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기

검색결과 403건 처리시간 0.032초

세종특별자치시 전역과 구도심 및 신도심에 따른 모기 밀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mosquito population density according to the Sejong City areas and old city and new city)

  • 나수미;도지선;양영철;유성민;이훈복
    • 환경생물
    • /
    • 제39권3호
    • /
    • pp.362-373
    • /
    • 2021
  • 본 연구는 모기 매개체 감염병 예방을 위한 방역사업의 계획수립을 위하여 세종시의 모기 밀도 및 서식환경을 분석하여 방역 가이드라인 기초자료를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세종시 전반적인 모기분포 현황 조사를 위해 2019년 8월~10월까지 MOSHOLE과 유문등을 사용하여 일주일에 1회 1박2일 간의 모기 개체수를 조사하였으며, 구도심(조치원읍)과 신도심(보람동)의 밀도차 분석을 위해 2020년 4월~10월까지 DMS를 활용하여 매일의 모기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금남면에서 가장 많은 모기가 포집되었으며 서식하는 우점 모기 종은 큰검정들모기, 빨간집모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기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피복 유형은 산림지역과 초지지역으로 나타났다. 질병 매개 가능성이 있는 모기 종 분석 결과 연서면과 금남면에서 다수 발견되었으며, 흰줄숲모기, 얼룩날개모기류, 작은빨간집모기 순서로 확인되었다. 각각 CO2와 빛을 유인제로 사용하는 MOSHOLE과 유문등의 채집효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CO2의 유인률이 높아 모기 포집 효율성과 생태계 안정성 보존을 위해 CO2를 유인제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의 모기 개체수는 구도심이 신도심보다 약 2배 정도 개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는 구도심과 신도심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획일적인 방식으로는 눈에 띄는 방역 효과를 보기가 어려우며 효과적인 방역을 위해서는 방역의 차별성을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세종시의 통합적인 모기 방제 가이드라인의 기초작업으로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의 결과로 모기를 매개로 하는 질병 확산을 제어하고, 모기로부터의 피해를 줄이는 데 일조하기를 바란다.

딥러닝을 이용한 한국 주요 매개모기 종 분류 (Classification of Korean Vector Mosquito Species using Deep Neural Networks)

  • 박준영;김동인;노광래;권형욱;강우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80-682
    • /
    • 2018
  • 기후변화에 따라 매개 질병의 발병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모기와 같은 매개체에 의해 전염되는 매개 질병은 인구집단에 대한 중요한 위협 요인이다. 이러한 질병 관리를 위해 지역별 모기 서식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모기 모니터링은 개체 파악을 위한 분류와 동정을 사람이 직접 수행하기에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이 연구는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미래 매개곤충 서식 현황 파악 시스템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s)을 활용하여 한국 주요 매개모기 종 분류를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종 분류를 위한 모델은 잘 알려진 신경망 모델인 DenseNet(Densely Connected Networks)을 사용하였고 이를 직접 촬영한 모기 데이터와 약간의 변형을 가한 모기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습시켰다. 학습 데이터를 각각 5배, 20배, 100배로 증강하여 실제 데이터의 부족을 보완하였으며, 이를 통해 최대 99.48%의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제주지역 모기의 계절적 발생소장 및 Real Time RT-PCR을 이용한 Flavivirus 감염조사(2017) (Mosquito Distribution and Detection of Flavivirus Using Real Time RT-PCR in Jeju Island, 2017)

  • 이제욱;황규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77-183
    • /
    • 2018
  • 기후온난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제주지역에서 환경적으로 다른 지역 모기의 계절적 발생밀도를 조사하기 위해 제주시의 국제공항, 항만구역과 축사 그리고 서귀포 도심지의 11지점을 선정하여 3월부터 11월까지 매달 2회씩 Black light trap과 BG sentinel trap을 이용하여 모기를 채집하였다. 채집된 모기는 5속 7종. 6,042마리였으며, 이 중 빨간집모기(Culex pipiens)가 4,159마리(68.8%)로 우점종이었으며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는 1,348마리(24.4%)였다. Black light trap를 이용한 채집에서 중앙동주민센터는 트랩당 72.8마리를 채집하여 모기 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국제공항은 트랩당 1.4마리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BG sentinel trap을 이용한 채집에서는 항만에서 트랩당 71.7마리로 가장 많았고 도심지의 걸매생태공원에서 28.3마리로 가장 낮았다. 시기별로 모기의 밀도는 5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8월에 1,156마리(19.1%)로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채집된 암컷모기를 종별, 시기별, 지점별로 나누어 pool당 50마리 이하로 설정하여 총 364 pools에서 flavivirus 존재여부를 real time RT-PCR로 검사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았다.

