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명칭학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37초

전국 대학의 학과 명칭 분석 (Analysis of University Department Name)

  • 반재훈;김동현;하종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5-148
    • /
    • 2018
  •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빅데이터 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에서 이를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빅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인 R은 통계 기반의 정보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언어와 환경이다. 대학은 최고의 학문기관으로서 시대의 발전과 요구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학과를 개설하고 유지해 왔다. 따라서 대학의 학과명을 분석하면 현 시대의 요구와 기술의 발전에 대하여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분석도구인 R을 이용하여 전국에 2 4년제 대학, 대학원의 학과를 분석한다. 학과 명칭을 수집하고 각 데이터를 분석하여 학과 명칭의 빈도를 조사하며 대학에 어떤 학과 명칭이 자주 사용되는지를 파악한다.

  • PDF

R을 이용한 전국 대학의 학과 명칭 분석 (Analysis of University Department Name using the R)

  • 반재훈;하종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3-106
    • /
    • 2017
  • 스마트 정보 기기를 통해 사회 전 분야에서 대규모의 데이터가 생산되는데 이를 저장하고 분석하여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는 빅데이터 처리기술은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인 R은 통계 기반의 정보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언어와 환경이다. 본 논문에서는 R을 이용하여 전국에 2 4년제 대학, 대학원의 학과를 분석한다. 학과 명칭을 수집하고 각 데이터를 분석하여 학과 명칭의 빈도를 조사하며 대학에 어떤 학과 명칭이 자주 사용되는지를 파악한다.

  • PDF

한국 대학의 음악과 명칭에 관한 연구 (대학의 실용음악과 명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ame of Music Universities in Korea (Focusing on the name of the University Department of applied Music))

  • 이정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119-6124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의 실용음악 개설 대학들의(대학, 전문대, 학점은행제 포함) 현황을 파악하고 각 대학들의 국문 명칭과 영문 명칭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들은 현재 확장되고 있는 각 대학 실용음악과의 특성과 개설 배경을 설명하고 있으며 때로는 국문 명칭과 영문 명칭의 오류나 잘못된 해석의 경우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개설되어있는 각 대학의 실용음악과의 명칭에 있어 공감대 있는 국문, 영문 명칭 제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새롭게 개설되거나 편입되는 대학, 대학원 또는 그 외에 학점은행제를 포함하는 모든 음악교육 기관의 실용음악과 학과 개설 시 필요한 명칭의 선택수단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문대학에서 운용 중인 '과' 명칭을 '학과'로 변경 제안: 학칙과 고등교육법 (Proposal for a Change of the Name of the '과Gwa (Academic Department)' Operated by the Colleges to the '학과Haggwa (Academic Department)': School Regulations and Higher Education Act)

  • 구본경;성현호;이민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81-187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에서 운용하는 '과' 명칭을 '학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것이다. 법체계상으로는 하위순위이지만, 「대학의 설립운영규정」과 「전문대학 3년제 학과 설치 기준에 관한 고시」에서는 학교 종류에 관계없이 학과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반면, 「고등교육법」과 「고등교육법 시행령」에서는 전문대학에 '과'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학과명은 전공 신설 및 교육과정 운영을 추진함에 있어 학칙 개정을 통해 '과' 명칭에서 '학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학사 이상 학위과정이학과 명칭으로 운영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R을 이용한 대학의 학과 명칭 분석 (Analysis of University Department Name using the R)

  • 반재훈;김동현;하종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829-834
    • /
    • 2018
  •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에서 이를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빅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인 R은 통계 기반의 정보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언어와 환경이다. 대학은 최고의 학문기관으로서 시대의 발전과 요구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학과를 개설하고 유지해 왔다. 따라서 대학의 학과명을 분석하면 현 시대의 요구와 기술의 발전에 대하여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분석도구인 R을 이용하여 전국에 2 4년제 대학, 대학원의 학과를 분석한다. 학과 명칭을 수집하고 각 데이터를 분석하여 학과 명칭의 빈도를 조사하며 대학에 어떤 학과 명칭이 자주 사용되는지를 파악한다.

중부권역 소재 대학 뷰티학과의 소속 계열과 학과 명칭 동향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the affiliated department and the name trend of the department of beauty department of a university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 오정선;이숙자;박장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27-332
    • /
    • 2022
  • 인구절벽 시대에 뷰티학과와 대학의 생존을 위해 우수한 미용 인적 자원 개발을 위한 공격적 입시전략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대외적인 학과홍보 수단이자 학과 특성을 반영하는 학과 명칭과 소속계열에 대한 심층적 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중부권 대학 뷰티학과를 대상으로 2020년 학과 소속 계열과 학과 명칭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개 권역별 소속 계열은 미용예술과 예술계열(28.57%), 보건 계열(50.00%)이 가장 많았으며 학과 명칭은 뷰티케어가 서울 인천권(20.00%)과 경기강원권(20.59%)에서 가장 많았고 대전권은 뷰티디자인(37.5%), 충청권은 뷰티케어, 뷰티화장품, 의료뷰티케어(11.11%)가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뷰티학과의 전반적 특성화 동향 분석이 가능해지며 향후 학과 간 통폐합이나 학과 분리 시 학과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는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각 학과별 교과과정이나 학과명의 연도별 변천과정에 대한 후속연구의 발판을 마련하리라 사료한다.

