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의실험장치

Search Result 380,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Interconnection analysis of active power filter with electronic load simulator with Power-Recovery Capability (능동전력필터와 전력회수 능력이 있는 부하모의장치의 연계시험 분석)

  • Choi, Jun-Young;Lee, Doo-Young;Lee, Dong-Geun;Bae, Byung-Yeol;Han, Byung-M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d
    • /
    • pp.194-19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새로 개발된 전력품질 보상 장치의 성능을 실험실에서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부하모의장치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부하 모의장치는 2대의 PWM 인버터가 직류 단을 공유한 구조로 선형과 비 선형부하를 단일기기로 시험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전력품질보상기의 하나인 능동전력필터와 연계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부하모의장치와 능동전력필터의 연계 특성을 분석할 목적으로 PSCAD/EMTDC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실시하였고 또한 실적용시 타당성을 검증할 목적으로 20kVA 용량의 부하모의장치와 10kVA용량의 능동전력필터를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과 하드웨어 실험결과 제안하는 부하모의장치는 능동전력필터의 다양한 보상 능력 검증에 충분히 활용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Load Simulator with Power-Recovery Capability Based on Voltage Source Converter-Inverter Set (전력품질보상기와 부하모의장치의 연계시험 분석)

  • Bae B.Y.;Han B.M.;So Y.C.;Kim H.W.;Baek S.T.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6.06a
    • /
    • pp.417-42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새로 개발된 전력품질 보상장치의 성능을 실험실에서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부하모의장치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부하모의장치는 2대의 PWM 인버터가 직류 단을 공유한 구조로 선형과 비선형부하를 단일기기로 시험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전력품질보상기의 하나인 능동전력필터와 연계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부하모의장치와 능동전력필터의 연계 특성을 분석할 목적으로 PSCAD/EMTDC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실시하였고 또한 실적용시 타당성을 검증할 목적으로 20kVA 용량의 부하모의장치와 10kVA용량의 능동전력필터를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과 하드웨어 실험결과 제안하는 부하모의장치는 능동전력필터의 다양한 보상 능력 검증에 충분히 활용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Efficiency Verification and Application of Planter Box Based Rainfall-Runoff Property (강우-유출특성에 따른 식생여과장치의 효율성 검증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Kim, Chang-Hee;Baek, Jong Suk;Joon, Jung Do;Seung, Joo Jae;Shin, Hyun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63-463
    • /
    • 2016
  • 최근 도시물순환 복원 및 치 이수효과 증대를 위해 저영향개발기법(Low Impact Development)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대부분이 수치모델을 활용한 설계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프로그램을 활용한 설계 시 최적의 매개변수 결정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건축형 LID 요소 중 하나인 식생여과장치(Planter Box)의 모형실험을 통해 프로그램 모의에 필요한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모의를 수행한 후 모형실험 결과와 프로그램 모의 결과를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식생여과장치의 설계 매개변수를 산정하고자 한다. 식생여과장치의 모형실험을 위하여 가로 1.5m, 세로 1.5m, 높이 1.5m로 실험 장치를 제작하였으며, 강우-유출수 실험 전 시료의 침투율, 함수비 등을 체크한 후 지속시간 1시간의 재현빈도 5년, 10년, 20년, 50년에 해당하는 강우강도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로 나타난 자료는 SWMM 모형과 비교분석해 모형에 적용된 매개변수의 적합성을 분석하였으며, 재현빈도 5년, 10년, 20년의 경우 $R^2$ 값이 0.88~0.97로 실험 값과 모의 값의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재현 빈도 50년의 경우 0.7835로 비교적 연관성이 낮게 나타났다.

  • PDF

표준원전 모의 열수력 종합실험장치의 개념설계 및 저온관 소형냉각재상실사고 예비해석

  • 배규환;문상기;박춘경;권태순;송철화;양선규;정문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699-706
    • /
    • 1998
  •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는 원자력중장기연구의 일환으로 한국형 표준원전을 모의하는 종합열수력실증실험을 계획하고 있으며, 현재 실험장치에 대한 척도해석(Scaling Analysis), 예비해석(Scoping Analysis) 및 개념설계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광 3/4호기를 대상으로 척도해석을 통하여 실험장치를 개념설계하고, 저온관 6인치 소형냉각재 상실사고에 대하여 예비해석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준다. 개념설계된 실험장치는 높이비가 참조원자로와 동일하고, 체적비가 1/200이다. 실험장치의 개념설계는 이상유동에 대한 3단계 척도법을 적용하였으며, 개념설계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RELAP5/MOD3.1 코드를 사용하여 정상상태 및 저온관 6인치 소형냉각재 상실사고시 계통의 거동을 예비 계산하였다. 실험장치에 대한 예비해석결과 사고 거동이 참조원자로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평관 및 주냉각재펌프의 척도기준이 사고의 진행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 밝혀졌다

  • PDF

Simulator System for 2MW Wind Turbine (2MW 풍력발전 시뮬레이터 시스템)

  • Choi, Hyo-jin;Gil, Kye-hwan;Kim, Yung-chan;Chun, Chin-wha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546-549
    • /
    • 2009
  • 풍력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효율적 전력변환 시스템을 연구개발하기 위해서는 바람의 특성을 실내에서 정확히 구현할 수 있는 모의시험장치인 시뮬레이터가 요구된다. 모의시험장치는 바람을 받아 회전하는 블레이드 대신 풍속 값을 입력하여 전동기가 발전기에 토오크(torque)를 공급하게 된다. 모의시험장치를 설계하고 구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블라인드의 관성시정수와 축소모델인 5.83kW 모델 발전기 설계제작 그리고 고효율의 전력변환장치 설계 및 인버터 특성 알고리즘 구현이다. 본 논문은 2MW Gearless형 풍력발전기 KBP-2000M을 400:1 축소하여 제작한 모의실험장치에 최고의 출력 파워를 얻도록 Pitch Control 알고리즘을 적용한 측정 결과를 소개한다.

