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음 변이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5초

구어 말뭉치를 통한 한국어 용언활용에서의 모음조화 변이 및 변화 추이 연구 (Transition of vowel harmony in Korean verbal conjugation: Patterns of variation in a spoken corpus)

  • 강희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2호
    • /
    • pp.21-29
    • /
    • 2023
  • 이 논문은 현대 한국어 용언활용에서 모음조화 양상에서 보이는 변이(조화형과 비조화형의 공존)가 어떤 언어 내적/외적 변수들에 의해 통제되고 있는지 확인하여 그 변화의 발동과 전파 과정을 설명하려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국립국어원 발행 일상 대화 음성 말뭉치를 활용하여 42개 어간의 조화형 및 비조화형을 검색한 후 음운/형태적 특성 및 사회언어학적 특성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비조화형의 비율이 1% 미만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은 /ㅏ/-모음 어간이 단모음 종결 어미와 결합한 사례임을 확인하였다. 다만 기존 연구들에서 거의 보이지 않던 연결 어미나 선어말 어미의 경우에도 비조화형이 소수 나타났다. 말뭉치에서 발견된 /ㅗ/-모음 어간의 비조화형을 자료로 삼아 청취실험을 실시하여 비조화형의 발동이 음운 감쇄나 과소 실현에 의해 일어났을 가능성을 보였다. 다만 전파되는 과정에는 모음의 변별도나 형태적 분석과 같은 인지적 관점에서의 설명이 더 나음을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현대 한국어의 모음조화 변이 및 변화는는 조음적/인지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되었다고 본다.

LSP를 이용한 음소단위 PSOLA 음성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oneme-Based PSOLA Speech Synthesis Using LSP)

  • 권혁제;조순계;김종교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1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음소단위 PSOLA 한국어 합성을 LSP line의 조절과 자모음 분석을 통해서 실시하였다. 음성합성에서 많이 사용하는 triphone, diphone, demisyllable등과 같은 합성단위들은 자연스러운 합성음을 위해 다양한 음운환경에서 수집된다. 그러나, 이런 방법 은 많은 시간과 메모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합성단위로서 자음17개, 모음 16개로 총 33개의 음소를 이용하였다. 자음은 후위모음/이/인 CV에서 segment되고, 모음은 단음절의 단모음과 이중모음을 1인의 화자로부터 합성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또한, 10명의 화자가 발성 한 CV에서 각 모음에 따라 변하는 자음의 주파수를 분석하였고, CV+VC 또는 CV+CV에서 각 자음에 따라 변하는 모음의 포먼트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모음은 LSP line을 조절해서 PSOLA합성을 하고, 자음은 합성하려는 모음과 결합하였다. 그 결과 6개의 합성단어에 대한 청취율은 65%를 보였다.

  • PDF

벅아이 코퍼스를 이용한 미국 영어의 /l/ 연구개음화 연구 (A study of /l/ velarization in American English based on the Buckeye Corpus)

  • 사재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19-25
    • /
    • 2021
  • 설측음의 변이음에는 어두운 [l]과 밝은 [l]이 있다고 알려져 왔으나 최근 설측음의 변이음의 종류가 언어마다 다르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 설측음 /l/이 음절 내 출현 위치에 따라 연구개음화의 실현 정도가 유의미하게 다른 변이음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자연발화 음성 데이터베이스인 벅아이 코퍼스를 이용하였다. 먼저, 설측음의 음절 내 출현 위치에 따라 측정한 포만트 주파수를 비교한 결과 음절 내 모든 위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F2 주파수를 근거로 연구개음화 정도가 유의미하게 다른 변이음이 어두운 [l]과 밝은 [l] 이외에도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인접 모음의 후설성이 설측음의 연구개음화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표준적인 어두운 [l]과 표준적인 밝은 [l] 이외의 변이음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포만트 주파수를 측정하고 이에 대해 분산분석을 한 결과 음절 말 위치에서 연구개음화될 때에도 인접 모음이 후설모음인 경우 인접 모음이 전설모음인 경우와 비교했을 때 유의미하게 차이나는 F2 주파수를 보여 연구개음화되는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음절 초 위치에서 설측음이 실현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인접 모음의 종류에 무관하게 모든 설측음이 음절 초 위치에서는 표준적인 밝은 [l]로 발음될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실제 F2 주파수는 음절 말 위치에서 선행모음이 전설모음일 경우의 설측음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음절 내의 위치뿐만 아니라 인접 모음의 후설성이 설측음의 연구개음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논문의 결과는 설측음의 변이음의 종류가 언어마다 다르고 미국 영어의 경우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주장에 대한 하나의 음성학적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모음 상승 현상의 음성적 고찰: 어미 {-고}의 실현을 중심으로 (A Phonetic Study of Vowel Raising: A Closer Look at the Realization of the Suffix {-go})

