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명명일치도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7초

페트로프-갤러킨 자연요소법 : I. 개념 (The Petrov-Galerkin Natural Element Method : I. Concepts)

  • 조진래;이홍우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03-11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수치적분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무요소 기법을 제안한파 저자들에 의해 페트로프-갤러킨 자연요소법(PG-NEM)이라 명명된 이 새로운 기법은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델라우니 삼각화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는 BG-NEM이라 불리는 기존의 자연요소법과 개념적으로 동일하다. 하지만, 동일한 시험 형상함수와 시도 형상함수를 선택하는 BG-NEM과는 달리, PG-NEM에서는 지지영역이 적분을 위한 배경격자에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시험 형상함수를 독립적으로 선택하는 페트로프-갤러킨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 따라서, 제안된 기법은 BG-NEM과 비교하여 수치적분 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자생 눈꽃동충하초 균의 명명 고찰 (Nomenclatural Studies on Paecilomyces tenuipes in Korea)

  • 남성희;이선주;조세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8-31
    • /
    • 2002
  • 눈꽃동충하초는 국내에서 몇 가지 학명으로 불려지고 있으나 그 중 오명이 포함되어 있음으로 인해 학자들간에 논란이 되고 있으며, 균학도들에 의해서 잘못 인용되는 사례가 빈번함에 따라 본 시험에서는 균을 재 동정코자 하였다. 수집 균은 담황색 분생자병속을 1~5여개 형성하며 그 끝마디에는 다량의 분생포자가 발생되었다. MA배지 상에서는 $25^{\circ}C$, 14일간 직경 2.1 cm로 더딘 생장을 보이며, colony의 색상은 앞면은 옅은 담황색, 뒷면은 연노랑 색이며, 분생포자는 타원형 혹은 난형으로 2.9~6.6$\times$l.5~2.5$\mu\textrm{m}$이며 분생포자를 지탱하고 있는 phialide는 부풀고 팽창한 형태로 3~4개가 형성되며 4.0~6.6$\times$2.0~2.2 $\mu\textrm{m}$이다. 본 균주는 Samson분류에 의거하여 주요 특성이 일치하여 Paecilomyces tenuipes(Peck) Samson 균과 동일 종으로 인정되었다.

Ubiquinone생성 광합성 세균 Rhodobacter sp. N-2의 분리 (Isolation of Ubiquinone Formation Photosynthetic Bacteria Rhodobacter sp. N-2)

  • 이은숙;이준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58-562
    • /
    • 2000
  • Ubiquinone-10생성 광합성 세균을 선정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대구 근교의 강, 논, 호수 등의 수계혐기층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거나 유기 폐수 중에서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총 50점의 시료에서 130주의 광합성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이 중에서 ubiquinone-10의 생성이 가장 많은 균주번호 N-2를 최종 선정하였다. 선정된 균주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규명한 결과 Rhodobacter sp.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이 균주는 이와 동일한 균주이거나 유사한 근연의 균으로 판단하여 본 분리균주 N-2를 Rhodobacter sp. N-2로 명명하였다. 본 균주는 anaerobic light로 배양할 때가 aerobic dark일 때보다 훨신 생육이 양호하였다. 분리균 N-2의 growth factor는 biotin, thiamin, niacin중 하나이며, 3가지를 동시에 첨가하였을 때 완전한 생육을 나타낸다. 유황화합물 H$_2$S를 첨가하였을 때 매우 적은 농도에서 본 균주의 성장이 저해되었다.

  • PDF

Cellulose 생합성 세균의 분리 및 특성 (Characterization and Isolation of Bacteria Producing Cellulose)

  • 이승진;유주순;정수열;최용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2호
    • /
    • pp.101-106
    • /
    • 1997
  • 발효시켜서 만드는 감식초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배양하고, pellicle을 형성하는 single colony를 cellulose 생합성균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적 특성, 알콜의 재산화 등의 생리, 생화학적 특성 등에 의하여 Acetobacter속으로 분류되었으며, Acetobacter CBI-2라고 명명하였다. Acetobacter CBI-2는 정치배양 시에 기존의 생합성 균주로 알려진 Acetobacter xylinum과 대등한 cellulose 생합성 능력을 나타내었다. Acetobacter CBI-2이 생성한 고분자물질의 분해산물을 TLC법으로 확인한 결과 기존 cellulose의 것과 일치하였다. Acetobacter CBI-2에서 genomic DNA를 분리 정제하여 cel A 영역을 probe로하여 hybridization 시킨 결과, 상동성을 나타내어 분리 균주에는 cellulose 생합성 관련 유전자가 존재함을 나타내었다.

