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적 방제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8초

농기계(農機械) 투입모형(投入模型) 설정(設定) 및 기계이용(機械利用) 비용(費用) 분석연구(分析硏究) - PC용(用) 프로그램 개발(開發) - (Optimum Size Selection and Machinery Costs Analysis for Farm Machinery Systems - Programming for Personal Computer -)

  • 이운용;김성래;정두호;장동일;이동현;김유학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6권4호
    • /
    • pp.384-398
    • /
    • 1991
  • 본 연구는 개별농가(個別農家), 영농단(營農團), 위탁영농회사(委託營農會社)의 농기계 적정투입모형(適正投入模型) 선정(選定)과 보유기종(保有機種)이나 구입희망기종((購入希望機種) 의 경제성을 분석(分析)할 수 있는 대화식(對話式)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開發)하고자 수행(遂行)되었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농기계(農機械)의 적정투입(適正投入) 규모(規模) 선정(選定) 경제성(經濟性) 분석(分析)의 현실(現實) 적용성(適用性)을 높이기 위하여 투입(投入) 농기계(農機械)의 부담면적(負擔面積) 결정요인(決定要因)과 비용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문헌(文獻) 및 자료조사(資料調査)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나. 개별(個別) 농업경영체(農業經營體)(농가(農家) 또는 영농단(營農團))의 지역(地域), 기후지대별(氣候地帶別) 적기작업기간에 따른 농기계이용(農機械利用) 일수(日數), 임작업료(賃作業料) 등을, 농촌지도소에 보급된 행정전산용(行政電算用) PC를 이용(利用)하여, 프로그램 이용자(利用者)가 입력설정(入力設定)하고 투입농기계의 경제성(經濟性)을 분석(分析)할 수 있는 대화식(對話式) 프로그램을 개발(開發)하였다. 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벼농사 일관작업(一貫作業)은 물론 각 농작업(農作業)을 분리(分離)하여 투입 농기계별로 상세(詳細)한 경제성(經濟性)을 분석(分析)할 수 있으며, 경운 정지작업 기종은 3형식, 이앙(移秧), 방제(防除), 수확작업(收穫作業) 기종은 2형식을 동시(同時)에 분석(分析)할 수 있다. 벼농사는 경운(耕耘), 정지(整地), 방제작업(防除作業)에 대하여 분석할 수 있다. 라. 프로그램 분석결과(分析結果)는 입력(入力)된 경지면적(耕地面積)에서 기계화 영농을 수행할 때 투입 농기계의 기계사용(機械使用) 과부족일수(過不足日數), 부담면적(負擔面積), 손익분기면적(損益分岐面積), 월간(月間) 고정비(固定費), ha당(當) 기계이용비(機械利用費) 등을 포함한다. 마. 손익분기면적(損益分岐面積) 기종별(機種別) 임작업료(賃作業料)를 기준으로 한 손익분기면적(損益分岐面積)은 경운(耕耘) 정지작업(整地作業)의 임작업료(賃作業料)가 100원/평 일때 경운기, 트랙터 22,25,35,38,50,74 마력은 각각(各各) 1.8, 6.7, 7.6, 9.7, 9.3, 17.5, 23.7 ha 였으며, 이앙작업(移秧作業)의 임작업료(賃作業料)가 100원/평일 때 이앙기 보행4조, 승용4,6조는 각각(各各) 2.2, 5.8, 7.9 ha, 수확작업(收穫作業)의 임작업료(賃作業料)가 130원/평 일때 바인더, 콤바인 2,3,4조는 각각(各各) 2.2, 7.2, 10.2, 15.7 ha로 나타났다.

  • PDF

켄터키 블루그래스 페어웨이에서 문제가 되는 크리핑 벤트그래스 방제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 Control in Kentucky Bluegrass(Poa pratensis L.) Fairways)

