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우드좌표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omparative study of the nodal and the modal approach in the flexible dynamics (탄성체 동역학에서 절점좌표계와 모우드좌표계 방법의 비교)

  • 신상훈;유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04a
    • /
    • pp.51-55
    • /
    • 1994
  • 탄성체 동역학 해석에 있어서 변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좌표로는 크게 절점좌표와 모우드좌표로 구분된다. 상대적으로 적은 좌표수를 사용하는 모우드좌표가 기계나 항공, 우주 분야에선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모우드를 선정함에 있어서의 기준의 불확실함 등으로 인해, 모우드좌표는 많은 경험을 요구하게 된다. 모우드좌표에 비해 많은 시간이 걸리지만, 절점 좌표의 사용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음을 장점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좌표로 탄성체 동역학의 운동방정식을 유도한 뒤, 슬라이더-크랭크 기구의 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서로 비교해 보고자 한다.

  • PDF

Application of Multivariable Optimal Control Theory to Active Plate Vibration Control (최적제어 이론의 원판진동 감소에의 응용)

  • Hong, S. W.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7 no.1
    • /
    • pp.83-95
    • /
    • 1983
  • 원판의 진동은 위치 좌표에 따라 진동변위 및 속도가 달라질 뿐 아니라, 또한 여러 진동모우드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시스템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진동 제어력을 발생시 켜주는 구동장치와 진동변수를 측정하는 측정장치를 어느 위치에 두느냐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더구나 여러 진동 모우드를 동시에 최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진동 모우드 개수 만큼의 많은 측정장치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측정장치의 역할을 대신해 주는 관측기(observer)를 부착하여 측정장치의 필요 개수를 줄였다. 최적제어 이론을 바탕 으로 구동 장치와 측정장치의 위치를 최적으로 결정하였고, 제어기의 제어상수를 최적으로 설계 하였다. 이와 같이 설계된 최적 제어 시스템의 제어효과를 평가해 보기 위해서 원판의 진동을 예 를 들어 시뮬레이션해 보았는데 그 결과를 자세히 기술하였다.

모우드 분리 기법을 사용한 스펙트랄모델 수립

  • 소재귀;정경태;승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1.07a
    • /
    • pp.64-68
    • /
    • 1991
  • Heaps(1972)가 수직좌표계 처리에서 Spectral expansion 기법을 사용하는 3차원 수치모델을 적용한 이래 조류, 풍성류, 밀도류 등 천해역의 흐름현상에 대해 스펙트랄 모델을 적용하여 현상을 재현, 예측하는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어 왔다.(중략)

  • PDF

Effect of Chassis Flexibility on Ride Quality (샤시의 강성이 운전석 승차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김광석;유완석;이기호;김기태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4 no.2
    • /
    • pp.127-136
    • /
    • 1996
  • Dynamic analysis of a three-axle heavy truck is carried out with rigid body model and flexible body model. To see the effects of chassis flexibility, the chassis is modeled as flexible body. The mass matrix, stiffness matrix, and vibration normal modes of the chassis are obtained by a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and four vibration normal modes are used in the flexible body model. The vehicle model consisting of a frame, a cab, suspensions, an engine, a deck, a seat, and tires, has total 77 degrees of freedom. The result shows that the peaked acceleration in the flexible model is lower than that of the rigid body model.

  • PDF

Dynamic Analysis of a Flexible Windshield Wiper Mechanism (탄성 앞창닦기 기구의 동력학적 해석)

  • 유완석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0 no.4
    • /
    • pp.450-455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직교좌표계 및 Euler-Lagrange 방법을 이용하여 유도된 기본 방정식을 사용하여 앞창닦기기구(windshield wiper mechanism)의 동력학적 해석을 하 였다.모우터가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와, 토오크가 각속도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 각각에 대해서 강체로 해석할 때와 탄성체로 가정할 때의 해석결 과를 비교하였다.

The Optimum Structure Modification by Shape Changes (형상변경에 의한 최적구조변경법)

  • 박석주;오창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225-230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진동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구조물이 가지는 공간적인 좌표를 설계변수로 하여 감도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길이와 높이에 대한 형상을 변경하는 최적구조변경법에 대해 예시하고자 한다. 먼저 모우드합성법을 이용하여 임의 치수의 L형 구조물의 진동특성을 해석하고, 진동 특성을 변경하기 위해 감도해석법으로 변경할 부분의 감도를 구하여 변경할 부분의 변경량을 계산한다. 그리고 변경한 후 재해석을 통해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제시한 방법의 타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Vibration and Acoustic Radiation from an Elastic Free- Free Beam due to a Steel Ball Impact (강구의 충돌에 의한 양단자유 보의 진동 및 음향 방사에 관한 연구)

  • 박홍철;이효근;박윤식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6 no.9
    • /
    • pp.1615-1626
    • /
    • 1992
  • In this study, vibrations and resulting acoustic radiations from an elastic beam impacted by a steel ball were studied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First the transverse vibrations of free-free elastic beams are analysed with modal analysis technique. The impact forces are modeled with the Hertz's theory and the contanct duration is compared with the measured values. Also the calculated beam vibrations are verifi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n the acoustic radiations due to the beam vibration are studied numberically and experimentally. The acousticpressure is calculated assuming the beam has an elliptical cross-section. The predicted acoustic pressure is compared with the measured value. It was found that both the predicted beamvibrations using the Hertz's theory and the estimated acoustic pressure under the assumption of an elliptical cross- section are in very good agreements with the measured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