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바일 가상현실

Search Result 17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Immersion and Presence of VR Karaoke Room Implementations in Mobile HMD Environments (HMD 모바일 환경에서 가상현실 기반 노래방 구현물의 실재감과 몰입감 연구)

  • Kim, Ki-Hong;Seo, Beomjoo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7 no.6
    • /
    • pp.19-28
    • /
    • 2017
  • There exist a variety of VR(Virtual Reality) contents that have been developed by the use of the latest VR technologies. Unlike the rapid advances in the recent VR devices however, the development of VR based game contents that fully utilize such cutting-edge devices has been lackluster. Using more accessible form of smartphone-based HMDs(Head-Mounted Displays), we compare two popular VR presentation methods(a realistic 3D VR karaoke room and a 360 degree video karaoke room) and analyze their users' immersion and realistic perception. We expect that our study can be utilized as a supporting guideline for future smartphone-based VR content developments.

Ubiquitous Virtual Reality Framework and Its Application for Fostering Sustainable Content Ecosystem (지속 가능한 콘텐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유비쿼터스 가상현실 프레임워크 및 응용)

  • Shin, Choon-Sung;Ha, Tae-Jin;Kim, Ki-Young;Lee, Won-Woo;Lee, Young-Ho;Woo, Woon-Tac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7 no.1
    • /
    • pp.123-134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ubiquitous virtual reality framework and its application for fostering a sustainable content ecosystem in the convergence space of virtual reality and real space. The ubiquitous virtual reality framework supports fundamental infrastructure which consists of platforms for end-users and service providers and dual space management. The platform for the service provider allows experts to generate contents related to real objects while the platform for the end-users allows to consume, share and regenerate the contents contextually augmented over real objects. The dual space management stores, visualizes and provides the contents generated and extended by them for connecting different users and service providers. The proposed framework allows users to continuously generate, share and extend the contents and thus contribute to making multimedia service environment. We also implemented and evaluated the framework consisting of a desktop authoring platform, mobile authoring platform and a dual space management server. We then introduced a promising application scenario to show how the content ecosystem is empowered by ubiquitous virtual reality framework and is realized in our life. Consequently, we are expecting that the ubiquitous virtual reality technology will play a vital role in building continuously evolving multimedia service environment for the future computing environment.

가상 현실 장비와 유비쿼터스 가상 현실

  • Lee, Ha-Seop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12
    • /
    • pp.63-73
    • /
    • 2016
  • 본고에서는 다양한 가상 현실 장비에 대해 알아보았다. 초기 가상 현실 장비의 탄생과 시각적 장비, 가상 현실 입출력 장비에 대해 살펴보았다. 하지만 가상 현실 전용 장비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몰입감을 방해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항상 사용하는 일상적인 장비들로 가상 현실 시스템을 구축해 보고자 했다. 다중 장비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가상 현실을 구현하기 위해서 어떤 시스템이 필요할 것인 지 제안하고 간단한 시스템을 서술했다. 전체 시스템은 메인 서버와 데스크톱 컴퓨터, 모바일 장비 모듈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시스템으로 실행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각 서버, 모듈의 역할과 장비의 자세 추정 방법에 관해서도 제안하였다.

Effects of Immersive Virtual Reality English Conversations on Language Anxiety and Learning Achievement (몰입형 가상현실 영어 회화 학습이 언어불안감과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Jeong, Ji-Yeon;Jeong, Heisaw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
    • /
    • pp.321-332
    • /
    • 2021
  • This study developed an English conversation learning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VR) and mobile devices. Participants learned and practiced English conversational patterns in immersive virtual reality and mobile conditions. In the program, participants learned and practiced nine conversational patterns with virtual characters in four steps. Language anxiety and conversational fluency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Language anxiet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that language anxiety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learning in both conditions, and the reduction waa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immersive condition. Conversational fluency was assessed based on the changes in the length, appropriateness, and accuracy of the responses before and after participants learned and practiced conversational episod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ngth, appropriateness, and accuracy of the responses were improved in both conditions after learning. The response length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immersive VR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mersive VR can be an effective tool to enhance English conversational abiliti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Service and Virtual Reality Using the Wireless Internet (무선 인터넷상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가상현실의 설계 및 구현)

