government, as well as the military in the air, land, maritime, and space domains of our nations. Enemies in cyberspace will include both states and non-states and will range from the unsophisticated amateur to highly trained professional hackers. In much the same way that airpower transformed the battlefield of World War II, cyberspace has fractured the physical barriers that shield a nation from attacks on its commerce and communication. Cyberthreats to the infrastructure and other assets are a growing concern to policymakers. In 2013 Cyberwarfare was, for the first time, considered a larger threat than Al Qaeda or terrorism, by many U.S. intelligence officials. The new United States military strategy makes explicit that a cyberattack is casus belli just as a traditional act of war. The Economist describes cyberspace as "the fifth domain of warfare and writes that China, Russia, Israel and North Korea. Iran are boasting of having the world's second-largest cyber-army. Entities posing a significant threat to the cybersecurity of critical infrastructure assets include cyberterrorists, cyberspies, cyberthieves, cyberwarriors, and cyberhacktivists. These malefactors may access cyber-based technologies in order to deny service, steal or manipulate data, or use a device to launch an attack against itself or another piece of equipment. However because the Internet offers near-total anonymity, it is difficult to discern the identity, the motives, and the location of an intruder. The scope and enormity of the threats are not just focused to private industry but also to the country's heavily networked critical infrastructure. There are many ongoing efforts in government and industry that focus on making computers, the Internet, and related technologies more secure. As the national intelligence institution's effort, cyber counter-intelligence is measures to identify, penetrate, or neutralize foreign operations that use cyber means as the primary tradecraft methodology, as well as foreign intelligence service collection efforts that use traditional methods to gauge cyber capabilities and intentions. However one of the hardest issues in cyber counterintelligence is the problem of "Attribution". Unlike conventional warfare, figuring out who is behind an attack can be very difficult, even though the Defense Secretary Leon Panetta has claimed that the United States has the capability to trace attacks back to their sources and hold the attackers "accountable". Considering all these cyber security problems, this paper examines closely cyber security issues through the lessons from that of U.S experience. For that purpose I review the arising cyber security issues considering changing global security environments in the 21st century and their implications to the reshaping the government system. For that purpose this study mainly deals with and emphasis the cyber security issues as one of the growing national security threats. This article also reviews what our intelligence and security Agencies should do among the transforming cyber space. At any rate, despite of all hot debates about the various legality and human rights issues derived from the cyber space and intelligence service activity, the national security should be secured.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immediate step is to understanding the legal ideology of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intelligence.

  • PDF

우리나라의 모자보건사업 (여성과 어린이 건강문제와 증진방안)

  • Park Jeong-Han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7b
    • /
    • pp.3-17
    • /
    • 2002
  • 국민건강은 국가발전의 기본조건이다. 국민건강은 건강한 어린이의 출산에서 비롯되고, 건강한 어린이의 출산을 위하여 여성이 건강해야 한다 따라서 여성과 어린이 건강보호와 증진을 위한 모자보건사업은 국가보건사업 중 최우선 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모자보건사업은 1960대부터 보건소를 통하여 가족계획, 산전관리, 안전분만유도, 예방접종을 중심으로 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와 전국민의료보험의 실현과 국민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산전관리 수진율과 시설분만율이 급격히 증가하여 1990년대 후반에는 거의 100%에 도달하였고, 가족계획실천율도 1991년에 79.4%까지 증가하여 합계출산율이 1.6으로 감소하였고, 어린이 기본예방접종률도 90%이상이 되어 전염병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전통적인 모자보건사업 관련 지표들이 이렇게 향상되자 일선 보건요원에서부터 중앙정부의 정책결정권자에 이러기까지 모자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져 중앙부처의 모자보건업무 담당 부서도 축소되고, 모자보건 사업도 쇠퇴하였다. 그러나 어린이와 여성의 건강실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심각한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시설 분만율의 증가에 따라 제왕절개분만율이 40%대까지 급증하였고, 모유수유률은 10%대로 떨어졌다. 어린이의 체격은 커지고 있으나 체력은 떨어지고, 비만한 어린이가 급증하여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 유병률이 어린이들에게 증가하고, 사고에 의한 어린이 사망과 장애가 늘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의 흡연율과 음주률이 증가하고, 성적 성숙이 빨라지고 사회의 개방풍조로 성(性)활동 연령이 낮아지고 성활동이 증가하여 혼전임신과 성폭력이 증가하고 있다. 여성들은 일찍 단산하고, 폐경 연령은 높아지고, 평균수명은 길어져 중년기와 장년기 그리고 노년기가 길어져 각종 만성질환에 이환될 기회가 늘어났다. 이러한 시기의 중요 건강문제들은 뇌혈관질환, 폐암, 유방암, 골다공증, 뇨실금 등과 같이 해결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이렇게 어린이와 여성들에게 새로운 건강문제들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대응정책이 없었고, 따라서 새로운 모자보건사업이 개발되지 않았으며 일선 보건요원의 훈련도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건강실태를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하고, 보건사업을 평가할 수 있는 보건정보체계가 없는 실정이다. 1990년대 중반에 소수의 학자들이 어린이와 여성건강문제의 심각성을 제기하고, 모자보건사업 활성화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보건복지부가 '모자보건선도보건사업'이라는 이름으로 19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간 23개 보건소에서 시범사업을 시행하였다. 이 시범사업에서는 한정된 자원으로 여성과 어린이 보건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보건사업의 개발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의 개발에 역점을 두어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시범사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2002년에는 전국의 45개 보건소로 확대해나가고 있다. 모자보건선도보건사업에서는 임산부가 대상이었던 기존의 모자보건사업과는 달리 신생아, 영유아, 학동기 어린이, 청소년, 그리고 신혼부부에서부터 장년기 여성에 이르기까지 사업대상을 확대하고 생애주기에 따라 지역사회 건강문제해결을 목표로 한 보건사업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사업수행 과정에서 보건소는 지역내 대학과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기술적 지원을 받고, 보건요원의 교육 훈련을 통해 사업기획 능력과 전문지식과 기술을 향상시켰고, 보건교육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를 구입하였고, 민간의료기관과 연계하여 보건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켰다. 모자보건 선도보건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취약계층 중심의 보건교육, 상담 및 지도, 고위험대상자 조기발견 및 민간기관 의뢰 및 주구관리, 질병 조기발견을 위한 검진 의뢰, 지역 보건통계 생산과 관리, 그리고 지역내 가용자원 안내 등이며,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민간의료기관에 의뢰 또는 검진비용을 지원하였다. 이와 같이 지역사회 민간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함에 따라 대상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하게 되었고,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치료, 사후관리를 포함한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고위험 및 건강의심 대상, 임부와 장년기 여성에 대해서는 건강검진서비스를 과감히 민간기관에 의뢰, 위탁하친 보건소는 상담자, 정보관리자로서의 역할로 전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업관리자의 양적 평가에 대한 고정관념과 질적 평가에 대한 인식부족, 기본 생정통계와 정보체계의 미비로 인한 부정확한 통계생산, 사업요원의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 그리고 인력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효율적인 사업확산과 조기 정착을 위해 중앙정부의 일관성 있는 정책과 재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며, 보건정보체계확립, 그리고 공공보건기관과 민간의료기관간의 공식적인 협력체계확립이 필요하다. 사업추진 모니터링 및 평가, 조정을 위하여 중앙에 '모자보건 선도사업 기술지원단'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프로그램 운영이 잘되는 보건소를 특성화 보건소로 지원 육성하고, 사업요원의 업무 적정화를 위한 보건소 조직과 기존 보건사업체계의 평가와 재편이 필요하다. 보건사업요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훈련 시스템과 보건통계생산 관리를 위한 정보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모자보건사업관련 보건교육자료를 수집하고 개발하여 전국 보건소에 공급하는 중앙 보건교육자료 및 정보센터가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mandatory insurance for aircraft operators (항공보험 가입의무에 관한 연구)