  • 이향원;신지영
    • 한국어학
    • /
    • 제81권
    • /
    • pp.267-297
    • /
    • 2018
  • Vowel raising in Korean has been primarily treated as a phonological, categorical change. This study aims to show how the Korean connective suffix {-go} is realized in various environments, and propose a principle of vowel raising based on both acoustic and perceptual data. To that end, we used a corpus of spoken Korean to analyze the types of syntactic constructions, the realization of prosodic boundaries (IP and PP), and the types of boundary tone associated with {-go}. It was found that the vowel tends to be raised most frequently in utterance-final position, while in utterance-medial position the vowel was raised more when the syntactic and prosodic distance between {-go} and the following constituent was smaller. The results for boundary tone also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vowel raising and the discourse function of the boundary tone. In conclusion, we propose that vowel raising is not simply an optional phenomenon, but rather a type of phonetic reduction related to the comprehension of the following constituent.

한국어 /ㅛ/의 발음 양상 연구: 발음형 빈도와 음향적 특징을 중심으로 (Pronunciation of the Korean diphthong /jo/: Phonetic realizations and acoustic properties)

  • 이향원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9-17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이중모음 /ㅛ/가 다양한 언어학적 환경에서 어떠한 발음 변이 양상을 보이는지 밝히는 것이다. 특히 음성적 변이와 분포 범위의 연관성에 주목하여 /ㅛ/의 발음 양상을 논의하였다. 서울코퍼스의 여성 화자 10명의 발화에서 나타난 /ㅛ/의 운율적 위치(단음절, 어절 초, 어절 중, 어절 말)와 어휘 부류(내용어, 기능어)를 분석하였다. 각 환경에서 /ㅛ/의 출현 빈도를 파악한 결과, 운율적 위치에 따라 어휘 부류와 발음형 실현이 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음향 분석을 통해 기능어에서 나타나는 /ㅛ/에서는 음성적 약화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어휘 부류는 /ㅛ/의 평균적인 음가를 달라지게 하지는 않았지만 개별 토큰의 분포 양상에서는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언어학적 환경이 모음의 음성적 분포 양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 SPECTROGRAPHICAL STUDY OF KOREAN VOWELS

  • 이현복;지민제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6호
    • /
    • pp.4-12
    • /
    • 1983
  • 이 논문은 음향 분석기를 이용하여 한국어의 단순모음 8개를 음향 음성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이 현복의 1971년 논문 "현대 서울말의 모음 음가"에서 기분 모음을 기준으로 하여 기술한 단순 모음의 소리값과 비교하는 데어 목적이 있다. 특히, 한국어의 모음 1)길고 세게 날 때, 2)짧고 세게 날 때, 그리고 3) 여리게 날 때의 세가지 환경에 따라 변이음의 음가가 달리 나타난다는 이 현복의 이론을 음향 음성학적으로 확인해 보는 것이 연구를 하는 주요 관심사이다. 이 실험에 사용된 자료는 위에 말한 이 현복의 논문과 "한국어 음성학"(김선기, 1937, 1971; 영문)에 제시된 낱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스웨덴에 유학중인 지 민제가 자신의 목소리로 직접 녹음하여 위메오 대한 음성학과의 음향 음성학 실험실에서 음향분석기로 분석한 다음, 각 모음의 제1 및 제2포인트를 측정하여 리를 토대로 음향도를 만들었다. 이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1)그림 2,3과 포먼트 표에서 보인 바와 같이, 모음 /이, 에, 오, 으/는 각각 이 현복의 주장대로 환경에 따라 세 개의 분명히 다른 음가를 나타내고 있다. 2) 한편 모음 /애, 아, 우, 어/는 모음의 길이에 따라 다만 두 종류의 음가 변동이 나타날 뿐이며 강세의 유무에 따른 음가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다. 3) 이 현복의 주장대로 모음 /에/와 /애/mss 음가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음운 대립이 무디어질 수 있음을 이번 실험 결과로 확인 하였다. 특히 강세가 없는 /에/는 강세가 있는 /애/와 소리값이 거의 같았다. 4) 이 현복은 표준말에서 /어/의 음가가 세대에 따라 다르며, 안정된 세대의 말씨에서는 /어:/가 /어/에 비해 높고 중앙화한 소리값을 지닌다는 주장을 하였다. 그러나 이 실험 연구에서는 녹음한 이가 젊은 세대이어서 인지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다만 /어:/는 /어/보다 높이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이번 실험 연구에서 모음의 소리값이 장단과 강세에 따라 달라진다는 이 현복의 주장이 대체로 증명된 셈이나, 종합적이고 확고한 결론을 내리려면 좀 더 광범한 실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안정된 세대의 말씨를 직접 녹음하여 음향 음성학적으로 분석함이 필요하다.

