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형평가지표

Search Result 77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해양수산 투자연계사업 및 민간 VC 등의 투자활성화를 위한 투자용 기술력평가 모형 개발

  • Kim, Kwanghoon;Ahn, Minho;Seo, Juhwan;Kim, Sangg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73-18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해양 및 수산 분야의 투자용 기술력평가모형 개발을 위하여 민간 VC투자 활성화를 위한 평가기법 선행조사를 수행하며, 국내 관련 전문기관 등의 기술투자 관련 기술력평가 모형개발과 활용수준 등을 조사하고, 해외 관련 전문기관의 기술평가모형 현황에 대한 조사·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투자용 기술력평가 모형의 용도와 방향 설정을 위하여 국내 기술투자 관련 전문가 그룹을 활용하여 기술공급자와 수요자 관점에서의 견해를 반영한 투자모형의 용도와 방향설정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술투자 목적의 평가요인을 도출하고, 기술투자자 입장의 평가결과 유효성 검증을 통해 평가결과의 실무적 활용성을 제고시키고자 한다. 기술보증기금에서 개발한 기존의 투자용 기술력평가 모형이 많은 타 기관에 파급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활용수준이 미미한 점을 검토하여 VC의 투자의사결정 요소에 관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해양수산분야 투자용 기술력평가 신규모형을 설계하였다.

  • PDF

A Landscape Ecological Model for Assessing the Korean Urban Forests (도시숲 평가를 위한 경관생태학적 모형 개발)

  • Oh, Jeong-Hak;Kwon, Jin-O;You, Ju-Han;Kim, Kyung-Ta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4 no.2
    • /
    • pp.178-18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biotope model in applying and developing Korean urban forests. We found that there are 17 biotope assessment indicators, including forest layer structure, site conditions, ratio of broad-leaved trees, species richness, etc. In term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dicators, the stand ages and the period of space formation have the highest relativity(coefficient 0.684). On the other hand, indicators that have negative relativity are layer structure and risk, with a coefficient of -0.412. Ten models were developed f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10 variables(site conditions(X2), ratio of broad-leaved trees(X3) and so forth except layer structure(X1), species richness(X4)) were found to have a 95%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s from comparing the regression model and adding-up estimation matrix, the most accurate one was Model 3, which has a 91.7% out of the 10 models. However more monitoring will be need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models for the Korean urban forests in future.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Informatization Projects for National Library of Korea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화사업 성과평가 모형개발 및 평가에 대한 연구)

  • Kwak, Seung-Jin;Kim, Jeong-Taek;Park, Yong-Jae;Park, Ok-N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1 no.1
    • /
    • pp.119-141
    • /
    • 2014
  • To enhance its efficiency to improve organizations' competitiveness, performance evaluation is vital and it influences budget, policies, and human resource affairs of the organizations. The study aims to develop performance indicators for National Library of Korea (NLK) and evaluate performance based on indicators driven. As a result, the study develops 2 viewpoints for each work area of NLK - management of information system, digital resources enlargement, and the cooperative utilization system for alternative materials. It also develops total 12 indicators. Based on the evaluation;the research finally suggests strategie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by viewpoints for NLK.

The Sustainability Assessment Model for Upo Wetland as a Eco-Tourism Resources (생태관광자원으로서의 우포늪의 지속가능성 평가모형)

  • Yu, Jung Sub;Lee, Jae Dal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1 no.1
    • /
    • pp.3-25
    • /
    • 2012
  • To evaluate the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eco-tourism resources, the assessment of Upo wetland was conducted by defining mathematical assessment models, by developing assessment indicators and by calculating the weight of main factors affecting on the sustainability through questionnaires analysis of 135 eco-tourism experts group. After that, the current sustainability grade level for Upo wetland was confirmed, and grade-level enhancement measures on each items were proposed. Although, this paper was focused on Upo wetland, but it is meaningful to prepare for the foundation in the sense of assessing scientifically and systematically the sustainability by providing concrete research model and method for the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eco-tourism resources.

  • PDF

Improvement of surface runoff lag algorithm in SWAT (SWAT 모형의 지표유출지체 알고리즘 개선)

  • Kim, Nam Won;Lee, Jeongwoo;Lee, Jung 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9-299
    • /
    • 2016
  • 미농무성에서 개발된 유역수문모형 SWAT을 국내유역에 적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일단위 유출 수문곡선의 첨두부가 관측치에 비해 과소하게 모의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원인에 대해서 고찰하고, 첨두부가 작게 모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표유출의 지체와 관련된 서브루틴을 개선하였다. SWAT 모형에서는 지표유출의 지체는 운동파 집중시간(kinematic wave time of concentration)을 변수로 하는 지수형 감쇠함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집중시간 계산식에서 지표유출에 기여하는 초과우량을 6.35mm/hr로 작은 고정값으로 가정하고 있어 큰 호우가 발생한 경우에도 집중시간이 길게 계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지표유출의 지체 효과가 커서 첨두유량이 과소하게 산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중시간 계산시 고정값 6.35mm/hr 대신에 일 단위로 모의된 지표유출 발생량이 입력되도록 알고리즘을 수정하였다. 이 방법은 지표유출량의 크기에 따라 집중시간을 가변적으로 산정되게 함으로써 수문곡선의 첨두부를 보다 유연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모형의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충주댐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개선 전, 후의 일 단위 유출수문곡선의 첨두부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큰 홍수가 발생한 기간의 첨두유량이 10 %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Reactive Transport Modeling for Investigating Elemental Cycling at the Groundwater-Surface Water Interface (지하수-지표수 물질순환 평가를 위한 반응성 운송 모형 연구)

