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바일 저작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5초

모바일 환경 증강현실 콘텐츠 현장 저작 인터페이스 (Interface for in-situ Authoring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on a Mobile Device Environment)

  • 이정규;이종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 증강현실 저작과 일반 데스크 탑 증강현실 저작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이동 중에 현장에서 직접저작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모바일 장치에서 증강현실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면서 언제, 어떠한 장소에서도 증강현실 시스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 개인의 맥락 정보를 직접 현장에서 저작하는 것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손쉽게 저작하기 위해 제한적인 모바일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극대화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시각적 큐를 활용한 콘텐츠의 조작, 애니메이션 지정 등의 속성을 간단하게 부여 한다. 그리고 저작 과정에서 부착된 카메라를 활용함에 생기는 불편함을 제거하기위하여 획득된 정지 영상을 기반으로 선택적 환경에서 저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획득된 영상을 활용하여 한 명 이상의 사용자가 콘텐츠를 함께 저작 할 수 있는 협업환경 구현이 가능하다. 제안된 인터페이스들의 유용성은 사용자 설문을 통하여 검증 해 보았다. 제안된 방법이 모바일 환경에서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에 효과적인 인터페이스로 활용 될 것이 기대된다.

모바일 장치에서 DMB용 MPEG-4 컨텐츠 저작 (MPEG-4 Contents Authoring with Mobile Device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이송록;김상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6호
    • /
    • pp.631-636
    • /
    • 2005
  • DMB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고,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수요도 나날이 증가되면서 PC에서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DMB 방송을 위한 대화형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이 필요하다. 제안하는 저작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성을 감안하여 단독저작뿐만 아니라 여러 클라이언트들과의 공동 저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DMB 방송 중에서 BIFS 정보에 대한 디코딩 시간으로 인한 지연을 극복하기 위하여 보다 가볍고 동적인 BIFS 정보 생성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개발 결과를 보인다.

모바일 앱을 위한 동적 텍스트 편집 저작도구 설계 (Design of Dynamic Text Authoring Tool for Mobile Applications)

  • 강용희;이은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19-322
    • /
    • 2014
  •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확산되고 다양한 앱을 보다 쉽게 만들 수 있게 도와주는 저작도구들이 발표 되었으나 모바일 앱을 위한 텍스트의 디자인과 효과를 편집할 수 있는 저작도구는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상호작용과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텍스트 편집 기능을 가지면서 설계 결과를 앱에 통합하기 위한 저작도구를 제안한다. 이 저작도구를 통하여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텍스트를 편집하고 실행 화면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설계된 결과는 xml 데이터로 저장되고 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하기 위하여 실행환경의 텍스트 처리 라이브러리 클래스를 제공하고 이것을 앱의 개발자 코드에 통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카테고리 빌더와 하이브리드앱 생성기를 통한 모바일앱 저작도구 (Mobile app authoring tool with category builder and hybrid app generator)

  • 현철;김상헌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9-70
    • /
    • 2012
  • 본 연구는 콘텐츠 배포를 위한 앱 제작에 있어 모바일앱 개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저작도구에 관한 것이다. 카테고리 빌더란 콘텐츠의 특성과 수요자의 특성을 분석한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모바일웹을 생성할 수 있는 도구이며, 하이브리드앱 생성기는 모바일웹 코드를 기반으로 네이티브 코드와 통합된 하이브리드 모바일앱을 생성하는 도구이다. 모바일앱 저작도구는 모바일앱의 분류에 맞게 사전에 카테고리를 빌드 후 제공된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콘텐츠의 세부 내용을 수정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내용은 HTML5 표준에 맞는 모바일웹페이지로 생성된 후 하이브리드앱으로 변환한다. 제안된 모바일앱 저작도구는 모바일앱 개발의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 PDF

posVibEditor: 모바일 기기에서 진동촉감 패턴의 디자인 저작 도구 (posVibEditor: Authoring Tool for Designing Vibrotactile Patterns in Mobile Devices)

  • 류종현;최승문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256-26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진동 패턴을 손쉽고 빠르게 디자인 할 수 있는 저작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진동 패턴 디자인 저작 도구는 드래그-앤-드랍 저작 방식을 통해서 손쉽고 빠르게 진동 패턴을 디자인 할 수 있으며, 만들어진 진동 패턴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관리함으로써 진동 패턴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XML 형식을 통해 진동 패턴을 저장하므로 진동 패턴 데이터 형식의 확장성이 뛰어나다. 또한, 다수의 진동자를 사용하는 환경을 위해 멀티 채널 진동 패턴을 디자인 할 수 있으며, 내부 플레이어를 통해서 진동 패턴을 빠르게 검증하며 수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인지 모델을 고려한 진동 렌더링방법을 통해서 디자인 할 때 고려한 인지적 효과별 사용자가 통일하게 느낄 수 있게 하였다. 진동 패턴 저작 도구는 기본적으로 모바일 기기에서 진동 모터를 사용하는 환경에 적합하도록 개발되었으나 가상 현실이나 햅틱 인터랙션과 같은 진동 모터를 사용하는 연구 분야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 PDF

PDA에서 사용자 인터랙티브 MPEG-4 컨텐츠 저작 (User Interactive MPEG-4 Contents Authoring for PDA)

  • 임영순;이송록;김상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334-337
    • /
    • 2004
  • 컨텐츠를 저작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요소로 사용되는 그래픽,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여러 요소의 상호작용적인 관계를 저작할 수 있는 MPEG-4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저작과 재생뿐만 아니라 서비스, 유통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다루어진다. 개인용 컴퓨터의 사용과 더불어 휴대폰, PDA와 같은 무선 인터넷의 사용 빈도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모바일 환경에 MPEG-4 적용을 시도하는 것은 큰 의의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PC 환경에서 개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도구를 바탕으로 PDA 환경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방법을 제시하고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저작도구를 제시한다.