  • 태현숙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5-72
    • /
    • 2005
  • 페어웨이나 티가 켄터키 블루그래스로 조성된 골프장에서 최근 큰 문제가 되는 부분이 바로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침입으로 이것은 골프장 전체의 미관을 크게 떨어뜨리지만, 번식속도가 빨라 매년 피해면적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크리핑 벤트그래스 발생 초기에 약제를 처리하여 켄터키 블루그래스 약해를 최소화 하면서 크리핑 벤트그래스만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다양한 약제실험을 수행한 결과, 크리핑 벤트그래스 방제 효과가 높을수록 켄터키 블루그래스에 약해가 심하게 나타나는 경항을 보였으나, fenoxaprop + triclopyr 처리에서는 크리핑 벤트그래스 방제가가 $80\%$ 이상 되었으며, 켄터키 블루그래스 생육에 미치는 영향도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은 다시 회복되지 못하였는데 이는 fenoxaprop이 다습하고 낯은 기온에서 약효가 높아져 제초제 민감성이 매우 높은 크리핑 벤트 그래스가 약해 스트레스를 극복하지 못하는 특성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따라서, 골프장의 켄터키 블루그래스 티나 페어웨이에 발생된 크리핑 벤트그래스에 fenoxaprop + triclopyr를 부분 처리하여 크리핑 벤트그래스 발생을 크게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다만 다년생 잡초를 1$\sim$2회 시약으로 완전히 방제하기는 어려우므로 연차적으로 발생면적을 줄여나간다는 개념이 필요하다. 향후 추가 약제선발 뿐 아니라 적정방제시기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국내의 골프장 관리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함량에는 미치지 못했다.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콜레스테릴 에스테르의 비율은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식이 급여로 정상군에 비하여 $13\%$이상 증가됐으나 질경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병합투여로 대조군에 비하여 $1-7.5\%$가 감소되었다. 6.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식이급여로 정상군보다 $90\%$이상 증가됐으나 질경이 에틸아세테이트분획 병합투여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콜레스테롤혈증 유발 식이 급여로 정상군에 비하여 $34.1\%$가 감소됐으나 질경이 에틸아세테이트분획 병합투여로 감소된 HDL-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식이 급여로 $524\%$가 증가된 동맥경화지수는 질경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병합투여로 대조군에 비하여 $40.2\%,\;51.2\%$가 감소됨으로써 동맥경화 발병 위험율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었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총콜레스테롤 함량 비는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식이 급여로 정상군보다 $73.9\%$가 감소됐으나 질경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병합투여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26두가 발정 반응($96.3\%$)을 나타내어 2.75${\~}$3.5의 경우가 2.50 이하의 경우에 비하여 높은 발정반응을 나타내었다.osterone과 0.40의 정의 상관이었고 근내지방도와 creatinine 농도간에는 -0.55의 비교적 높은 음의 상관계수가

옥수수밭 난방제(難防除) 잡초(雜草) 어저귀의 발아특성(發芽特性) 및 방제(防除)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Abutilon theophrasti, Troublesome Weed in Corn Fields)

  • 이인용;박재읍;류갑희;박태선;오세문;김영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3-168
    • /
    • 1997
  • 사료용(飼料用) 옥수수 포장에서 문제(問題)가 되고 있는 외래잡초(外來雜草)인 어저귀의 발생분포(發生分布), 종자발아(種子發芽) 특성(特性) 및 약제방제(藥劑防除)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료작물용(飼料作物用) 옥수수 재배면적(我培面積)이 넓은 경기(京幾), 강원(江原), 충남(忠南), 전남북(全南北) 등(等) 17개(個) 지역(地域)을 대상(對象)으로 어저귀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경기도(京幾道) 지역(地域)이 사료용(飼料用) 옥수수를 엔씨레지용(用)으로 이용(利用)함으로써 어저귀의 발생정도(發生程度) 및 발생량(發生量)이 강원(江原), 충남(忠南), 전남북지역(全南北地域)보다 높았다. 2. 어저귀 종자(種子)의 발아적온(發芽適溫)은 15~$20^{\circ}C$ 내외(內外)이고, 1~5cm 파종심도(播種深度)에서 73~93%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3. 어저귀 방제(防除)를 위한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除草劑)는 펜디유제, 리누론수화제 및 펜디 리누론유제 이며 약제처리시기(藥劑處理時期)는 어저귀가 발생(發生)된 후(後)인 파종후(播種後) 10일(日) 경(頃)에 처리(處理)하는 것이 방제효과(防除效果)가 가장 높았으며 초기(初期) 옥수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도 적었다.

  • PDF

정유를 이용한 환경친화적 수삼 저장병 방제 (Environment Friendly Control of Gray Mold, a Ginseng Storage Disease Using Essential Oils)