토지피복도 분류체계와 연계한 모기 서식지와 적용가능 방제법 검토 (The suggestion for mosquito control methods on mosquito habitat by land cover map classification)

  • 김정은;이황구;김동건
    • 환경생물
    • /
    • 제38권1호
    • /
    • pp.189-196
    • /
    • 2020
  • 모기는 감염병을 매개하는 생물종으로서 인간생활에 불편을 야기하며, 교통 및 운송수단 등의 발달로 인해 새로운 질병 도입 및 질병 매개체의 확산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부 토지피복지도 분류체계와 연계하여 모기가 발생 가능한 서식지 유형을 파악하고, 각각의 서식지 유형 특성에 따라 출현 가능한 모기 종류를 함께 구분하였다. 또한 모기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서식지 유형별로 최적의 방제 방법을 제시하였다. 도심지역은 위생 해충의 발생원이 다양한 서식지가 분포하는 지역으로, 최소 환경 조건만 갖춰진다면 모기가 대량 발생하기 적합한 환경일 것으로 보인다. 발생원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유충과 성충 방제를 같이 수행하며, 시민들을 대상으로 방제 교육이나 홍보물을 배부하여 적극적인 방제의식을 함양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지역의 경우, 저수지나 늪지, 논 등의 정수역에서 모기 유충의 서식밀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천적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를 이용하면 개체수를 조절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산림지역은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의 주요 서식지로서 무분별한 산림벌채를 최소화하고 인근 거주민을 대상으로 물리적 방제를 실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기타지역은 수생태계를 중심으로 발생 가능한 모기 유충을 방제하기 위해 생물학적 방제와 Bti를 이용한 화학적 방제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서식지를 크게 4가지(도심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기타지역)로 분류하여 모기에게 적합한 서식지를 고찰하였으며, 모기 서식지별로 적합한 방제법을 제시하였다. 모기의 개체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하고, 하절기 시민들의 불편과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국내 주요 모기에 대한 가열연막의 방제효과 (Evaluations of Thermal Fog for Domestic Mosquito Vector Control)

  • 정수율;민영환;정선호;강기석;정효빈;이동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267-274
    • /
    • 2022
  • 국내 감염병 매개 모기인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 s.l.), 빨간집모기(Culex pipens), 작은빨간집모기(Cx. tritaeniorhynchus)를 대상으로 살충제 deltamethrin, etofenprox, bifenthrin를 석유, 등유, 그리고 물로 희석하여 휴대용 가열연막과 차량용 가열연막의 방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야외에서 일정한 거리에 암컷모기가 들어있는 노출장을 매단 스탠드를 세우고 실시하였다. 세 종류의 살충제를 각각 경유에 희석하여 살포한 휴대용 가열연막은 10 m 이내의 모기에 대해 평균 52.0%의 치사율을 보였고, 살충제를 물로 희석하여 사용한 휴대용 가열연막의 모기 치사율은 평균 64.0%였다. 살충제를 경유로 희석한 차량용 가열연막은 모기에 대해 살포 거리 50 m 이내에서 평균 34.8%의 치사율을 보였다. 가열연막용 살충제의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유와 등유의 모기 치사효과는 등유가 경유에 비해 1.9배 높게 나타났다.

모기업 협력업체 CLEAN 3D 지원에 대한 소고

  • 박해천;정문조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76-85
    • /
    • 2003
  • 최근 업종 전문화와 분업화에 의해 협력업체의 존재 없이는 모기업의 존속이 어려운 공동운명체의 관계에 있으므로 협력업체를 모기업의 생산라인 일환으로 생각하고 체계적인 안전활동을 실천하여 산재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자 모기업은 협력업체의 위험요인(Danger), 유해환경(Dirtiness), 힘든 작업(Difficulty)에 대한 근원적인 안전성 확보를 위해 총괄적인 안전관리 System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중략)

  • PDF

韓國産 Anopheles 모기 未記錄種 二種에 관하여 (Two Unreported Anopheline Mosquitoes in Korea)

  • Hong, Han-Ki;Ree, Han-Il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18-120
    • /
    • 1968
  • 韓國産 Anopheles 屬 모기는 4種이 現在까지 報告 되었으나 1961年 慶北 安東郡 禮安面에서 A. lindesayi japonicus 와 1964年 全北 沃溝郡에서 처음 A, yatsushiroensis를 發見함을로써 6種의 Anopheles 屬 모기가 記錄되었다. A. lindesayi japonicus는 安東, 榮州와 京畿道 楊平에 分布 되었으며 A, yatsushiroensis는 全北의 沃溝, 金提, 井邑, 충남의 牙山, 京畿道 楊平, 高陽, 경북의 榮州, 安東, 靑松等地에서 採集되는 廣範圍하게 分布되어 있는 一般的인 種類이다. 새로 報告되는 2種의 成蟲암모기의 外部形態와 韓國産 Anopheles의 檢索表를 記錄하였다.