  • PDF

홀스타인 젖소의 분변에서 우세균종으로 분리되는 새로운 Clostridium bovis 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lostridium bovis sp. nov., the predominant species isolated from the feces of Holstein cattle)

  • 이완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9-105
    • /
    • 1994
  • 홀스타인 젖소의 분변에서 우세균종으로 분리되는 동정불능 Clostridium균주에 대해 당분해 성상검사, 생화학적 성상검사, G+C mol% 측정, 유사 균종과의 DNA-DNA hybridiazation 등을 조사한 결과, 기존의 clostridium균종과는 성상이 일치하지 않는 새로운 신균종(New Species)임이 처음으로 밝혀져, 이 균주를 Clostridium bovis로 분류, 명명하였다. 이 C. bovis는 그램 양성, 운동성의 편성 혐기성 아포형성 간균이었으며, 당분해 성상은 arabinose, xylose, glucose, mannose, fructose, galactose, sucrose, maltose, cellobiose, lactose, trehalose, melibiose, raffinose, inulin, salicin을 분해하였다. Gas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PYFG broth로부티의 최종대사산물(End products)를 측정한 결과, 다량의 butyric, lactic acid와 소량의 acetic, succinic acid를 생산하였다. C. bovis의 Type strain은 Catt $66^T$이며, G+C mol%는 26 mol%이 었다.

  • PDF

고추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를 방제하는 길항균주 Bacillus megaterium KL39의 선발과 길항물질 (Purification and Characteriztion of an Antifungal Antibiotic from Bacillus megaterium KL 39, a Biocontrol Agent of Red-Papper Phytophtora Blight Disease.)

  • 정희경;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35-241
    • /
    • 2003
  • 항진균성 항생물질에 의한 고추역병의 생물방제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지역 경작지에서 고추역병균 P. capsici 생육을 저해는 다기능의 강력한 길항세균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배양학적, 생리학적, 생화학적 실험과 AEI(CHB50) 및 Biolog(Microlog 4.01C)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B. megaterium와 97%이상 일치하여 최종적으로 선발된 길항세균을 B. megaterium KL 39로 명명하였다. B.megaterium KL 39의 P. capsic에 대한 길항은 열에 안정하고 n-BuOH에 추출이 되는 저분자성 항생물질과 용매에 추출되지 않은 열에 약한 고분자성의 식물병원균 세포벽 가수분해효소인 cellulase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길항균주 B.megaterium KL 39가 생산하는 항진균성 항생물질은 P.capsici의 포자발아와 균사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0.4% fructose, 0.3% yeast extract, 5 mM KCI (pH 8.0)을 포함한 배지에서 3$0^{\circ}C$, 40시간 배양하였을 때 그 생산성이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Diaion HP-20 column, silica gel column, Sephadex LH-20 column과 HPLC에 의해 항생물질을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항생물질은 TLC plate상에서 Ethanol:Ammonia:Wate.(8:1:1)로 전개한 결과 RF value가 0.32를 나타내었으며, 단일물질로 정제된 항생물질을 KL39로 명명하였다. 선발된 길항미생물 E. megaterium KL 39와 정제된 항생물질 KL39를 가지고 고추를 기주식물로 하여 in vivo pot시험 결과 고추역병균 P.capsic게 의해 유발되는 고추역병에 대한 길항력으로 두 가지 모두 고추역병 방제력이 있음을 식물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방사선치료 시 환자자세 검증을 위한 분석용 도구 개발 (Patients Setup Verification Tool for RT (PSVTS) : DRR, Simulation, Portal and Digital images)

  • 이석;성진실;권수일;추성실;이창걸;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100-106
    • /
    • 2003
  • 목적 : 네트워크를 이용해 영상수집을 하여 방사선치료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기계중심점과 종양중심점의 일치여부 및 환자자세의 재현성을 확인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환자자세검증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으로부터 재구성한 디지털화재구성사진(digitally reconstructed radiography, DRR) 영상과 투과 영상인 모의치료영상, 상용전자포탈 영상장치에서 수집한 포탈영상 밑 CCD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디지털영상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하였고, 이를 조작할 수 있는 분석용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제작툴인 IDL(IDL 5.4, Research systems, USA)을 이용해 작성하였다. 이를 환자자세 검증도구(patients setup verification tool for RT, PSVTS)라 명명하였다. 기계중심점과 종양중심점의 일치여부 확인은 전산화단층촬영영상으로부터 재구성한 DRR 영상과 모의치료영상을 이용하여 위치변위를 분석함으로써 치료조준오차를 구하였다. 환자자세의 재현성 확인은 첫 치료 시에 얻은 포탈 영상과 매 치료 시마다 얻는 포탈영상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과 디지털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방사선치료 시 요구되는 기계 중심점과 종양중심점의 일치여부 및 환자자세의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편의방식의 소프트웨어와 환자자세검증도구를 개발하였다. 종양중심점과 기계중심점의 일치여부 확인 결과 치료조준오차는 두경부에서 전후, 좌우 각각 0.8$\pm$0.2 mm, 1.0$\pm$0.3 mm이었고, 골반부에서 1.1$\pm$0.5 mm, 1.0$\pm$0.6mm이었다. 환자자세 재현성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환자 자세 위치 변화를 시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실용성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환자자세의 재현성 및 종양중심점과 기계중심점의 일치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환자자세검증도구를 개발하였고, DRR 영상의 질 증진, 사용자편의방식의 소프트웨어를 보완한다면 임상응용에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연하천에서 비보존성 오염물질의 이동 및 변환 모의: 저장-변환 모형 (Simulation of Transport and Transformation of Nonconservative Pollutants in Natural Streams: Storage-Transformation Model)

