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목타르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dhesive Properties of Phenol Resin Adhesive Mixed with Wood Tar (목타르 혼합 페놀수지접착제의 접착성능)

  • Park Sang-Bum;Kim Su-Won;Park Byung-Dae;Han Tae-Hyung;Kang Eun-Chang;Park Jong-Young;Mun Sung-Phil
    • Journal of Korea Foresty Energy
    • /
    • v.24 no.1
    • /
    • pp.28-32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a new use of wood tar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wood charcoal. Plywoods made of phenol adhesives mixed with wood tar were manufactured, and physical, mechanical properties and formaldehyde emission were investigated. Plywoods made of phenol adhesives mixed with wood tar were almost same as an original phenol adhesive i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tensile-shear adhesive strength of the plywood was higher than the original one in both non-waterproof and waterproof tests. Formaldehyde emission was lower as the amount of wood tar increased in phenol adhesive.

  • PDF

Characteristics of Pellet Prepared from Sawdust and Wood-tar (목타르와 톱밥을 혼합하여 제조한 펠릿의 특성)

  • Kwon, Gu-Joong;Kwon, Sung-Min;Cha, Du-Song;Kim, Nam-Hu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8 no.1
    • /
    • pp.36-42
    • /
    • 2010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ellets manufactured from sawdust, and a mixture of liquid wood-tar and sawdust. Pellets were prepared at room temperature under 2000 kgf/$cm^2$ using an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pellets prepared from Q. variabilis wood had slightly higher density than those prepared from P. densiflora wood.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from Q. variabilis wood pellets was smaller than those from P. densiflora wood. The pellets from P. densiflora wood had higher heating values than those from Q. variabilis wood. The wood pellets manufactured with wood tar showed higher moisture content, density and heating value, but lower fine particle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wood tar can be used to obtain the higher quality wood pellets.

Manufacture of Wood Tar-based Phenol Adhesives and Adhesive Properties (목타르계 페놀접착제의 제조 및 접착성능)

  • Park Sang-Bum;Kim Su-Won;Park Byung-Dae;Han Tae-Hyung;Kang Eun-Chang;Park Jong-Young;Mun Sung-Phil
    • Journal of Korea Foresty Energy
    • /
    • v.24 no.1
    • /
    • pp.33-38
    • /
    • 2005
  • To find a new use of wood tar which is obtained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wood charcoal, a resol type of phenol adhesive using wood tar was made and some adhesion tests on plywood were examined. Phenol adhesive synthesized with pine tar was almost same as an original phenol adhesive in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olid content and viscosity and tensile-shear adhesive strength of plywood made of phenol adhesive synthesized with pine tar was not much lower than the original one in non-waterproof and waterproof tests. Phenol adhesive synthesized with oak tar, however, was different from original phenol adhesive in physical properties. Adhesive strength of plywood made of oak tar was $50\%$ lower than the original one on waterproof tests. The amount of emitted formaldehyde increased as the amount of wood tar increased.

  • PDF

Strenghts and Hardening Properties of Epoxy-modififed Mortars Using Wood-Tar of Wood By-Product (목재 부산물인 목타르를 활용한 에폭시수지 혼입 PMM의 강도 및 경화특성)

  • Kim, Joo-Young;Ham, Seong-Min;Kim, Wan-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21-2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strengths and hardening rate of epoxy-modified mortar with wood-tar contents. The polymer-modified mortars (PMMs) using epoxy resin with wood-tar are prepared with various polymer-binder ratios of 1, 3, 5% and wood-tar contents of 0, 5, 10, 15 and 20%. The PMMs using epoxy resin are tested for compressive, flexural and tensile strengths and hardening rate of epoxy resin. As a result, the strengths and hardening rate under polymer-binder ratio 1% and wood-tar content of 5% are more excellent than those of other specimens.

  • PDF

Evaluating The Fuel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s Fabricated with Wood Tar and Starch as An Additive (목타르와 전분 첨가제 혼합에 따른 목재펠릿 품질특성 평가)

  • Ahn, Byoung-Jun;Lee, Soo-M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2 no.3
    • /
    • pp.318-326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non-used forest biomass residues as raw materials for making wood pellets with additives such as wood tar and starch and to evaluate fuel characteristics of the pellets. Wood tar, a by-product provided from the carbonization process of wood, could be a suitable additive for wood pellet production due to its higher calorific value and lower hazardous heavy metals, such as cadmium and mercury, compared to woody biomass. When the wood tar (10 wt%) was added, the calorific value was increased from 4,630 kcal/kg (wood pellet without additive) to 4,800 kcal/kg (wood pellet with additive). With the increase of additive amount into wood pellet, the length and individual density of wood pellet increased. In addition, bulk density of the pellets was increased, whereas the fine content was decreased. Consequently the overall productivity of wood pellets was improved by adding 2 w% additives into wood pellets; the percentage of productivity increase was 5.9% and 4.9% for adding starch and wood tar, respectively.

