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든 이를 위한 과학

검색결과 1,256건 처리시간 0.035초

예비 과학교사의 통합교육 실천에 대한 교사효능감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fficacy for Inclusive Practices)

  • 김준희;임성민;이소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63-271
    • /
    • 2024
  • 학교교육에서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특수 교육 전공이 아닌 일반 교과교육 맥락의 예비교사교육에서 이에 대한 준비는 여전히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예비 과학교사의 통합교육 실천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조사하고 응답자 변인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함으로써 통합교육 환경을 대비하는 과학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통합교육 실천에 대한 교사효능감이란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을 포함한 학생들을 잘 가르칠 수 있는 실천 능력에 대한 자기 믿음으로 정의되며, 이는 통합교수 효능감, 협력 효능감, 문제행동중재 효능감의 3가지 하위 차원으로 구성된다. 이 연구에서는 '통합교육 실천에 대한 교사효능감(Teacher Efficacy for Inclusive Practices)'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예비 과학교사 총 61명의 응답 자료를 얻었으며, 이 자료로부터 통합교육 실천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하위 요인별 분포와 응답자의 배경 변인에 따른 분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과학교사들의 통합교육 실천에 대한 교사효능감은 모든 하위 차원에서 다소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통합교수 효능감과 협력 효능감이 높고 문제행동중재 효능감이 가장 낮았다. 예비 과학교사의 성별, 장애인 봉사 경험, 통합교육 경험, 특수교육학 과목 이수 정도에 따른 교사효능감은 집단에 따른 차이의 일부 경향성은 보이지만 모든 하위 차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 분석을 위한 3차원 틀 개발 및 적용 :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 박세기;이기영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7-67
    • /
    • 2010
  • 과학교육에서 효과적인 과학 수업을 위하여 과학사 도입의 중요성이 계속 강조되어 왔다. 이에 따라 과학 교과서에는 많은 과학사 자료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가 어떤 유형과 맥락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 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해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3차원 틀을 개발하고, 이를 제 7차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서 지구과학 내용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개발된 분석틀은 수업맥락, 역할, 제시유형의 3개 차원으로 구성된다. 수업맥락 차원은 흥미, 사회-문화적, 인식론적, 개념적 맥락의 4가지 영역으로 세분되며, 제시유형 차원은 에피소드/일화, 발견/고안, 선형적인 발전, 역사적 실험의 4가지 영역으로 세분된다. 역할 차원은 기본적, 보충적, 탐구적의 3가지 영역으로 세분된다. 개발된 3차원 분석틀을 적용하여 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사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수업맥락 차원에서는 개념적 맥락의 과학사 자료가 모든 학년별 과학 교과서에서 가장 많았다. 역할 차원에서는 기본적 역할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탐구적 역할의 경우에는 매우 적었다. 제시유형 차원에서는 발견/고안과 선형적인 발전 유형이 대부분이었고, 에피소드/일화 유형의 자료는 주로 흥미 맥락과 연계되어 극히 일부만 사용되고 있었다. 3차원 각 영역들을 48개의 조합으로 분석한 결과, '개념적 수업맥락-기본적 역할-발견/고안 유형'과 '개념적 수업맥락-기본적 역할-선형적 발전 유형' 2개 조합에 집중되었으며, 나머지 조합들의 빈도는 매우 낮았다. 전체적으로 3차원 분석틀 각 영역에 부합하는 과학사 자료가 과학 교과서에 다양하게 포함되지 못하고 일부 영역에만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다양한 수업맥락, 역할, 그리고 유형으로 과학사 자료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TIMSS 2015 상위국 8학년 과학성취에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의 영향력 분석 (Effect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on 8th Grade Science Achievement Among Top-performing Countries in TIMSS 2015)

