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Search Result 19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Factors Affecting User Satisfaction of Mobile Social Network Games: Focusing on the Quality and Self-determination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 이용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품질과 자기결정성 요인을 중심으로)

  • Youm, Dong-sup;Park, Kyoung-H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1
    • /
    • pp.459-467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nd identify what factors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for the fast-growing social network game based on the mobile. To this end, we looked around the variable product characteristic factor, quality and the consumer characteristic factor, user self-determination. Also we surveyed 211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he first finding was that all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factor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the mobile social network games. The second finding was that all the sub-factors of the self-determination factor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the mobile social network games. The third finding was that only the sub-factors of quality had positive relati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the mobile social network games, in the order of playfulness, usability, functionality from the most to the lea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offer meaningful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igh quality game contents for the user convenience, as well as the academic significance, the expansion of game-related area of research through the break from the traditional research trends, technology and engineering point of view and from the PC-based online game.

Social Network Service Technologies for Public Sector (공공부문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술)

  • Kim, Hong-Sop;Kim, Yun-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125-126
    • /
    • 2011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는 사용자들 간의 정보공유 및 관계형성을 위한 Web 2.0 기반 기술로써, 관계를 통해 형성된 사용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SNS 기술은 개인들 간의 관계 뿐 아니라 공공부문의 서비스의 제공자인 정부부처 및 공공서비스 제공기관들과 사회구성원들 간의 관계형성을 위한 기술로써 각광받고 있다. 최근에는 모바일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SNS 이용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활용범위 또한 개인 사용자들 간의 정보공유에서 기업과 고객, 공공과 국민의 관계까지 확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NS가 공공부문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한 사례를 통해 요구되는 기술을 제안한다.

  • PDF

Cross-Platform Mobile System for Social Applications (소셜 응용을 위한 크로스-플랫폼 모바일 시스템)

  • Kim, Kwang-Sup;Kang, Sang-Gu;Kim, Nam-Yun;Hwang, Ki-Ta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1 no.1
    • /
    • pp.193-198
    • /
    • 2011
  • As smartphone use has been steadily growing over the past year, social networking on the mobile phones appears to be increas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cross-platform mobile architecture for supporting social applications. The key design objectives for developing the proposed system include: 1) providing personalized data through filtering information which is supplied by various social applications, 2) providing a cross-platform architecture for adapting various smartphones such as Apple iPhone and Google android. We verified system design by implementing a smartphone application which displays the filtered pictures from social network services such as Flickr and Picasa.

Social Network Based Reliable Resource Management Technique in Mobile Cloud (모바일 클라우드에서 소셜 네트워크 기반 신뢰적인 자원 관리 기법)

  • Park, JiSu;Jung, DaeYong;Lim, JongBeom;Yu, Heon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52-155
    • /
    • 2012
  • 최근 스마트폰 및 타블릿PC 등 모바일 장치의 성능(쿼드코어)이 급격히 성장하고, 사용자의 증가, 무선 통신 환경(LTE, Wibro 등)의 발전으로 모바일 장치들을 연산 가능한 자원으로 고려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자원 제공자인 모바일 장치의 자율적 연산 참여와 탈퇴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시스템들은 수행중인 연산이 중단되어 연산의 완료 시간이 지연되며, 시스템의 결함으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의 안정적인 연산 수행을 위한 안정적인 모바일 자원을 제공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신뢰적인 모바일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소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그룹화 함으로써 모바일 자원 관리를 제공한다

Design of sharing Civil Complaint Application System based on Social Network Services using Android (Android를 이용한 민원 공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리케이션 시스템 설계)

  • Park, Hung-Bog;Seo, Bo-Lyoung;Kwak, Woo-Suk;Bae, Ji-Yeon;Heo, S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347-348
    • /
    • 2012
  • 눈 앞에 보이는 생활 속 불편 사항을 민원으로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기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한 수많은 글들이 올라오기 때문에 민원 내용에는 초점이 맞춰져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민원 신고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합한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사용자는 민원에 집중된 내용을 다른 사람들과 실시간으로 공유하면서 정부 기관에서도 즉각적인 민원 확인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시민들과 관공서 간의 빠른 민원 파악 및 처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 PDF

