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면적 함수

Search Result 42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mprovement Effects of Soft Clay Soils with Varying Installation Area Ratio of Quicklime Piles (생석회말뚝 타설면적비의 변화에 따른 연약점토지반의 개량효과)

  • 임종석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5
    • /
    • pp.37-42
    • /
    • 2001
  • 생석회말뚝공법은 연약점토에 대한 유용한 지반개량공법으로서 그 개량효과는 매우 빨리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생석회말뚝 타설 면적비에 따라 연약점토지반의 함수비나 전단강도 등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철제상자에 연약점토로 모형지반을 조성하고 소요 면적비로 생석회말뚝을 타설한 후 적당한 시간간격을 두고 함수비와 전단강도를 측정하는 실내 모형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면적비가 증가함에 따라 함수비의 감소량과 전단강도의 증가량은 커지지만 면적비가 약 10%를 초과하면 별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같은 면적비에서 생석회말뚝의 지름이 작고 간격이 좁으면 함수비의 감소량과 전단강도의 증가량은 더 크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또한 같은 양을 사용했다면 생석회말뚝공법보다 생석회혼합공법을 적용한 흙의 전단강도 증가량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Estimation of Areal Reduction Factor using a two Parameter Mixed Gamma Distribution (2변수 혼합감마분포를 이용한 면적감소계수의 산정)

  • Yoo, Chulsang;Kim, K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584-58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혼합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면적감소계수의 추정법을 제안한다. 기존 면적감소계수의 추정에는 동시간 강우자료가 필요하나 그런 자료를 충분히 추하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보다 가용한 일 강우자료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강우의 간헐성을 고려하기 위해 연속분포가 아닌 혼합분포를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감마분포를 이용하여 금강유역의 면적감소계수를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 보다 쉽게 아울러 기존의 방법에 의한 결과와 잘 대비되는 결과를 얼을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Pattern Synthesis of Random Array Antenna (임의 배열 안테나의 패턴합성에 관한 연구)

  • 고영길;신철재;박한규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 no.1
    • /
    • pp.59-66
    • /
    • 1983
  • 본 논문은 랜념배열 안테나에서 위치함수의 확률분포함수가 정규 Gaussian 분포가 되도록 사다 리 계층법과 등면적 분포법이란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를 선형과 판형 배열 안테나로 설치하여 그의 방사특성을 컴퓨터에 의해 계산하고 합성한 것이다 측정된 결과를 Monte-Carlo 법에 의한 랜념배 열 안테나와 균일 간격으로 배열된 안테나에 의한 측정결과와 비교한 결과 부로부레벨은 등면적 분포법 에 의한 배열안테나에서 가장 낮았으며 소자수가 많을수록 낮아졌다. 또한 빔폭은 확률밀도함수와 operture 길이에 의존함을 알 수 있다.

  • PDF

Behavioral Analysis of Re-scaled Width Function by Interaction between Overland and Stream network (지면과 하천망의 상호작용에 따른 재조정된 폭 함수의 거동해석)

  • Kim, Joo-Cheol;Kim, Jeong-Kon;Lee,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6-296
    • /
    • 2011
  • 유역의 폭 함수는 출구를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link의 개수로 정의된다. 하천망을 구성하는 기본 성분 중의 하나인 link는 동일한 유역의 경우 유사한 평균길이와 직접배수면적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폭 함수가 흐름방향 축을 따라 정의되는 지점별 배수면적의 기여도와 동일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유역의 형태학적 특성에 따라 조직되는 초기유량분포함수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DEM을 기반으로 원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pixel의 수를 계량할 경우 비교적 쉽게 유역의 폭 함수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 입자의 동적특성에 따라 폭 함수의 흐름방향 축을 시간 축으로 재조정할 경우 대상 유역에 대한 수문학적 응답함수로의 변환이 가능해 진다. 본 연구에서는 보청천 시험유역의 탄부수위표 지점을 출구로 하여 DEM으로부터 폭 함수를 작성하고 지면과 하천유속의 차에 따른 운동학적 확산효과만을 고려하여 재조정된 폭 함수를 다음 그림과 같이 유도하여 보았다. Figs 1, 2에서 주목되는 사항은 왜곡도의 반전으로 부왜도의 형태를 갖던 폭 함수가 정왜도의 형태를 갖는 수문학적 응답함수(순간단위도)로 변환되어 가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Mod-Clark 방법에 따른 준분포형 순간단위도의 유도과정과 유사한 것으로 이에 따라 선형저수지의 저류효과는 지면과 하천유속의 차에 따른 운동학적 확산효과와 동일한 거동을 보일 수 있음이 추론된다.

  • PDF

Development of Loss Function for Estimation of Flood Damage Cost in Main Public Facilities - Road·Water and Sewerage Facilities - (주요 공공시설물의 홍수피해액 추정을 위한 손실함수 개발 - 도로 및 상·하수도시설물 -)

