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 브랜드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37초

지상파채널의 브랜드 확장이 모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채널 브랜드 평가, 확장 전 모 브랜드 평가, 적합성, 브랜드 포트폴리오 품질 변량, 브랜드 확장 수에 대한 지각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Brand Extension of Terrestrial Broadcasting Channels on Parent Brand Evaluation: Focusing on Brand Extended Channel Evaluation, Pre-Brand Extension Parent Brand Evaluation, Perceived Fit, Brand Portfolio Quality Variance, and Perceived Number of Brand Extensions)

  • 이선희;백상기;장병희;윤해진;문성철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1권
    • /
    • pp.28-51
    • /
    • 2013
  • 본 연구는 소비자 기반 브랜드 자산 모형에 기반한 기존의 미디어 브랜드 확장 모형을 응용하여 이러한 브랜드 확장이 모 브랜드(Parent Brand)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확장 전 모 브랜드 평가, 브랜드 포트폴리오 품질 변량, 지각된 브랜드 확장 수, 모 브랜드와 확장된 브랜드 간 지각된 적합성, 브랜드 확장상품 평가 등이 확장 후 모 브랜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한 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확장 후 모 브랜드 평가에 확장 전 모 브랜드 평가, 브랜드 포트폴리오 품질 변량, 적합성, 브랜드 확장상품 평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 지각된 브랜드 확장 수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수직적 브랜드 확장에서 적합성은 확장상품 평가에는 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확장 후 모 브랜드 평가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브랜드 포트폴리오 품질 변량은 적합성과 확장상품 평가, 확장 후 모 브랜드 평가에 부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새롭게 알아내었으며, 모 브랜드 평가가 브랜드 포트폴리오 품질 변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모 브랜드 미디어에 대한 평가가 적합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PDF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 및 관여유형이 일치.불일치 확장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oduct Types and Consumer Involvement on Consistent and Inconsistent Brand Extensions)

  • 최인혁;김기석;박주영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67-92
    • /
    • 2005
  • 본 연구는 브랜드 확장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마케팅의 효과 및 효율측면에서 항상 고민하는 마케터들이 전략적으로 브랜드확장을 꾀하고자 할 때, 브랜드확장의 위험을 줄이고 성공가능성을 높이는데 일조하고자 실시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제품유형을 실용제품과 쾌락제품으로 구분하고,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과 일치하는 제품유형으로 브랜드 확장을 하는 경우와 불일치하는 제품유형으로 확장하는 경우에 소비자가 확장 브랜드에 대하여 보이는 반응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과 일치하는 제품유형으로 확장한 브랜드가 불일치하는 제품유형으로 확장한 브랜드보다 소비자에게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를 받았다. 또한 브랜드확장 전략 수행 시 모 브랜드와 제품유형을 일치시키는 것이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이 쾌락제품일 경우보다 실용제품일 경우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나아가 소비자가 몰입하는 인지적 또는 감성적 관여유형에 따라 브랜드확자엥 대한 보지가의 평가는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 및 일치 불일치 확장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외식 브랜드 확장 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모 브랜드 태도, 적합성, 지각된 위험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Foodservice Brand Extentsion on Purchase Intention - Focusing on the interactions among Parent-brand Attitude, Fit and Perceived Risk)

  • 서경화;이수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3-109
    • /
    • 2011
  • 본 연구는 외식기업의 브랜드 확장에 있어 모 브랜드의 태도가 확장 브랜드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확장된 브랜드의 구매의도에 있어 적합성에 따른 모 브랜드의 태도와 지각된 위험의 상호작용효과를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구매의도에 대한 모 브랜드 태도(F(1,295)=12.012, p<0.01), 적합성(F(1,295)=17,758, p<0.001), 지각된 위험 (F(1,295)=12.570, p<0.01)의 주 효과(main effect)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상호작용항 중 모 브랜드의 태도과 지각된 위험(F(1,295)=5.782, p<0.05), 모 브랜드 태도 적합성, 지각된 위험의 상호작용항(F(1,295)=6.068, p<0.05)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확장 브랜드 적합성에 따라 구매의도에 대한 모 브랜드 태도와 지각된 위험의 상호작용효과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 PDF

유통경로 유형별 모 브랜드태도와 브랜드확장 평가도의 관계 (Relationships of Parent Brand Attitude and the Evaluation Level of Brand Extension by Distribution Channel Types)

  • 윤성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349-359
    • /
    • 2009
  • 본 연구는 브랜드확장 평가에 대한 범주화 평가과정 모델(categorical evaluation processes model)을 참고하여 유통경로 유형별 광고태도(Aad), 점포태도, 브랜드태도(Ab), 브랜드확장 평가도, 확장제품 구매의도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에서 영향력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려 하였다. 연구 결과, "유통경로 유형 모 브랜드태도가 브랜드확장 평가도와 확장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여섯 가지 가설 중에서 점포태도와 브랜드태도와의 관계, 브랜드태도와 브랜드확장 평가도와의 관계, 브랜드확장 평가도와 확장제품 구매의도와의 각 이론변수간의 관계에서만 각 유통경로 유형별로 영향력이 다르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통경로 유형별 브랜드확장평가는 모 브랜드태도와 브랜드확장평가도와의 관계를 소비자관점에서 구조적으로 분석하여야 하며 이는 브랜드확장 제품 유통경로구조 개선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브랜드확장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Dicon Report

  • 황부영
    • 디지털콘텐츠
    • /
    • 7호통권158호
    • /
    • pp.112-115
    • /
    • 2006
  • 내가 누구인지 말할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 문학에서는 내가 누구인지 스스로 말할수 없어도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브랜드에서는 아니다. 내가 누구인지 스스로 말할 수 없다면 아무도 말할 수 없게 된다. 그렇다. 우선 내가 말해야 한다. 내가 누구인지는 내가 무슨 일을 하는가(I am what I do)에 달려 있다. 내가 하는 일이 무엇인지, 어떤 고유한 존재의 의미를 가지는지 미션으로 말하라. 이는 모든 브랜드와 브랜드를 둘러싼 모든 활동의 출발점이다.