건축공사용 중국산 화강석의 명칭혼란 개선방안 (Improvement on the Non-standardized Name Use of Chinese Granite for Korean Building Constructions)

  • 김재엽;이웅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1-87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건축공사에서 사용되는 중국산 화강석의 명칭 혼란 문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석재공사 전문가의 인터뷰 및 문헌조사, 실제 시공된 현장의 공사계약서류 23건을 분석하여 명칭혼란의 유형을 정리하였다. 실태유형분석 결과 4가지 유형의 문제점으로 분류되었다. 추가적으로 34인의 현장 석공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명칭혼란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향후 문제점의 개선을 위해서는 정확하고 상세한 명칭의 계약서류 작성 및 표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다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통한 수입산 석재의 명칭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고등학교 미용과 교육 실태 사례 조사 (Case Analyses of Cosmetology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 김미정;윤인경;장명희;권리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7-139
    • /
    • 2006
  • 본 연구는 고둥학교의 미용과 개설 실태와 학과 명칭, 미용과를 개설하고 있는 학교 유형별로 미용과 교육의 실태를 사례 연구를 통하여 분석한 것으로 고둥학교의 미용과 교육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98년 상업계 고등학교의 특별과정으로 미용관련 과정을 운영한 이후 과학적인 기초 지식을 가진 고급 미용 기술 인력을 배출하려는 사회적인 요구와 맞물려 미용과 특성화고등학교가 운영되는 둥 미용관련 학과 개설이 증가하고 있었으며 16개 고둥학교의 미용과 명칭은 미용과를 비롯하여 다양하였다. 둘째, 4개 학교의 교육 운영 실태를 살펴 본 결과 동일한 '미용과'라 하더라도 학과 명칭, 학교의 설립 초기 유형, 학교 소재 지역, 신입생 모집의 자율성 정도, 학교 교사의 특성, 학과 명칭에 따른 실습실 명칭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4개 학교의 미용과 소속 교사들의 전공 자격은 가정이 8명으로 많았고, 주당 수업 시수는 17-18시간으로 나타났으나 실습 준비 및 뒤정리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었다. 넷째, 보통교과의 선택과목 영역과 재량활동의 내용에서는 학교의 유형 및 교사의 수급상황에 맞추어 교과를 선택한 경우가 있었으나, 학교에 따라서는 재량활동에서 미용관련 전문교과를 선택하여 미용과의 전문성을 높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미용 산업의 유능한 인재 배출을 위한 기초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체계화된 교사의 연수, 특성화된 교과과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PDF

조경업체에서의 철쭉재배품종의 혼선 및 이용실태 분석 (Analysis of Confusion of Azalea Cultivars and Its Actual State of Use in Landscaping Businesses)

  • 최재진;박석곤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86-90
    • /
    • 2014
  • 국내 조경용 철쭉재배품종(이하, 철쭉류)에 대한 조경업체 종사자(설계자 및 시공자, 생산자)간 철쭉류별 혼선 및 이용실태를 분석하였다. 조달청 등의 고시기관에서 고시한 철쭉류 명칭대로 생산농가에 주문 시 어떤 철쭉류가 배달되는지 조사해 철쭉류의 혼선 실태를 분석했다. 또한, 최근 완공된 아파트 3곳의 식재설계 도면에서 철쭉류의 식재설계 상황, 도면상의 철쭉류와 실제 식재된 철쭉류와의 일치 여부를 조사하였다. 고시된 철쭉류 명칭대로 주문한 결과, 영산홍 명칭으로는 베니, 쓰리, 대왕의 3가지 철쭉류가 배달되었고, 자산홍의 명칭으로는 자산홍, 한철의 2가지 철쭉류가 주문되었다. 영산홍은 베니, 쓰리, 대왕 등을 통칭하는 명칭으로 생산자와 주문자간 혼선을 빚었다. 자산홍의 경우에는 한철품종과 형질이 유사하여 생산자가 재배품종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하였거나, 주문자가 쉽게 구분하지 못해 두 재배품종을 구분하지 않고 보냈을 가능성도 있다. 식재설계 도면상 철쭉류 명칭은 고시기관에서 고시한 철쭉류 명칭을 사용하거나, 철쭉, 영산홍 등의 포괄적이고 불분명한 명칭으로 기재되었다. 식재설계 도면에 기재된 철쭉류는 실제 시공현장에서는 전혀 다른 철쭉류가 식재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원인은 설계자가 식재설계 도면에 정확한 재배품종명을 기재하지 않고, 시공자는 각 철쭉류의 분류 특성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비슷한 꽃색이나 구입이 용이한 철쭉류를 시공 현장조건에 맞게 심기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