  • 곽영순;박상욱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2권1호
    • /
    • pp.66-7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TIMSS 2015 결과에서 상위 성취를 보인 5개국(대한민국, 싱가포르, 대만, 홍콩, 일본)에서 8학년 과학성취에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의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과학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과학성취에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의 영향력을 비교하기 위해 위계선형모형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학생수준 변인에서 가정의 학습자원,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 과학에 대한 가치 인식, 학생의 교육기대 수준이 8학년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준 변인에서는 재학생의 경제적 배경, 학교의 학업적 성공 강조가 과학성취도에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5개국 결과를 비교하면 가정의 학습자원,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 학생의 교육기대 수준이 모든 국가에서 과학성취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변인에서 재학생의 경제적 배경은 일본을 제외한 모든 나라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 특성에 의한 수업 제한은 우리나라를 제외한 모든 나라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보조 인력은 일본과 대만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과 교수학습에 주는 시사점을 학생과 학교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교육격차를 완화, 역량교육을 위한 과학 수업혁신, 과학수업에서 탐구실험 활동 내실화 등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다문화 학생, 학부모, 교사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생각 (Multicultural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Ideas about Science Learning)

  • 신동희;고상숙;김애화;김설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932-951
    • /
    • 2013
  • 우리 사회의 소중한 자산이 될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 과학 교육적 배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가 기획되었다. 다문화 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과학 학습을 파악하여 그들의 상황을 이해하고 과학 교육 차원에서 배려하고 지원하는 방향을 고민함으로써 그들을 고려한 과학 교육계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 가정 초등 및 중등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다문화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초등 교사 및 중등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집단 면담을 실시했다. 면담을 통해 다문화 학생들의 과학 교육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언어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 밖에도 다문화 학생들을 바라보는 교사와 친구들의 기대치가 낮다는 점도 알았다. 우리 상황에 맞는 다문화 과학 교육의 내용과 방법, 그리고 학교 차원의 제도적 지원을 통해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적 소양을 실천해야 할 것이다.

교육 소외계층 청소년을 위한 과학 진로체험 활동이 학생의 과학선호도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for Educational Underprivileged Youth on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and Career Maturity)

  • 임성민;김용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49-362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교육 소외계층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사다리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이 사업에서 수행된 과학 진로체험 활동이 교육 소외계층 학생들의 과학선호도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교육 소외계층을 위한 과학교육 실천 활동의 의의와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7년도 사다리 프로젝트에 참여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진로체험 활동에 참여하기 전과 후의 과학선호도와 진로성숙도를 조사하고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소외계층 학생을 위한 과학 진로 체험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과학선호도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활동 이후 긍정적으로 변하였고, 이는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에게 더욱 잘 드러났다. 또한, 과학 진로체험 활동에 참여한 학생의 진로성숙도는 계획성, 희망 직업에 대한 지식, 진로 탐색 및 준비 행동 등에서 활동 이후 긍정적으로 변하였고, 이는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에게 더 잘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교육 소외계층 학생을 위한 국가 수준의 과학교육 사업에 대해 증거를 바탕으로 그 효과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교육 소외계층을 위한 과학교육의 목적 및 대상에 따라 과학 진로체험 활동의 내용과 성격이 달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MLR 트리 : 다중 레벨 지리정보 데이터의 윈도우 질의를 위한 공간 인덱싱 기법 (MLR-tree : Spatial Indexing Method for Window Query of Multi-Level Geographic Data)

  • 권준희;윤용익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0권5호
    • /
    • pp.521-531
    • /
    • 2003
  • 다중 레벨 지리정보 데이타는 화면 확대와 축소와 같은 윈도우 질의를 통해 다루어질 수 있다. 다중 레벨 지리정보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이러한 윈도우 질의를 지원하는 공간 인덱싱 기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전통적인 공간 인덱싱 기법은 다중 레벨 지리정보 데이타를 액세스하는데 비효율적이다. 이를 위해 다중 레벨 지리정보 데이타를 위한 몇 가지 공간 인덱싱 기법이 알려진다. 그러나. 이 공간 인덱싱 기법은 모든 유형의 다중 레벨 지리정보 데이타를 지원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레벨 지리정보 데이타의 윈도우 질의를 위한 공간 인덱싱 기법, MLR 트리를 제안한다. MLR 트리는 우수한 검색 성능을 보이면서도 데이타 중복성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를 실험을 통해 보인다. 이 외에도 MLR 트리는 모든 유형의 다중 레벨 지리정보 데이타를 지원한다.