  • Lee, Chang-Jae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33 no.2
    • /
    • pp.169-19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reasonable and concrete standard for the Korean aviation insurance compulsory subscription system. Through this, we aim to improve the current revision of laws and regulations, and ultimately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safety and property of the Korean people who use aircraft with appropriate aviation insurance can be secured. In particular, by reviewing the aviation business law and its new laws and regulations enacted in 2017, the legislative improvement direction of aviation insurance will be proposed. In order to maintain the continuous growth of the air transportation industry and to make amicable compensation for the victi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tal accident, instantness, and giganticness of air accidents in which a lot of people and property are los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dequate insurance coverage is essential. In this respect, the compulsory insurance to amend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which is the great principle of the modern judicial system, will be persuasive. However, in comparison with foreign legislation, the legal provisions on Korea's obligation to comply with aviation insurance need to be revised around the following issues: First, it is reasonable to enforce the regulation of the mandatory aviation insurance by legislation from the Congress not by administrative regulations. Because it will force the monetary obligations of the individual such as common air carriers. Second, our law regulations respond to various kinds of air damages by using the phrase "limit of liability stipulated in international conventions". However, as we have seen in the text, the range of compensation are various according to the use of legal instruments in international conventions such as the Montreal Convention, which governs the compensation of passengers for damages to passengers today. Third, in countries with narrow territories, such as Korea,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flying time and insurable risk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vide domestic transportation and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even in the obligation to join the insurance. This dual discipline has the advantage for rookies in air carrier market who mainly start their business from domestic service. Fourth, according to Korean law, the regulations of automobile loss insurance is applicable to the aviation mandatory insurance of unmanned aerial vehicle accident which is lack of persuasion. In the future, it will be appropriate to discipline insuran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with unlimited potential for developmen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Biological Yielding Potential of Rice in Association with Climatic Factors in Yeongnam Region (영남지역 기상과 수도의 한계생산력 해석)

  • Kim, Soon-Chul;Lee, Soo-Kwan;Chung, Geun-Sik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0 no.3
    • /
    • pp.259-270
    • /
    • 1985
  • Meteorological year variations for rice crop from 1973 to 1984 were compared by using air temperature and sunshine hour for nursery period, cooling index for reproductive stage and meteorological yield productivity index for ripening period. The most optimum transplanting date and heading date for crop yield based on real transplanting date-grain yield relationship or heading date-grain yield relationship, meteorological yield productivity index and actual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 each other. Around May 26 for transplanting and August 10 for heading were the most optimum date in Indica/Japonica hybrid cultivars while these were about June 8 and August 23 for Japonica cultivar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oretical late limiting heading date for safe ripening were August 20 for Indica/Japonica hybrid cultivars and August 30 for Japonica cultivars, respectively, for both methods, cumulative temperature method during ripening with 80% believable frequency and meteorological yield productive index method having 1000(kg/10a) yielding potential. Based on the yield forecast trial, the highest values of photosynthetic efficiency, 2.5%, and crop growth rate, 23g/㎡/day, were recorded during 30 days before rice heading. Considering the photosynthetic efficiency and solar radiation, the potential crop growth rate was more or less 30g/㎡/day and the biological grain yielding potential in a existing cultural practices was approximately 900-1000(kg/10a) in Milyang weather condition. To increase further yielding potential, either photosynthetic efficiency or harvest index or both should be improved by manipulating appropriate canopy architecture, plant spacing, fertilizer, chemical, etc.

  • PDF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