  • 김중배;김남규;임진하;김선익;김현호;송정영;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236-241
    • /
    • 2009
  • 본 연구는 정유를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으로 Botrytis cinerea에 의한 수삼 저장병 방제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정유의 일종인 methyl eugenol은 200 ppm 농도의 배지상에서 80% 이상의 높은 균사 생육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상온에서 수삼에 직접 처리 시 무처리구에서 80% 이상의 발병률을 보일 때 methyl eugenol이나 thymol 모두 분무와 침지처리구에서 10~20% 이하로 낮게 발병하여 높은 병 방제효과를 보였다. 저온($4^{\circ}C$)에서의 처리결과도 실온과 비슷하게 포장크기와 상관없이 무처리구에 비해 발병률이 매우 낮게 나타나 역시 실용적인 효과가 뛰어났다. 2 kg 이상을 분석한 대포장 실험에서도 무처리구는 발병지수가 1.65를 보인 반면 methyl eugenol은 0.60으로 개체별 발병면적이 상대적으로 매우 좁게 나타났다. 그러나 두 물질(methyl eugenol+thymol)의 혼합처리에 의한 상승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Methyl eugenol은 잔류독성이 없고 수삼 저장병 발생 억제효과가 뚜렷해 수삼 저장 시 처리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제제로서 활용 가능하며 특히 신선한 상태로 섭취가 가능해야하는 수삼의 특성으로 볼 때 수삼 저장병 방제제로서의 활용가치는 더욱 클 것으로 판단된다.

제초제(除草劑)의 사용법(使用법法) 개발(開發)을 위한 연구(硏究) - 제9보(弟9報) 맥후작(麥後作) 대두(大豆)(Glycine max L.) 잡초(雜草) 방제(防除)를 위한 Acifluorfen 과 Haloxyfop - methyl 의 혼용가능성(混用可能性) 연구(硏究) (Improvement of Herbicide Use in Crop Production IX. Tank-mix Use of Acifluorfen and Haloxyfop-methyl for Weeding on Soybeans (Glycine max L.) Cropped after Barley)

  • 구자옥;이관섭;김동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04-210
    • /
    • 1984
  • 남부(南部) 맥후작지대(麥後作地帶)의 대두포장(大豆圃場) 잡초방제(雜草防除)를 위하여 경엽처리용제초제(莖葉處理用除草劑) Halozyfop-methyl과 Acifluorfen의 혼합가능성(混合可能性)을 검토(檢討)하였다. 시험지(試驗紙)는 작물시험장(作物試驗場) 본포지장(本浦支場), 공시작물(供試作物)은 대두(大豆) "단엽(短葉)"이었으며, 재식(裁植)은 $60cm{\times}15cm$로 3립(粒) 점파(點播)하였다. 약제(藥劑)는 파종후(播種後) 18일(日)에 처리(處理)하였으며, 약량(藥量)은 Haloxyfop-methyl의 경우 0, 0.05, 0.1, 0.15, 0.2kg ae/ha, Acifluorfen의 경우 0, 0.082, 0.163, 0.245, 0.326kg ai/ha의 25조합(組合)으로 하였고, 구당면적(區當面積)은 $6.84m^2$로서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配置)하였다. 시험결과(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포장(圃場)의 잡초발생조건(雜草發生條件)은 비교적(比較的) 혼생군(混生群)을 형성(形成)하는 경향(傾向)이었다. 2. Haloxyfop-methyl 보다는 Acifluorfen에 의한 처리직후(處理直後)의 일반적(一般的) 작물약해(作物藥害)가 인정(認定)되었다. 3. 각 약제(藥劑)가 단위처리(單位處理)될 경우에는 잡초(雜草)의 천이(遷移)에 의한 단위군(單位群)의 집중발생현상(集中發生現想)이 초래(招來)되었다. 4. 두 약제조합(藥劑組合)으로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에는 결항적방제가(結抗的防除價)를, 광엽잡율(廣葉雜率)에는 상가적방제가(相加的防除價)를 보이는 경향(傾向)이었다. 5. 대두(大豆)의 종실생산(種實生産)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육후기(生育後期)까지의 제초효과(除草效果)를 유지(維持)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Acifluorfen을 0.245kg ai/ha, Haloxyfop-methyl을 0.15kg ae/ha 이상으로 혼용(混用)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 PDF

국화잎 선충에 대한 저항성 검정, 관수방법에 따른 국화잎선충의 피해율 및 화학적 방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te of Occurrence according to Watering Methods, Susceptibility and Chemical Control of Chrysanthemum Nematode)