  • Hwang, Shin Bum;Kim, Sa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9-49
    • /
    • 2021
  • 홍수 발생 시 제내지에 존재하는 도로 및 상·하수도시설물은 저지대를 중심으로 생성되는 침수지역이 아닌 대부분 집중호우, 태풍으로 인해 발생한 유출량이 지표면 유출로 이어져 지면 경사를 따라 유하하면서 흐름을 방해하거나 노후된 시설물 등에서 피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피해발생 특성을 고려하여 홍수피해액을 추정하기에는 침수면적과 시설물 현황 등을 활용하는 기존의 손실 함수 개발 방법으로는 부족한 부분이 존재하며, 유수 흐름의 주요 인자인 침수심, 유속 등과 같은 수리특성을 고려하여 시설물에 대한 홍수피해액을 추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특성을 고려한 시설물의 홍수피해액을 추정하기 위한 손실함수를 개발하고자 국가재난정보관리시스템(NDMS) DB에서 해당 시설물의 상세주소를 이용하여 피해 발생위치와 피해액을 파악하였으며,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인 FLO-2D를 활용하여 시설물의 피해위치에서 발생된 수리특성 인자인 침수심과 유속을 분석하였다. 시설물의 단위면적 당 피해액을 종속변수로, 분석된 평균 침수심과 평균 유속을 독립변수로 선정한 후 변수 자료들의 신뢰성과 함수의 설명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상자료들을 제거한 후 손실함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손실함수는 수리특성 인자인 침수심과 유속에 의하여 홍수피해액을 직접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으로 향후 홍수재해에 대한 사전 재산피해 추정을 통하여 합리적인 선제적 예방조치 등의 홍수재해 예방 활동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alysis of runoff aggregation structure and energy expenditure pattern for Choyang creek basin on the basis of power law distribution (멱함수 법칙분포를 기반으로 한 조양하 유역의 유출응집구조와 에너지소비 양상에 대한 해석)

  • Kim, Joo-Cheol;Cui, Feng Xue;Jung, Kwan Su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11
    • /
    • pp.725-734
    • /
    • 2017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unoff aggregation structure and energy expenditure pattern of Choyang creek basin within the framework of power law distribution. To this end geomorphologic factors of every point in the basin of interest, which define tractive force and stream power as well as drainage area, are extracted based on GIS, and their complementary cumulative distributions are graphically analyzed through fitting them to power law distribu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ree distinct behavioral regimes are observed from the complementary cumulative distributions of three geomorphogic factors. Based on the parameter estimation of power law distribution by maximum likelihood drainage area and stream power can be judged as scale invariance factor without finite scale while tractive force as scale dependence factor with finite scale. Furthermore, it is judged that tractive force would not follow power law distribution because it shows limited complex system behaviors only within the small extent of scale. The exponent of power law distribution for drainage area obtained in this study by maximum likelihood is larger than the previous researches due to the difference of parameter estimation methodologies. And the exponent for stream power is smaller than the previous researches due to the scaling property of channel slope for the basin of interest.

Study on Timber Yield Regulation Method using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목재수확조절법 연구)

  • Park, Jung-Mook;Lee, Jung-Soo;Lee, Ho-Sang;Park, Jin-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9 no.4
    • /
    • pp.504-511
    • /
    • 2020
  • This study estimated planned felling volumes to set targets for management planning of nationwide country-owned forests. Estimates were made using timber harvest prediction methods that us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including area weighting (AW), area ratio weighting (ARW), and sample area change ratio weighting (SCRW). Country-owned forest areas in 2010 and 2015 were used to estimate planned felling volumes, as shown in basic forest statistics, and calculations were made assuming that the felling areas were the changes in the forest area over the 5-year period. For the age classes of V-VI, the average felling ages for AW, ARW, and SCRW were 5.41, 5.56, and 5.37, respectively, and the felling areas were 594,462, 586,704, and 580,852 ha, respectively, with ARW reaching closest to the actual changes. The actual changes in the areas and chi-squared test results were most stable with the SCRW method. This study showed that SCRW was more adequate than AW and ARW as a method to predict timber harvests for forest management planning.

A Hardware Design Space Exploration toward Low-Area and High-Performance Architecture for the 128-bit Block Cipher Algorithm SEED (128-비트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 SEED의 저면적 고성능 하드웨어 구조를 위한 하드웨어 설계 공간 탐색)

  • Yi, Kang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3 no.4
    • /
    • pp.231-239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the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area and performance in the hardware design space exploration for the Korean national standard 128-bit block cipher algorithm SEED.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following four hardware design types of SEED algorithm : (1) Design 1 that is 16 round fully pipelining approach, (2) Design 2 that is a one round looping approach, (3) Design 3 that is a G function sharing and looping approach, and (4) Design 4 that is one round with internal 3 stage pipelining approach. The Design 1, Design 2, and Design 3 are the existing design approaches while the Design 4 is the newly proposed design in this paper. Our new design employs the pipeline between three G-functions and adders consisting of a F function, which results in the less area requirement than Design 2 and achieves the higher performance than Design 2 and Design 3 due to pipelining and module sharing techniques. We design and implement all the comparing four approaches with real hardware targeting FPGA for the purpose of exact performance and area analysi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Design 4 has the highest performance except Design 1 which pursues very aggressive parallelism at the expanse of area. Our proposed design (Design 4) shows the best throughput/area ratio among all the alternatives by 2.8 times. Therefore, our new design for SEED is the most efficient design comparing with the existing designs.

Item Arrangement Optimization Algorithm Considering Product Characteristics (상품 특성을 고려한 상품 배치 최적화 알고리즘)

  • Cho-Won Lim;Jong-Min Lee;Tae-Ye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18-19
    • /
    • 2023
  • 최근 상품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박스 크기 선택과 박스 공간 내 비효율적인 상품 배치로 인하여 박스의 파손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는 적재하고자 하는 상품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상품을 대략적으로 배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면적과 무게와 같은 상품의 특성을 고려한 상품 배치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공간 배치의 비효율성 문제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제안한 상품 배치 최적화 알고리즘은 검색 트리 (search tree)와 상품 특성 기반 평가 함수(evaluation function)로 구성되어 있다. 상품 특성 기반 평가 함수는 면적, 무게 및 바닥에 닿는 면적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