The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of Using the Proxy Re-Encryption for Mobile Cloud SNS (클라우드 SNS상에서 Proxy Re-Encryption을 이용한 사용자 모바일 인증 프로토콜)

  • Cho, Seunghyun;Mun, Jongho;Nam, Yoonho;Jeon, Woongryul;Won,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607-609
    • /
    • 2013
  • 최근 분산 시스템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도 분산방식으로 전환해가는 추세이다. 특히, 모바일 기기 발전과 공급 확산으로 인해 모바일 기기의 분산 SNS에 대한 연구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응용한 모바일 클라우드 SNS가 연구되고 있다. 또한, 제 3자의 미인증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 SNS 접속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되고 있는 반면, 이를 방지하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 인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Proxy Re-Encryption 기술을 응용하여 안전한 모바일 기기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Mobile Real-Time Strategy Game using Web Server (웹 서버를 이용한 모바일 RTS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 Choi, Ju-Young;Kang, ManJe;Ryu, ChanWhan;An, Syungog;Kim, SeokHun;Kim, Soo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60-61
    • /
    • 2017
  • 모바일 게임 시장은 매년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으며, 대중의 관심 또한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모바일 게임은 대체로 조작이 간단하고 장소에 따른 제약이 없기 때문에 접근하기 쉽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 때문에 앞으로도 모바일 게임 시장의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게임에서 가장 성공한 장르 중 하나인 소셜 네트워크 게임 중에서도 RTS 장르의 게임을 기획, 설계 구현한 것에 대해 다루었다.

  • PDF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Social Media Use Intensity and Fatigu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cess Incentive Expectations (소셜 미디어 사용 강도 및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성과기대의 조절 효과 연구)

  • Park, Ki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5
    • /
    • pp.215-227
    • /
    • 2021
  • This study empirically studie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sity of use of mobile social media and fatigue. Theories for the research framework were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theory of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the theory of flow, and the theory of process incentive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user habits, and flow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 the intensity of mobile social media use. This study assumed tha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ssues negatively affect the intensity of mobile social media use, but have little influence on the use intensity. The intensity of media use had a positive effect on media fatigue. In other words, when the intensity of using mobile social media increased, the feeling of fatigue increased. The expected process incentives variable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between media use intensity and social media fatigue. The findings will have implications for social media-related companies and organizations that want to use social media tools for business and public services.

Monitoring and Sensing Disaster Issues from Social Media (소셜미디어 재난이슈 탐지 및 모니터링)

  • Choi, Seon-Hwa;Choi, Woo-Jeong;Lee, Jong-K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332-335
    • /
    • 2013
  • 최근 IT기술발전으로 데이터 저장 및 처리비용은 하락하고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등이 확대되어 데이터의 양적 팽창이 가속화되면서 빅데이터에서 가치를 창출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가 3천만을 넘어서면서 모바일 기기는 대량 데이터 생산의 원천이 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는 스마트시대 대표 통신채널인 소셜미디어 활용을 가속화 시키며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특히 일본과 아이티 지진피해, 강남역 침수 등 재난발생 시 피해상황 파악 및 경보, 정보교환 등에 소셜미디어 채널이 활발히 활용되면서 새로운 매체로 떠오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언어분석을 통해 소셜미디어 속에 재난이슈를 모니터링하고 소셜미디어가 재난예방 및 대응에 적극 활용되기 위해 필요한 기술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mplementation of Social Network Application for Civil Service based on Android (안드로이드 기반의 민원 서비스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구현)

  • Park, Hung-Bog;Seo, Jung-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9 no.11
    • /
    • pp.1323-1330
    • /
    • 2014
  • As for civil service support, the interaction between citizens as well as the government and citizens has an important value, and the participation between citizens be very important.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citizens can lead to spreading the use of the app by getting them to share their status information with an specified number of people in the public service such as a social network service. Mobil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has various built-in sensors to increas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tizens and post the status information of users on SNS. In this regard, this paper proposed a social network application for civil services based on the Android by using location-based context inform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since the application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applied to low-performance system and exhibits high performance, it can allow users located at a short distance to detect new information and share contents by adding the content to SNS which is the closest to the location of us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