한국의 로켓 개발(2)-과학1호 발사까지

  • 채연석
    • 국방과기술
    • /
    • 8호통권174호
    • /
    • pp.30-35
    • /
    • 1993
  • 과학 1호로 로켓의 추진기관 개발을 통하여 항공우주연구소는 고체 추진제 로켓 모타 설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그 활용, 그리고 경제적인 로켓 모타의 개발방법 등등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또한 이는 앞으로 우주개발을 위한 새로운 로켓 추진기관 개발에 좋은 경험이 되었습니다 더욱 뜻깊은 것은 이번 과학 1호 로켓의 발사는 명실공히 산.학.연의 종합적인 연구체계로 이루어졌다는 것입니다

  • PDF

유역-호소모형 연계를 이용한 담수호 수질모의 (Water quality modeling of estuary reservoir using Watershed-Reservoir linkage model)

  • 김석현;김시내;곽지혜;이현지;강문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69-469
    • /
    • 2022
  • 하구담수호는 하천의 종점에서 해양과 만나는 곳에 방조제를 건설해 담수를 유도하여 형성되는 인공호수이다. 유역 말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역에서 유출되는 모든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유역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모두 유입되고 인공적인 담수의 특성 때문에 수질이 악화되기 쉬운 조건을 지니고 있다. 담수호의 수질관리는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양이 많고 담수된 수자원량도 많으므로 부분적인 방법으로는 개선이 어려우며, 유역과 호소를 포함한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담수호의 수질관리대책 수립은 크게 상류 유역에 대한 대책과 호소에 대한 대책으로 구분된다. 대표적인 대책으로는 상류 유역의 하수처리장, 축사, 농경지 관리를 통한 배출부하량 감소와 호소 내 수질개선을 위한 습지, 저류지 건설 및 준설을 통한 내부부하 감소 등이 있다. 이처럼 담수호의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상류 유역에서 호소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모형과 호소모형의 연계를 통해 간월호 유역을 모의하였다. 유역모형은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유역 내 3개의 하수처리장과 1개의 분뇨처리장을 고려하였으며, 4개 지점에 대하여 보정 및 검정을 시행하였다. 호소모형은 EFDC-WASP 연계모형을 이용하였으며, HSPF에서 모의 된 유입량과 호내 설치된 4개의 양수장, 배수갑문 운영일지를 고려하여 모의하였다. 호소 내 수질 측정지점에 대하여 T-N, T-P에 대하여 보정 및 검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담수호 수질관리를 위한 분석시스템 구축으로 추후 대책에 따른 효과분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통합 개념을 중심으로 한 고등학교 1학년 과학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Contents Organization of Science Curriculum for the 10th Grade Students Focusing on the Integrated Concepts)

  • 이현지;이경희;최병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2호
    • /
    • pp.209-220
    • /
    • 2015
  • 과학은 자연 현상을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본질로 통합적인 성격을 띤다. 또한, 모든 학생을 위한 과학적 소양을 키우기 위한 과학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통합적 과학교육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자연 현상을 관통하는 기본 개념이나 원리를 통합 개념으로 정의하고, 이를 중심으로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통합 개념 중심 과학교육과정의 대상은 고등학교 1학년이며, 성취수준을 제시하여 학습 내용의 수준과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문 이과 통합형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 PDF

뇌파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 음태완;김응수
    • 정보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19
    • /
    • 2004
  • 사람의 뇌에 관한 연구는 고대 그리스 시대에서부터 제기 되어왔으며, 사람을 해부하여 인간의 뇌가 수많은 뉴런으로 이루어 졌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 뉴런들의 활동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았고, 인간의 모든 행동, 학습, 사고, 기억활동을 제어하는 뇌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