  • Kim, Hyun-Joon;Oh, Se-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63-166
    • /
    • 2001
  • 현재의 무선 인터넷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빠른 발전을 하고 있다. 하지만 적은 메모리와 낮은 수준의 처리율을 가지고 있는 제한적 환경인 모바일 특성에 의해 대부분 텍스트 기반의 서비스만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다양한 정보와 형태를 원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적은 메모리 사이즈와 낮은 수준의 처리율을 가진 단말기, 즉 제한된 모바일 환경에서도 다양한 정보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가상현실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워드 서비스와 가상현실 서비스 두 가지를 제안한다. 워드 서비스는 일반 WAP 푸시 개념이 아닌 서버와 사용자간의 정보 교환을 위한 서비스 개념이다. 일반 컴퓨터에서 작업한 워드파일을 모바일에서도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이고, 가상현실 서비스는 일반 언어의 3D 개념으로 디자인되어진 것이 아닌, 2D 의 이미지를 3D 화 시켜 모바일에서 실시간으로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 PDF

모바일 컨텐츠 연재 / "이제 모바일 콘텐츠다"

  • Yang, Su-Hyeon
    • Digital Contents
    • /
    • no.7 s.122
    • /
    • pp.112-116
    • /
    • 2003
  • 영화 '매트릭스(Matrix)'는 보는 이로 하여금 가상 현실이라는 것에 대해 한번쯤 생각하게한다. 주인공 네오를 비롯한 시온의 전사들은 소위 '매트릭스'라 불리는 가상 현실 컴퓨터 군단을 상대로 첨단 액션을 선보이면서 맞서 싸운다. 디지털로 이루어진 매트릭스의 세상과 유기물로 이루어진 인류 최후의 조직체인 시온의 대결. 영화의 결말을 보기 위해서는 올해 말까지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지만, 여기에는 재미있는 개념을 발견할 수 있다. 영화 매트릭스에서 가상의 세계와 현실의 세계를 연결하는 통로는 바로 '전화'라는 것이다.

  • PDF

Interactive 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a Vibro-Tactile Pad (진동-촉감 패드를 이용한 상호작용형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 Jin, Moon-Sub;Seo, Byung-Kuk;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285-287
    • /
    • 2011
  • 최근 증강현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이 고성능 모바일 장치가 대중화됨에 따라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이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증강현실을 구현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증강된 가상 모델과의 촉각적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한 효과적인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모바일 환경을 고려하여 손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패드 형태의 진동-촉감 전달 장치를 비주얼 마커와 결합하고 마커를 이용해 증강된 가상의 모델의 움직임에 맞춰 촉감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증강된 가상 모델에 대한 사용자의 시각적 상호작용과 동시에 촉각적 상호작용을 통해 보다 실재감 있는 증강현실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에 이를 구현하고 그 유용함을 보인다.

  • PDF

A Context-aware Mobile Augmented Reality Platform (상황인지 기반 모바일 증강현실 플랫폼)

  • Kim, Byung-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1
    • /
    • pp.205-211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context-aware augmented reality platform for mobile augmented reality to support user-oriented virtual world information for smartphone user. We designed the platform architecture and 6 subsystems which a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existing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and platforms. The proposed architecture includes a context reasoning service subsystem for the context-aware information filtering, and separates the inner platform from the outer virtual world network containing virtual information to resolve interoperability issue of POI(Points of Interest) data.

A Study on Gamepad/Gaze based Input Processing for Mobile Platform Virtual Reality Contents (모바일 플랫폼 가상현실 콘텐츠에 적합한 게임패드/시선 기반 입력 처리 기술에 관한 연구)

  • Lee, Jiwon;Kim, Mingyu;Jeon, Changyu;Kim, Jinmo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2 no.3
    • /
    • pp.31-41
    • /
    • 2016
  • This study proposes suitable input processing technique for producing the mobile platform based virtual reality contents. First of all, we produce the mobile platform based virtual reality interactive contents to be used in experiments for improve user's immersion who experienc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t interests and design the input processing that easily controllable. Then design the input processing technique in two methods, with gamepad that accessibility to mobile and with directly through user's gaze to interface. Through virtual reality based input processing technique that we proposed, we analyse effect of improve user's immersion, cause of get interests and whether provide the convenience or not for controlling contents through experiments. Moreover we verify whether bring negative psychological elements like sickness, fatigue or not.

Design Evaluation of Mobile Devices Using Virtual Reality Based Prototypes (가상현실 기반 프로토타입을 이용한 모바일 장치의 디자인 평가)

  • Jo, Dong-Sik;Yang, Ung-Yeon;Son, Wook-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683-684
    • /
    • 2007
  •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 프로토타입을 이용한 모바일 장치의 디자인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장치의 디자인 요소 분류, 3 차원 데이터의 고품질 가시화 기법, 제품 기능과 동작에 대한 사용자 상호작용의 구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