  • 서일원;유대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867-874
    • /
    • 1994
  • 유량이 매우 작은 갈수기(渴水期)에 자연하천으로 방류된 비보존성 오염물질의 이동 및 화학적, 생화학적 변환과정의 복잡성을 구명하기 위해서 이송, 확산, 변환 그리고 하천수로에 존재하는 저장대(貯藏帶)에서 오염물질의 저장 및 교환과정을 규정하는 한 쌍의 방정식으로 이루어진 수학적 모형을 개발하고 이의 해를 수치해석적인 방법에 의해 구하였다. "저장-변환 모형"이라 명명된 본 수화적 모형은 갈수기(渴水期) 하천에서의 비보존성 오염물질의 혼합 및 변환 메카니즘의 비정규분포적인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모형의 모의결과, 농도-시간곡선의 전체적인 형태, 첨두농도, 그리고 첨두농도에 도달하는 시간 등에 있어서 저장-변환 모형이 종래의 1차원 확산모형보다 실측자료에 더욱 정확하게 일치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저장-변환 모형은 웅덩이-급여울 연속구조로 이루어진 하천에서의 오염물질의 이동 및 변환거동을 예측하는 모형으로서 1차원 확산모형에 비해 월등히 개선된 모형으로 밝혀졌다.

  • PDF

Colletotrichum acutatum에 의한 아까시나무 탄저병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in Robinia pseudoacacia)

  • 천원수;전용호
    • 식물병연구
    • /
    • 제22권2호
    • /
    • pp.127-131
    • /
    • 2016
  • 2014년 안동, 문경, 청송의 야산에 있는 아까시나무에서 잎에 검은 반점이 형성되었다. 이 반점은 점차 회갈색 혹은 회색으로 변하며, 병반의 가장자리에는 검은 테두리를 형성한다. 또한 소형 병반에서는 검은 반점뿐만 아니라 노란 halo를 형성하기도 하기도 한다. PDA 배지상에서 균총은 흰색을 띠며 배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렌지색의 분생포자층을 형성하였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방추형이었으며, 크기는 $8.3-17.2{\times}2.5-4.1{\mu}m$였다. 부착기는 암갈색의 곤봉형으로 크기는 $8.1-12.3{\times}4.1-6.4{\mu}m$였다.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C. acutatum과 일치하였다. 아까시나무 잎에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이 병을 C. acutatum에 의한 아까시나무 탄저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명월초에서 분리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의 감염 첫 보고 (First Report of Cucumber mosaic virus Isolated from Sambungai (Gynura procumbens))

  • 권준;홍진성
    • 식물병연구
    • /
    • 제23권4호
    • /
    • pp.379-382
    • /
    • 2017
  • 2016년 3월, 모자이크와 황화 병징을 보이는 명월초 잎에서 CMV를 분리하여 CMV-Gyp로 명명하였다. 기주식물의 생물적 반응과 RT-PCR, PCR-RFLP, 이동단백질 및 외피단백질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CMV를 동정하였다. 가지과(담배, 고추, 꽈리)와 비름과(흰명아주, 붉은명아주)에서는 전형적인 CMV의 병징이 나타났으나 박과(쥬키니호박, 오이)에서는 병징이 발현되지 않는 특성을 보였다. 3a 및 CP 유전자의 계통학적 분석 결과, CMV-Gyp가 CMV Subgroup II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CMV-Gyp의 이동단백질과 외피단백질유전자의 서열은 아미노산 수준에서 CMV-Hnt와 99.3% 및 100% 일치하였다. 이 논문은 명월초에서 CMV 감염에 대한 첫 보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