Weathering of Larch Wood treated with Wood tar and Wood vinegar (목타르와 목초액로 처리한 낙엽송재의 Weathering 특성)

  • Kwon, Gu-Joong;Kwon, Sung-Min;Jang, Jae-Hyeok;Chun, Kun-Woo;Kim, Nam-Hu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v.27 no.1
    • /
    • pp.55-60
    • /
    • 2011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eservation characteristics and weathering of larch wood treated with wood tar and wood vinegar, neglected under the circumstance of outdoor exposure, buried under ground, and deposited under water. Earlywood cell wall observed by optical microscope has been collapsed due to the fungi deterioration. This phenomenon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case of woods treated with wood tar and buried under ground. Relative crystallinity of woods treated with wood tar, exposed outdoors, and untreated wood buried under ground was highest at 63% while wood tar treated wood buried under ground was lowest at 46%.

Characteristics of Syngas Refinery via Rice Husk Gasification in the Updraft Fixed-bed Gasification System (Updraft 고정층 가스화 시스템에서의 왕겨 가스화 합성가스 정제특성)

  • Yoon, Youngsik;Sung, Hojin;Park, Sunam;Gu, Jaeho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71.2-171.2
    • /
    • 2011
  • 지속가능한 발전과 저탄소 녹색성장의 개념이 대두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 선진국은 자국의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고 대체에너지로 환경친화적이며, 청정에너지로 각광받는 신 재생에너지의 활용에 경제적,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유럽에서는 바이오매스의 일종인 우드칩을 활용한 가정용 보일러가 보급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에서는 열대식물을 이용한 저온열분해를 활용하여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바이오매스는 발생되는 임야에서 재이용되거나 경제성이 있을 경우에 운송되어 재활용되고 있으며, 임부목과 같은 일부 바이오매스는 수익성이 없어 발생현지에 방치되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왕겨의 경우 미곡종합처리장에서 대량으로 발생되지만 그 활용도에 있어서 축적된 바이오에너지에 비해 에너지회수율이 저조하다고 할 수 있다. 왕겨는 임야에서 발생되는 폐목재나 다른 바이오매스에 비해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적고(12%), 휘발분의 함량이 많으며(58%), 고정탄소(17%), 회분(13%)로 열분해/가스화에 적용가능하다. 본 실험에서 생산된 합성가스의 활용방법으로는 보일러를 이용한 스팀 및 전력생산, 가스엔진을 이용한 전력생산, 폐열회수 등이 있으며 생산된 합성가스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의 정제특성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합성가스 내에 존재하는 분진, 타르, HCl, HCN, $NH_3$의 제거효율을 조사하였다.

  • PDF

Interpretation of Surface Contamination and Genesis on the Stupa of the State Preceptor Jigwang from the Beopcheonsaji Temple Site in Wonju, Korea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의 표면오염 및 성인 해석)

  • Kang, San Ha;Lee, Ju Mok;Lee, Gyu Hye;Kim, Sa Duk;Lee, Chan Hee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4 no.3
    • /
    • pp.211-225
    • /
    • 2018
  • The Stupa of the State Preceptor Jigwang from the Beopcheonsaji temple site in Wonju (National Treasure No. 101) was built in the Goryeo Period (around the 11th century), with very excellent style and techniques. It was returned to the Korea after being taken to Osaka of Japan without notice in 1912, and was severely damaged during the Korean War. Subsequently, the Stupa was restored using restoration materials like mortar, and relocated to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Surface contaminants in the Stupa primarily existed around the restoration materials. Black discoloration, which indicates a high discoloration grade, signified a high possession rate in the north and inner regions of the Stupa, which may be related to the relative moisture maintenance time. Most surface contaminants were calcite and gypsum; the black discoloration area underwent secondary discoloration due to air pollution. Moreover, the stone properties exhibited a relatively low discoloration grade, exhibiting crystallized contaminants that partly covered the rock-forming minerals. Overall, the Stupa deteriorated due to discoloration and being covered by lime materials, which were dissolved as the mortar degraded. Hence, it required contaminants removal, surface cleaning and desalination during conservation treatment, in order to control the rate of physicochemical deterioration by contaminants.