  • PDF

모 기업의 시장순위에 따른 성분 브랜드 제휴 전략 : 원산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Alliance Strategy of Ingredient Brand by Entry Order of Parent Brand : Moderating Effect of Country of Origin)

  • 홍서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77-284
    • /
    • 2018
  • 본 연구는 후속 기업이 선도 기업을 극복하기 위한 성분 브랜드 제휴 전략을 제안하였다. 동시에 성분 브랜드의 브랜드 인지도(고/저)와 원산지(호의적/비호의적)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소비자의 제휴된 제품에 대한 구매 의도는 모 기업의 시장진출순서와 성분 브랜드의 시장지위에 따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제휴된 제품에 대한 구매 의도는 모 기업의 시장진출순서와 원산지에 따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과 본 연구에 대한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소비자의 심볼반응이 의류제품 브랜드자산의 강화에 미치는 영향 -캐주얼브랜드 “빈폴”을 중심으로-

  • 이지원;나수임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123-126
    • /
    • 2004
  • 소비자들은 매일 수많은 브랜드를 접하며 브랜드를 매개로 하여 자신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대상인 제품을 구매한다 브랜드는 출처를 표시하고 품질을 보증하며 광고선전을 담당하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기업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자산으로 부각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는 생활용품과 같은 소비재에서부터 산업재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제품이 브랜드화 되었으며 이전에 브랜드화 되어 있지 않던 농산물, 축산물과 같은 원료성 제품들도 브랜드화가 이루어지고 있다(Stobart, 1994). (중략)

  • PDF

모바일 서비스에서 브랜드 확장이 모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and Extension on Parent Brand in Mobile Service)

  • 박성준;김건하;한웅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99-417
    • /
    • 2015
  • 본 연구는 브랜드 확장 전략을 모바일 서비스 시장 내에서 사용했을 경우의 그 영향에 대해서 탐구하고자 한다. 오프라인 시장과 온라인 시장에서 브랜드 확장 전략의 활용이나 중요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진 것에 비해서 최근 급속도로 성장한 모바일 서비스와 관련되어서는 그 연구가 미흡하여왔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시장에서 소비자의 사용의도를 파악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확인된 기술수용모델을 사용해서 모바일 서비스의 사용의도를 확인하고, 그 과정에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확장 브랜드의 사용의도가 모 브랜드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이 모바일 서비스의 사용의도 파악에 유효한 모델임을 재확인하고, 결정 변인들의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마케터들이 모바일 서비스 환경에서 전략을 수행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기반들과 확장 브랜드의 지각된 용이성이 모 브랜드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브랜드 경영을 위한 디자인 컨설팅 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esign Consultancy System for Brand Management)

  • 조한형;박용구;송재오;이상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2호
    • /
    • pp.335-336
    • /
    • 2015
  • 현대는 브랜드의 시대이다. 애플 브랜드는 1,453억 달러라는 천문학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코카콜라 브랜드는 수십년에 걸쳐 세계적인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글로벌 경쟁 시대에는 브랜드가 기업의 생존을 좌우한다. 기업의 경쟁력은 인지도가 높은 파워 브랜드를 얼마나 많이 가졌는가에 따라 판가름나고 있다.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강력한 브랜드는 기업의 수익 창출을 보장하는 소중한 자산이다. 시장을 지배하는 강력한 브랜드를 육성하는 것은 이제 모든 기업의 미래를 좌우할 정도로 중요한 핵심 과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같은 브랜드 가치를 디자인이라는 관점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브랜드 경영을 위한 웹 기반의 컨설팅 서비스를 제안한다.

  • PDF

모 브랜드와 확장된 브랜드의 브랜드 이미지, 광고 이미지 일치도에 따른 브랜드 태도 (How consistency of brand image and advertising image for parent and extended brands affects brand attitude)

  • 이현정;이지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4호
    • /
    • pp.546-561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onsumers perceive brand image, the consistency between the images of parent brands and extended brands, the consistency of their advertising images, the differences between brand image and advertising image, and how consumers' brand attitudes change based on those differences.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often use cosmetics and are interested in brands. The brands considered in this research were Chanel, Dior, Armani, and Anna Sui, which have extended brands in the clothing and cosmetics areas. In terms of consumers' perception of brand image, it was found that clothing and cosmetic brands were perceived similarly.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nsumers' preferences and purchase intentions of clothing and cosmetic brands, and those whose perceptions of brand image did not change or increased after looking at advertising images had more positive brand attitudes than the group of people who had higher perception of brand image before looking at advertising images. Therefore, in terms of brand extension, it was revealed that the image of a parent brand affected an extended brand, and that the higher was consumers' recognition of brand image through advertising, the more positive was their attitude toward the br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