  • PDF

모바일 장치를 위한 MPEG-4 콘텐츠의 객체 및 장면 트리 변환 (Transforming Objects and a Scene Tree of MPEG-4 Contents for Mobile Devices)

  • 김상욱;김경덕;이숙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1권2호
    • /
    • pp.124-13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장치를 위한 MPEG-4 콘텐츠 저작을 위하여 객체 및 장면 트리 변환을 이용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저작시 MPEG-4 콘텐츠의 객체와 장면 트리를 변환하여 모바일 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재구성한다. 이 방법은 모바일 장치의 작은 인터페이스에서 재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장면에 표현되는 각 객체를 기하 객체로 변환하고 그 외형을 축소하여 초기 로딩 시간을 감소시키며, 원 객체의 재생은 사용자가 재생 장면에서 해당 기하 객체를 선택할 때 재생된다. 그리고 제안한 방법을 기존 저작 도구에 적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재생기에서 효율적으로 MPEG-4 콘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인터랙티브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도구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Authoring Tool for Mobile Augmented Reality Content)

  • 전지영;전지윤;홍민;염효섭;최영환;최유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5-3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마커 위에 2D 이미지, 3D 모델, 동영상과 같은 가상객체를 증강시키고 인터랙션 이벤트를 연결시켜 주는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 빌더(MARB ; Moblie AR contents Builder, 이하 MARB)를 개발하였다. MARB은 사용자가 원하는 마커 위에 다양한 가상객체를 증강시켜주며, 마커에 따른 여러 인터랙션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 간편하게 구동하기 위해 모바일 콘텐츠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모바일기기에 설치하면 간단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이용한 저작이 가능하다. MARB은 기존 개발자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저작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를 원하는 사용자들에 의해 다방면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모바일 증강현실 시장 확장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 개발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Scene flow 방식을 이용한 모바일 만화 저작 기법 (The Mobile Cartoons Authoring Method Using Scene Flow Mode)

  • 조은애;고희창;모해규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9호
    • /
    • pp.113-126
    • /
    • 2010
  • 휴대형 기기의 보급화에 의한 모바일 콘텐츠 수요와 시장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디지털 만화 시장은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찾고 있다. 기존 웹툰, 페이지 뷰어만화, 전자종이만화를 주축으로 형성되던 디지털 만화 시장은 만화의 콘텐츠로서 지니는 강한 경쟁력과 전통적 종이출판물이 지니는 성장 동력의 한계 사이에서, 산업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새로운 매체에 적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고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디지털 만화 중 가장 많은 변화를 겪고 있는 모바일 만화는 기존의 종이 출판만화에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공간적 제한이 없는 것과는 달리 제한된 모바일 화면의 크기 내에서 만화창작자에 의한 다양한 기획의도를 충분히 반영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구독자에게 작가의 연출의도에 따른 스토리를 전달함에 있어서 문제로 남게 되고 그러한 문제는 모바일 만화 활성화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모바일 만화 저작방식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고자 모바일 만화를 저작하는 과정에서 창작자의 기획의도를 반영할 수 있도록 만화를 저작할 때 Scene Flow 방식이 적용된 모바일 만화 저작도구를 통한 저작기법과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독자가 모바일 뷰어를 통해 만화 콘텐츠를 읽을 때, 더욱 실감나고 재미있게 만화를 읽을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각 Cut에 화면전환 효과, 진동이나, 사운드의 삽입효과를 추가하였다. 또한 모바일 시장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만화콘텐츠 제작과 동시에 유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AF기반 3D Push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3D Push Service System based on Stereoscopic Video AF)

  • 윤국진;정원식;허남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1-5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응용 포맷(Stereoscopic video Application Format)을 기반으로 IP환경에서 3차원 광고, 홍보 및 교육 등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3D Push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응용 포맷은 모바일 및 고정형 환경에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저장 및 전송을 위한 파일 포맷으로서 다양한 3D 디바이스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국제표준(ISO/IEC 23000-11)으로 채택되었다. 제안한 시스템은 스테레오스코픽 콘텐츠를 토대로 프로그램 저작을 위한 저작 및 저장을 위한 저작도구, 저작된 프로그램을 스케줄링하고 각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전송 관리하는 서버 및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 3D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플레이어로 구성된다. 또한, 제안하는 시스템은 국제표준을 토대로 다양한 3D 디바이스와 호환성을 제공하며 모바일 및 고화질 3차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 사이트 과금에 따라 3D 프리미엄 서비스 및 Non-tapeless기반의 원격관리 3D Push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