  • PDF

The Study on Slope and Wind of Surface Fire Fuel (지표화 연료의 경사 및 풍속에 관한 연구)

  • Kim, Jang-Hwan;Kim, Eung-Sik;Lee, Myung-Bo;Kim, Dong-Hyun;Park, Hyu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11a
    • /
    • pp.55-6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침엽수종인 소나무 낙엽과 활엽수종인 굴참나무 낙엽을 실내 모의실험장치(Fuel bed)를 이용하였다. 연소구간은 1m이며, 낙엽의 두께는 5cm로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경사도 $0^{\circ}$, $10^{\circ}$, $20^{\circ}$, $30^{\circ}$의 경사도에 대한 실험과 연소구간에서의 풍속은 이들의 대표값으로 평균 풍속값은 다음과 같이 0.75m/s(1m/s), 1.4m/s(2m/s), 2.5m/s(3m/s)로 실 측하여 실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 모의실험장치(Fuel bed)를 이용하여 경사도에 대한 실험과 평균풍속 실험을 통하여 임내 연료의 지표화에서 수관화로의 전이특성을 구명하고 산불피해 저감에 기여코자 한다.

  • PDF

Characteristics of Algae Occurrence on Environmental Changes (환경변화에 따른 조류 발생 변화)

  • Noh, Seongyu;Shin, Yuna;Choi, Heelak;Lee, Jaeyoon;Lee, Jaean;Rhew, Doughee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4 no.3
    • /
    • pp.278-286
    • /
    • 2015
  • Pilot scale system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growth and movement of algae, depending on environmental changes(retention time, nutrient concentration, etc) in Gangjeong-Goryeong Weir of the Nakdong River. Considering the stability of algal culture and easy observation of algal growth, pilot scale system was made of transparent acrylic material(3 sets of flexible cylindrical water tanks with 1 m diameter and 4 m height). Auxiliary equipments include light intercepter, water inflow device for different water depth and storage of reclaimed water. The retention time was 2 days(before construction of weir; treatment 1), 8 days(after construction of weir, 2013; treatment 2) and 30 days(2014; treatment 3). According to the water temperature of treatment 1 were similar by depth, treatment 3 showed a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0 m) and bottom(4 m) more than $3^{\circ}C$. DO, pH showed relatively high in the surface than the bottom. Nutrients showed eutrophic condition in all experiments. The Chlrophyll-a concentration of the treatment 1 showed a relatively lower value than the Chlrophyll-a concentration of the treatment 2 and 3. Therefore, the retention time was considered to influence the growth of phytoplankton.

Development of Simple Simulation by Changing the Stroke of Cylinder for a Oscillation (모의실험장치에서의 기계적인 동요에 대한 단순모사 장치개발)

  • Seol, Sang-Seok;Chung, Won-Jee;Jung, Don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33 no.2
    • /
    • pp.89-94
    • /
    • 2016
  • Equipments to influence by external force have to take effect mechanical oscillation. These equipments regardless of the movement on the external force such as roll, pitch and heave etc, worked to keep the height of tote are required for activeness and needed a device as equipment's fluctuation for rapidly compensation. Because the actual development of these devices is difficult to cost-effectively, we were developed to compensation simulator scaled down 1/50. In this paper, we were studying kinematic characteristics, designed the simulator to grasp the point and manufactured. This paper was analyzed for confirming the superiority of compensation simulator and set up 50 ton crane in practice.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X-ray Simulator using Visible Light Source (일반광원을 이용한 진단용 X선 모사 실험장치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 정광호;서태석;이형구;최보영;윤세철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13 no.3
    • /
    • pp.169-17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usefulness of X-ray simulator which uses a visible light source for further study. We developed a small experimental equipment which is composed of three main components - source, localizer and detector. Cartesian coordinate was set in 3D space, and the position of target was assumed the origin of the coordinate. The light from the source passes directly through the target, and projection image is formed on the screen, which can be taken with the digital camera. Since projection images were acquired behind the screen, they were flipped over right and left. By examining the characters of visual light source and equipmen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developed system was useful for experimental purpose.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load simulator interconnected with Power Quality Compensator (전력품질 보상기와 부하모의장치의 연계시험 분석)

  • Bae, Byung-Yeol;Cho, Yun-Ho;Park, Yong-Hee;Han, Byung-Moo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2 no.1
    • /
    • pp.89-97
    • /
    • 2007
  • This paper describes a load simulator with power recovery capability, which is based on the voltage source converter-inverter set. The load simulator can save the electric energy that should be consumed to test the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the power quality compensator and the power equipment. The load simulator consists of a converter-inverter set with a DSP controller for system control and PWM pulse generation. The converter operates as a universal load to model the linear load and the non-linear load, while the inverter feed the energy back to the power source with harmonic compensation. the performance of proposed load simulator was analyzed with scaled-model experiment, interconnected with the active power filter. Th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s that the proposed load simulator can be utilized to test the performance of active power fil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