  • PDF

자음의 단어내 음운환경별로 본 음가변화

  • 김종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9-76
    • /
    • 1994
  • 국어 자음을 단어내 음운환경별로 실험해 본 결과, 국어의 자음변이 규칙이 반영된 일관성있는 음가변화를 발견하였다. 발견된 음가변화는, ⅰ) 장애음의 길이는 모음간보다 단어초가 길고, ⅱ) 공명음의 길이는 단어초와 모음간보다 단어말이 길며, ⅲ) /ㄹ/의 F2와 F3는 모음간이 낮고 단어말은 높다는 것이다.ⅰ) 이들 음향특징의 근거가 되는 국어의 자음변이 규칙은, ⅰ) 평음의 유성화 현상, ⅱ) 음절말 불파음화 현상, ⅲ) 단어초 기음화 현상, ⅳ) /ㄹ/ 음소의 [r]과 [l] 교체현상이다. 본 실험결과 제시된 변화값은 음성인식 및 합성에 응용될 때 인식의 정확성과 합성의 자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스펙트럴 차원의 잡음처리를 이용한 음성인식 (Speech Recognition Using Noise Processing in Spectral Dimension)

  • 이광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38-741
    • /
    • 2009
  • 본 연구는 잡음을 포함한 음성 환경에서의 음성인식을 개선방안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음성인식에서 잡음 섞인 음성으로부터 얻은 스펙트럴 envelope에서 곡들의 스펙트럴 subtraction 및 복원이 보다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평균화된 스펙트럴 envelope은 모음 스펙트럼으로부터 추출하여 곡들의 강조에 사용하였다.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모음 스펙트럴 정보는 강조되어지고 자음으로부터 얻은 스펙트럼은 변하지 않는다. 시뮬레이션으로 살펴보면, 강조계수는 켑스트럴 영역에서 변한다. 이 방법으로 잡음석인 숫자음성 인식에서 적용하였으며 인식결과가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음성신호의 Jitter 성분의 장시간 변화에 관한 통계적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n long-term change of jitter component on continuous speech signal)

  • 조철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73-8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연속음성에서의 장시간 jitter 성분 측정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기존의 jitter측정방법으로는 지속 발성한 모음을 대상으로 변동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왔다. 문장음성 등 연속음성의 경우는 문장에 따른 운율정보의 영향으로 기존의 측정법으로는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연속 발성에 대해 운율정보의 피치 변동을 상쇄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피치 변동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분석구간내에서의 피치 변동을 다항식 보간법에 의해 변동 경향을 대표하는 곡선을 구하고 그 곡선을 기준으로 변이를 제거하였다. 이후 변이가 제거된 피치의 궤적으로부터 jitter를 측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피치 주파수의 변동성을 측정하고 기존의 지속모음에 의한 측정 방법과 비교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효용성 측정을 위해 Kay Pentax MEEI DB의 음성 표본을 사용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제안된 방법에 의해 연속음성으로부터 측정한 jitter 값은 동일 화자의 지속모음으로부터 측정한 파라미터 값과 유사한 변동성을 보여 주었다.

가스 하이드레이트 탄성파 자료 코다 파 (coda waves) 연구 (Seismic coda waves for gas-hydrate seismic data)

  • 장성형;서상용;김영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97-500
    • /
    • 2007
  • 탄성파 코다 파는 두 수진기에서 기록된 탄성파 자료의 상호상관으로부터 두 신호에 대한 순간응답을 구하고 이로부터 지층정보를 구하는데 이용된다. 여기에서는 인공합성 탄성파 자료와 가스 하이드레이트 현장자료에 적용하여 상호상관 모음도와 가상음원 모음도 (virtual source)를 구하고자 하였다. 인공합성자료는 해저면 탄성파 탐사법 (ocean bottom seismic)을 모델로 이용하여 인공합성 탄성파 단면도를 제작하였으며, 탄성파 코다 파를 살펴보기 위해 인공 OBS 자료 중 첫 번째 트레이스를 가상음원으로 정하고 모든 음원 모음도와 상호상관으로 가상응원 단면도를 제작하였다. 현장자료 적용으로는 해저면 기인 고진폭 반사파인 BSR (bottom simulating reflection)을 포함하고 있는 자료를 선정하여 상호상관 단면도와 가상음원 단면도를 제작하였다. 중합단면도상에 나타난 가스 분출지역은 상호상관 단면도에서도 나타났으며, 중합단면도상 BSR부분은 vs 단면도에서 강한 반사파를 보여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