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Analyses of Cosmetology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고등학교 미용과 교육 실태 사례 조사

  • Kim Mi-Jeong (Dept. of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Yoon In-Kyung (Dept. of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Jang Myung-He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 Kweon Li-Ra (Dept. of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미정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 윤인경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 장명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 권리라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name of cosmetology department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urriculum of 4 selected cases. Interviews with 4 school the teachers have been done September through November, 2004. The number of cosmetology-teaching high schools,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eachers and laboratories, and the curricula of the school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16 vocational high schools had cosmetology department, called various names, mainly Dept. of Cosmetology or Dept. of Skin Cosmetology. All most of the students to major the Cosmetology were female and 16-74% continued education in colleges. Most of teachers had Cosmetology tearcher's certificate but 3 out of 22 teachers did not have. They thought 1-4 subjects for 17-18 hours for a week. Each school had 3-7 practical rooms. Students took 92-120 hours from major courses.

본 연구는 고둥학교의 미용과 개설 실태와 학과 명칭, 미용과를 개설하고 있는 학교 유형별로 미용과 교육의 실태를 사례 연구를 통하여 분석한 것으로 고둥학교의 미용과 교육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98년 상업계 고등학교의 특별과정으로 미용관련 과정을 운영한 이후 과학적인 기초 지식을 가진 고급 미용 기술 인력을 배출하려는 사회적인 요구와 맞물려 미용과 특성화고등학교가 운영되는 둥 미용관련 학과 개설이 증가하고 있었으며 16개 고둥학교의 미용과 명칭은 미용과를 비롯하여 다양하였다. 둘째, 4개 학교의 교육 운영 실태를 살펴 본 결과 동일한 '미용과'라 하더라도 학과 명칭, 학교의 설립 초기 유형, 학교 소재 지역, 신입생 모집의 자율성 정도, 학교 교사의 특성, 학과 명칭에 따른 실습실 명칭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4개 학교의 미용과 소속 교사들의 전공 자격은 가정이 8명으로 많았고, 주당 수업 시수는 17-18시간으로 나타났으나 실습 준비 및 뒤정리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었다. 넷째, 보통교과의 선택과목 영역과 재량활동의 내용에서는 학교의 유형 및 교사의 수급상황에 맞추어 교과를 선택한 경우가 있었으나, 학교에 따라서는 재량활동에서 미용관련 전문교과를 선택하여 미용과의 전문성을 높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미용 산업의 유능한 인재 배출을 위한 기초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체계화된 교사의 연수, 특성화된 교과과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