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재수종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32초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re Retardant Treated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난연처리된 육송과 잣나무의 연소특성 평가연구)

  • Choi, J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67-37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육송과 잣나무에 대한 연소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두 수종은 한옥의 부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체적밀도는 육송이 잣나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고 있다. 목재의 연소특성은 해당 수종의 체적밀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방염성능에 있어서는 뚜렷한 차이를 확인하기는 어려웠지만 콘칼로리미터 시험방법에 있어서는 총 방출열량, 평균 열방출률, 평균 질량손실률, 총 산소 소요량 비교를 통하여 목재 수종의 체적밀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 PDF

Terpenoids of Cupressus species in California (캘리포니아 산(産) 삼나무 수종(樹種)의 Terpenoid 류(類))

  • Kim, Young-Kyoon;Zavarin, Eugen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4호
    • /
    • pp.35-44
    • /
    • 1993
  • 북가주에 있는 삼나무 수종에서 cadinane과 acorane류의 sesquiterpenoids를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분리한 후, 화학적인 방법과 분광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된 성분의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그 sesquiterpenoids의 생합성 경로를 정량적인 상관성에 의하여 밝혔다. 또한, 여러 삼나무 수종에 존재하는 sesquiterpenoids의 분류학적 차이에 대하여 논하였다.

  • PDF

Species Identification of Peat Woods from Hyunwhari, Pyungtaek (평택 현화리 토탄층 출토 목재의 수종분석)

  • Park, Won-Kyu;Yoon, Sung-Ju;Lee, Yung-J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1-6
    • /
    • 1999
  • Hundred pieces of peat woods(ca. 2500 years old) were excavated in 1995 at Hyunwhari, Pyungtaek in the west-central coast of the Korea Peninsula. Among them, 63 samples representing 21 trenches were selected for the species identification. Because most peat woods were rotten by fungi for long period, only 27 samples could be identified. Due to the deteriorated structure of peat woods, all samples were embedded in PEG(polyethylene glycol 2000) and then sectioned using a rotary microtome. Major species were Alnus spp.(55.6%), Fraxinus spp.(33.3%) and Quercus (Lepidobalanus)(11.1%). No conifers were found. The species composition indicates that the sample region was a swamp or lakeside, which appeared to be formed because of the sea-level rise after last-glacial period.

  • PDF

Detection of Discolored or Decayed Wood in Landscape Woody Plants by Internal Electric Resistance Measurements (내부 전기저항의 측정을 통한 조경수목의 변색 및 부후목재의 탐색)

  • 송근주;한심희;하태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제15권1호
    • /
    • pp.17-25
    • /
    • 2001
  • 본 연구는 조경수목의 목질 내부의 상태 진단과 변색 및 부후 부위의 탐색을 통하여 병든 부위를 조기에 제거. 병의 확산 방지 및 효율적인 예방관리를 위해 Shigometer의 이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지는 충남 천안시 성환흡 수향리에 위치한 연암축산원예대학으로 하였으며, 대학 구내에 식재된 조경수를 대상수종으로 하였다. 대상수종은 침엽수 7종과 활엽수 16종으로 총 23종을 선정하였다. 조사한 조경수목의 내부 전기저항치는 수종별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평균 내부 전기저항치가 500k$\Omega$이상인 수종은 은행나무, 섬잣나무, 소나무, 단풍나무, 중국단풍. 홍단풍이었으며, 개체간 차이와 측정 깊이에 따른 차이도 심하지 않았다. 그러나 메타세쿼이아, 수양버들, 자귀나무, 회화나무는 200k$\Omega$이하의 낮은 내부 전기저항치를 나타냈다. 측정 깊이에 따른 변화가 심한 수종은 전나무, 메타세쿼이아, 수양버들, 느티나무, 튤립나무, 목련, 일본목련, 핀오크, 벚나무등으로 이들은 측정 깊이에 따라 전기저항치가 갑자기 하락하는 부위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전기저항치가 갑자기 하락하는 부위의 목재는 부후되어 있었다. 결론적으로 Shigometer는 가시적인 피해증상이 나타나기 전 초기단계에서 목재의 변색 및 부후 부위를 찾아내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ICROSCOPICAL PROPERTIES ON THE WOODS OF SEVERAL EXOTIC TREE SPECIES FROM JAPAN