  • Heewon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6-16
    • /
    • 2023
  •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홍수, 녹조 등 이상기후 현상들이 본격화함에 따라 안정적인 수자원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급변하는 환경조건 속에서도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지하수 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은 기후변화대응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이다. 지하수는 하천, 호수 연안지역 등 다양한 지표의 수문환경과 연결되어 천층지권의 수문생태적 특성을 결정하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수자원 활용을 위해서는 지하수와 지표수의 상호작용에 대한 통합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긴밀하게 연계된 특성에도 불구하고 지하수와 지표수에 대한 연구는 오랜기간 개별수문환경에 대해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왔다. 이러한 연구경향은 저류시간이 크게 다른 지하수와 지표수의 수문적 특성뿐 아니라 개별수문환경에서 나타나는 작용들을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모델의 부제에도 기인한다. 최근 비약적인 연산능력의 향상과 함께 지하수-지표수 환경을 연계한 통합수문모델(Integrated Hydrology Model)의 개발 및 활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후변화 및 수자원 활용에 따른 수문환경변화 대한 통합적인 연구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최근의 통합수문모델과 다중요소 반응성 운송 모형(Multicomponent Reactive Transport Model)의 연계를 통한 물질순환 연구의 최신 동향을 소개하고(농도-유량 상관관계, 지표수계의 화학적 풍화와 이산화탄소 저감, 녹조 등), 데이터 기반 모형을 통한 통합수문모델의 연산 효율 및 정확성 향상을 위한 방법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conceptual model for institutional repository evaluation (기관 리포지토리 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에 관한 연구)

  • Kwak, Byeong-Heui;Chang, Woo-Kwon;Kim, Hy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5.08a
    • /
    • pp.393-400
    • /
    • 2005
  • 기관 리포지토리에 대한 개념적 평가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 기관 리포지토리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평가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평가 요소들이 도서관 업무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 7개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4개 평가영역과 29개 평가지표로 구성된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imulation-based technology evaluation model reflecting the specificity and uncertainty of marine fisheries industry and its case study (해양수산 산업의 특수성과 불확실성을 반영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기술력평가 모형개발과 시범사례 연구)

  • Ahn, Minho;Kim, Kwanghoon;Seo, Juhwan;Kim, Sangg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289-303
    • /
    • 2017
  • 기술력평가는 기술사업화 주체가 기술을 사용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기술성 평가기관들이 각자 독자적인 평가 모형을 활용하여 평가를 수행해오고 있다. 특히 최근에 개발된 해양 및 수산 산업 분야의 기술력 평가모형은 타 산업 대비 열악한 기술개발 환경과 연구개발 성과를 대상으로 평가를 수행해오면서 기존의 평가체계 내에서는 많은 평가대상 기술들이 부적합 판정을 받아오고 있었다. 이러한 것은 기존 평가체계가 타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공통적인 평가지표와 평가척도를 유사 또는 동일하게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인식되었고, 또한 해양 및 수산 산업의 특수성이 반영되지 않은 평가체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존 평가체계를 해양수산 산업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평가체계로 개선하여 해당 산업에 특화될 수 있는 평가체계를 새롭게 제안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서 기존 평가지표의 개선, 시뮬레이션 기반의 평가척도의 재설정 방법과 평가등급 산출방법에 대한 새로운 제안을 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개선된 기술력평가 체계를 활용하여 시범사례평가를 수행하여 기존 평가체계를 통한 평가결과의 Gap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PDF

Assessment of Continuous Simulations of Conceptual Ranfall-Runoff Models at Guem River Catchments, Kore (금강 유역의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의 장기 유출 모의 적용성 평가)

  • Chang, Hyung Joon;Lee, Hyo Sang;Ko, A R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99-9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금강 유역을 대상으로 토양저류함수모형기반의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의 장기 유출모의를 평가하였다. 연구유역인 금강 22개 계측유역을 주요 유역특성인자(면적, 경사도, SCS-CN등)을 수문학적 거리 산정방법을 활용하여 3개의 유역그룹을 선정하였다. 적용모형인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은 3개의 토양저류함수모형[확률분포모형(PDM: Probability Distributed Moisture), 유역습윤지수모형(CWI: Catchment Wetness Index), 수정펜맨타입모형(MP: Modified Penman type model)]과 3개의 유역추적모형[병렬2선형 저류지 유출 모형(2PAR: 2-conceptual reservoirs in parallel), 빠른 지표하 흐름을 고려한 병렬 2선형 저류지 유출모형(2PMP: 2Macro-pre Approach parallel structure), 병렬 3선형 저류지 유출모형(3PAR: 3-conceptual reservoirs in parallel)]의 조합인 9개의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2006년부터 2012년의 일자료를 바탕으로 검정(Calibration), 2001년부터 2005년의 일자료를 검증(Validation)을 Monte carlo method(Uniform Random Sampling)로 수행 후, 모형의 성능은 NSE(Nash sutcliffe Efficiency)로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유역그룹에 대한 모형성능의 편차는 작아서 유역그룹에 대한 토양저류 함수모형의 뚜렷한 상관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금강 유역을 단일 유역 그룹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검정 검증성능 및 검정매개변수의 개수를 바탕으로 적용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에서 토양저류함수모형인 확률분포모형(PDM)과 유역추적모형의 병렬2선형 저류지 유출모형(2PAR)와 빠른 지표하 흐름을 고려한 병렬2선형 저류지 유출모형(2PMP)의 조합이 금강 22개 유역에서 적용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 모형을 바탕으로 금강유역의 대표적인 강우유출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