  • PDF

머신러닝 기반 기후 데이터를 활용한 모기 개체 수 예측 (Prediction of Mosquitoes using Climate Data based on Machine Learning)

  • 황세영;차예빈;차형빈;고진광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31-1033
    • /
    • 2020
  •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 및 강수량 증가 등으로 인해 모기 개체 수가 증가함에 따라 말라리아, 일본뇌염, 뎅기열 등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질병에 감염병의 위험률도 높아지고 있어 머신러닝기반 기후 데이터를 활용하여 모기 개체 수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한반도 동남부 지역 정화조 내의 빨간집모기군(群)(Culex pipiens complex) 발생과 정화조 환기통의 방충망 설치에 의한 방제효과 (Occurrence of Culex pipiens (Diptera, Culicidae) and Effect of Vent Net Sets for Mosquito Control at Septic Tanks in South-ea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 이동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1-57
    • /
    • 2006
  • 2003년 1월부터 5월까지 부산의 3,527개 정화조를 조사한 결과, 25개 정화조에서 빨간집모기군(群)(Cx. pipiens complex) 유충이 발견되어 0.7%의 서식율을 보였으며, 2004년 2월-3월에 622개 정화조를 조사한 결과, 35개소에서 빨간집모기군(群)이 발견되어 서식율은 5.6%로 나타났다. 2005년 1월-4월까지 울산의 1,111재 정화조의 조사에서는 75개 정화조에서 빨간집모기군(群) 유충이 채집되어 서식율은 6.8%로, 부산보다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나 유의성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계절적으로는 부산과 울산 모두에서 1월부터 5월까지 전 조사기간 동안 모기 유충이 채집되었다. 정화조에서 발생되는 모기의 서식밀도는 부산에서 평균 22.9 마리/dip이었고, 울산에서는 평균 16.3 마리/dip으로 나타났으며, 정화조에 따라 편차가 커서 지역적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2003년 1월부터 5월까지 채집된 빨간집모기군(群)의 월별 평균 서식밀도는 1월과 2월에 각각 평균 25.4 마리/dip과 28.9 마리/dip였고, 4월에 평균43.7 마리/dip으로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으나 1월부터 5월까지 월별 모기 서식밀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005년 6월-9월까지 울산의 주거용 건물에 설치된 11,496개 정화조에서 빨간집모기군(群) 유충의 서식여부를 조사한 결과, $2000m^2$(600평) 이상 규모 연립주택의 서식율은 평균 1.6%, 300 가구 이상과 300 가구 미만의 아파트용 정화조의 모기 서식율은 각각 3.8%와 14.2%로 나타났다. 그리고 단독주택의 50인 미만용 정화조의 모기 서식율은 9.9%였다. 주거용 건물의 정화조에서 발생하는 발간집모기군(群)의 총평균 서식율은 10.9%로 나타났다. 주거용 건물 정화조에서 6월-9월까지 채집된 발간집모기군(群) 유충의 밀도는 총평균 79.0마리/dip으로 춘동계절에 비해 2.7배 높게 나타났다. 모기발생 정화조의 환풍구에 장착한 방충 fan set에 의한 모기 방제율은 93.1%로,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MBS의 위험과 가치평가 (Risks of Mortgage-Backed Securities and Their Pricing)

  • 유진
    • 재무관리연구
    • /
    • 제24권3호
    • /
    • pp.29-6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개별 모기지들의 파산 위험과 그 상관관계가 외생적으로 주어졌을 때 MBS 차원에서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투자자 효용을 높이고 MBS 가치를 제고시키는 방안, 그리고 다양한 모수들이 이 방안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시장에 위험회피 투자자가 참여하면 그의 효용함수의 구체적 형태와 관계없이 파산의 상관관계가 작은 모기지들로 MBS를 구성할 때 MBS 전체의 가치는 증대된다. 또 모기지풀 구성이 외생적으로 결정된 이후에도 MBS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데, 투자자 욕구가 다양할 때에는 모기지풀 현금 흐름을 각 지분(tranche)에 동일하게 분배하는 평이한 발행구조의 MBS(pass-through)보다 현금 흐름의 불확실성의 위험을 제거하고(선순위채) 집중시킨(후순위채) MBS(CMO)를 발행할 때 MBS의 효용과 가격이 상승한다. 반면 투자자 욕구가 동질적일 때에는 위험을 동일하게 분배하는 pass-through의 효용이 차등적으로 분배하는 CMO의 효용보다 언제나 더 높다. 한편 트랜치의 위험을 차별화하여 MBS 전체의 효용을 제고시키는 방안은 개별 모기지들의 파산 확률이 높을수록, 개별 모기지론 가치의 상관관계가 밀접할수록 또 파산시의 모기지론 가치 하락이 클수록 그 효율성이 높아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투자자들의 위험회피 욕구를 보다 효율적으로 충족시키는 모기지풀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인구통계학적으로 분산된 특히 지역적으로 분산된 개별 모기지들로 이루어진 모기지풀을 구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함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