  • Lee, Phil Woo;Park, Meung Gu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제5권1호
    • /
    • pp.33-36
    • /
    • 1966
  • 한국산(韓國産) 목재(木材)의 해부학적성질(解剖學的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는 일정시수원고등농림학교(日政時水原高等農林學校)(현(現) 서울대학교(大學校)의 전신(前身)) 교수(敎授)인 일본인(日本人) 산림진씨(山林進氏)에 의(依)하여 이미 수백종(數百種)이 연구보고(硏究報告)된바 있다. 그러나 현재(現在)에는 도입(導入)된 외래수종(外來樹種)이 많고 또 이들 외래수종(外來樹種)으로 부터 생산(生産)되는 국산재(國産材)가 점차(漸次) 경제적(經濟的)으로 중요성(重要性)을 가증(加增)함에 따라 이들 목재(木材)에 관(關)한 기초적(基礎的)인 성질연구(性質硏究)가 시급(時急)하다고 생각(生覺)한다. 그러므로 이 시험(試驗)에서는 한국산외래수종(韓國産外來樹種)의 목재성질(木材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의 일부분(一部分)으로 수십년전(數十年前)에 도입(導入)되어 비교적(比較的) 중요(重要)하다고 인정(認定)되는 일본원산(日本原産) 외래수종(外來樹種)의 목재(木材)에 관(關)한 현미경적성질(顯微鏡的性質)을 조사(調査)하여 보고(報告)하고져 한다. 이 시험(試驗)에서 사용(使用)된 공시재(供試材)는 경기도(京畿道) 수원(水原) 연습림(演習林)과 전라남도(全羅南道) 광양연습림(光陽演習林)에 생장(生長)하고 있는 35~48년생(年生)의 소나무, 곰솔, 일본잎갈나무, 일본젓나무, 편백, 삼나무, 및 일본목련 등 7개(個) 수종(樹種)에서 건전(健全)한 15개체(個體)가 선정시험(選定試驗)되었으며 결과(結果)는 중요(重要)한것들만 수종별(樹種別)로 종합(綜合)되었고 원문(原文)과 같이 간략(簡略)하게 기재(記載)되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Wood Members in Seoul Streetcar No. 381 (서울시 381호 노면전차 목재 부재의 수종 식별)

  • Kim, Soo-Chul;Oh, Jung-A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1호
    • /
    • pp.33-40
    • /
    • 2011
  • In this study, we identified wood species used in manufacturing Streetcar No. 381 from Seoul Museum of History. This Streetcar No. 381 is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as one of the 2 streetcars remained in Seoul. It is important to preserve this streetcar through restoration and to maintain without any damage or degradation. The information on species of wood members should be needed for its original restoration. Thus, 6 interior and 1 exterior wood members were sampled and identified microscopically. Among the 7 wood members identified, 2 were found to be douglas-fir ($Pseudotsuga$), 2 lauan ($Shorea$), 1 exotic hard pine of ponderosa group ($Pinus$), 1 larch ($Larix$), and 1 oak of cerris group ($Quercus$), respectively.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lkaline Copper Quat Preservative Components in Wood (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계 목재방부제 (ACQ) 유효성분의 목재 흡착 특성)

  • Lee, Jong-Shin;Choi, Gwang-Si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91-498
    • /
    • 2014
  • In order to obtain basic data for concentration control of alkaline copper quat (ACQ) solution in wood preservative treat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 of concentration and adsorption of treating solution and active ingredient, copper oxide (CuO) and didecyldimethyl ammonium chloride (DDAC), in the process of recycling of ACQ solution.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Douglas-fir (Psedotsuga menziesii) and Radiata pine (Pinus radiata) were treated with ACQ solution. The active ingredient concentration of ACQ solution was decreased continuously with increase of recycling.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extent of concentration decrease of Cu (as CuO) and DDAC. DDAC was decreased more quickly and to a higher degree than Cu for all recycling. The extent of DDAC concentration decrease was remarkable than that of Cu for wood species. The amount of DDAC adsorbed into wood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ACQ solution recycling, but adsorption of Cu was little difference regardless of recycling. The adsorption of Cu into wood increased as DDAC concentration decrease by recycling of ACQ solution. This is likely due to decrease of DDAC competition with Cu for the same reaction site in w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