산업의학 - 직업성 피부질환 II

  •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 월간산업보건
    • /
    • s.107
    • /
    • pp.2-10
    • /
    • 1997
  • 직업성 피부질환은 1988년 미국 전체 직업성 질환중 20%에 해당된다(미 노동부 자료 참고). 그 비율은 주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피부질환은 어떤 주에서는 보상되는 직업성 질환의 대다수를 차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주에서는 농작물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이 흔하다. 접촉성 피부염은 직업성 피부질환으로 보고되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이다. 이러한 사례의 4/5는 유기용제, 절삭유, 세척유, 알칼리, 산 등과 같은 자극성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과 관련이 있다. 자외선은 어떤 화학물질(예를 들면, 코울 타르, 크레오소오트)과 반응하여, 이 화학물질 및 빛에 노출되는 부위에 자극성 접촉성 피부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1/5의 사례는 에폭시 수지, 크롬, 식물 수지, 그 밖의 많은 것 등 특수 접촉 감광제와 관련될 수 있다. 강한 자극제에 노출되어 발상하는 화학적 화상은 비교적 흔하게 일어난다. 백반과 유사한 피부탈색은 드물게 일어나며 피부 접촉을 통하여 야기하는 특수 화학물질과 관련될 수 있다. 여드름과 모낭염은 기름 및 유지들과의 피부 접촉을 통하여 생겨날 수 있다. 10대 여드름과 구별되는 염소성 여드름이라고 불리는 질환은 여러 종류의 염화 탄화수소들(예를들면 다브롬화 디페닐, 다염화 디페닐, 디옥신)에 노출되어 발생되기도 한다. 신체적인 손상으로 반복되는 외상부위에 가골이 형성되기도 한다. 여러 종류의 일에 특징적인 것(예를 들면 바이올린 연주자의 목에 가골)이 소위 "직업적인 표지" 이다. 전기톱 작동 기술자, 분쇄기 작동기술자, 지하 광산 암석 천공 기술자에게서 발생하는, 손 - 팔 부위의 진동은 오랜기간 혹은 심하게 노출된 노동자에 있어서 - 손에 혈관수축질환 - 진동장애 백색 수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암은 직업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몇몇 사례가 산재 관련 기관에 보고외어 있지만, 암등록소에 보고는 불완전하며, 피부암으로 인한 사망은 드물기 때문에 피부암의 발생률은 알 수 없다. 예방적인 방법은 개인보호구(장갑, 구두 등), 기계공학적 통제, 노동자 교육, 피부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어진 일을 맡는 노동자들의 교대와 같은 관리적인 통제가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화학적 화상,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염, 진동장애, 직업관련성 질환(예를 들면, 건선, 단순태선, 백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성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은 아직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여 현재 예방하는 방법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다.

  • PDF

산업의학 - 직업성 피부질환 I

  •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 월간산업보건
    • /
    • s.105
    • /
    • pp.16-25
    • /
    • 1997
  • 직업성 피부질환은 1988년 미국 전체 직업성 질환중 20%에 해당된다(미 노동부 자료 참고). 그 비율은 주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피부질환은 어떤 주에서는 보상되는 직업성 질환의 대다수를 차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주에서는 농작물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이 흔하다. 접촉성 피부염은 직업성 피부질환으로 보고되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이다. 이러한 사례의 4/5는 유기용제, 절삭유, 세척유, 알칼리, 산 등과 같은 자극성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과 관련이 있다. 자외선은 어떤 화학물질(예를 들면, 코울 타르, 크레오소오트)과 반응하여, 이 화학물질 및 빛에 노출되는 부위에 자극성 접촉성 피부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1/5의 사례는 에폭시 수지, 크롬, 식물 수지, 그 밖의 많은 것 등 특수 접촉 감광제와 관련될 수 있다. 강한 자극제에 노출되어 발상하는 화학적 화상은 비교적 흔하게 일어난다. 백반과 유사한 피부탈색은 드물게 일어나며 피부 접촉을 통하여 야기하는 특수 화학물질과 관련될 수 있다. 여드름과 모낭염은 기름 및 유지들과의 피부 접촉을 통하여 생겨날 수 있다. 10대 여드름과 구별되는 염소성 여드름이라고 불리는 질환은 여러 종류의 염화 탄화수소들(예를들면 다브롬화 디페닐, 다염화 디페닐, 디옥신)에 노출되어 발생되기도 한다. 신체적인 손상으로 반복되는 외상부위에 가골이 형성되기도 한다. 여러 종류의 일에 특징적인 것(예를 들면 바이올린 연주자의 목에 가골)이 소위 "직업적인 표지" 이다. 전기톱 작동 기술자, 분쇄기 작동기술자, 지하 광산 암석 천공 기술자에게서 발생하는, 손 - 팔 부위의 진동은 오랜기간 혹은 심하게 노출된 노동자에 있어서 - 손에 혈관수축질환 - 진동장애 백색 수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암은 직업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몇몇 사례가 산재 관련 기관에 보고외어 있지만, 암등록소에 보고는 불완전하며, 피부암으로 인한 사망은 드물기 때문에 피부암의 발생률은 알 수 없다. 예방적인 방법은 개인보호구(장갑, 구두 등), 기계공학적 통제, 노동자 교육, 피부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어진 일을 맡는 노동자들의 교대와 같은 관리적인 통제가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화학적 화상,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염, 진동장애, 직업관련성 질환(예를 들면, 건선, 단순태선, 백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성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은 아직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여 현재 예방하는 방법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