  • 김영진;최영연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106-111
    • /
    • 1987
  • 현재(現在) 우리나라에서 재배(栽培)되고 있는 국화(菊花) 8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국화(菊花)잎선충에 대(對)한 저항성조사(抵抗性調査), 피해엽율(被害葉率)과 강우(降雨)와의 관계(關係), 그리고 관수방법(灌水方法)이 피해엽율(被害葉率)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고 몇가지 살충제의 방제효과(防除效果)에 관(關)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 l. 국화(菊花)잎선충(Aphelenchoides ritzemabosi)에 대(對)한 국화품종(菊花品種)의 저항성(抵抗性) 검정(檢定)에서 Shuhonothikara는 11.7%, Sagakiku는 14.5%로서 저항성(抵抗性)을 나타내었고 Sinrokusiogio, Dangonanako, Sintoa 등(等)은 50% 이상(以上)의 피해엽율(被害葉率)로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냈으며 Gold wave, Tenju 등(等)은 24~26%로 중간정도(中間程度)를 나타냈다. 2. 피해엽율(被害葉率)과 엽면적(葉面積), 엽후(葉厚), 기공수(氣孔數), 기공(氣孔)의 크기 및 모즙장(毛葺長) 등(等)과는 상관(相關)이 없었고 모즙수(毛葺數)와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3. 관수방법(灌水方法)에 따른 피해엽율(被害葉率)은 P. E. film에 의(依)한 강우(降雨)를 차단(遮斷)하고 지면관수(地面灌水)한 구(區)에서 9.4%로 가장 낮았으며, 자연상태(自然狀態)에서 지면관수(地面灌水)한 구(區)가 50%로 다음이었고 자연상태(自然狀態)에서 Spray한 구(區)가 62.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피해엽율(被害葉率)과 강우(降雨)와의 관계(關係)는 강우량(降雨量)보다는 강우일수(降雨日數)가 밀접(密接)한 관계(關係)를 내타내었다. 5. 살선충제의 토양처리(土壤處理)에 의(依)한 방제효과(防除效果)는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해 현저한 방제효과(防除效果)를 보여 주었으며 약제별(藥劑別)로는 Temik이 평균피해엽율(平均被害葉率)이 5%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무처리(無處理)나 타약제(他藥劑)에 비(比)하여 현저한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었고 Carbofuran, Otran, Mocap 등(等) 약제간(藥劑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은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는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었다.

  • PDF

마늘ㆍ양파수확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Fundamental Study for Development of Garlic and Onion Harvester)

  • 전현종;홍종태;박환중;최용;김영근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9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76
    • /
    • 1999
  • 우리나라의 마늘ㆍ양파의 재배면적은 '98년 현재 37,337㏊, 14,806㏊이고 생산량은 각각 39만여톤, 87만여톤으로 밭작물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수확작업의 대부분이 인력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생산비가 높고 수입품과의 가격차이가 심하여 재배농가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한편 마늘ㆍ양파의 기계화작업이라야 경운정지, 방제, 비닐피복 등에 그치고 있고 일부지역에서 마늘 수확시 굴취기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논에서 마늘ㆍ양파를 재배할 경우 수확시기와 벼농사의 이앙시기가 이어지기 때문에 적기에 빠른 수확이 가능한 수확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중략)

  • PDF

서해안 간척답에 있어서 다년생잡초매자기 방제에 관한 연구 제 1 보 매자기의 분포 (Control of Perennial Weed Scirpus maritimus L. in Reclaimed Paddy Fields of West Seashore I. Distribution of S. maritimus)

  • 양환승;전재철;문영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0-63
    • /
    • 1978
  • 우리나라 서 . 남해안 간척지의 매자기 분포상황을 알기 위해서 전간척지 면적의 약 29%에 해당하는지역에 대해 설간 및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1. 매자기는 우리나라 중부의 경기도 강화군으로부터 남부인 전남의 양도, 고흥군에 이르기까지 전간척지에 분포되어 있다. 2. 전체 간척지의 평균 침입정도는 5 단계평가로 4.09에 이르고 있다. 3. 전체 조사지역중 73.04%가 평점 5및 4에 속하였다. 4. 전체 사사지역 어디에서나 매자기는 모내기 전과후 두차례에 걸쳐 발생하고 있었다.

  • PDF

하우스작물 병해발생이 늘고있다 - 무리한 작형, 연작 피하고 온$\cdot$습도 관리등 종합대책 강구돼야

  • 차광홍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11권2호통권95호
    • /
    • pp.86-92
    • /
    • 1990
  • 최근 소득작물로 재배면적이 늘고있는 시설하우스의 채소재배는 시설의 대형화와 고정화로 인한 연작장해와 주년재배에 의한 포장환경의 오염, 시설내의 고온다습, 무리한 약제살포 등으로 노지재배에서는 별로 문제가 되지않던 병들이 하우스내의 온도보존을 위한 2중, 3중의 밀폐로인한 높은 습도 때문에 거의 모든 작물에서 잿빛곰팡이병, 균핵병등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연작으로 인한 토양전염성 병균의 밀도가 높아져서 역병, 풋마름병, 덩굴마름병등이 발생될 뿐아니라 지력증진을 위한 미숙 유기물이나 생육촉진을 위한 제4종 복합비료, 생장조절제등의 남용으로 전에는 없었던 새로운 장해가 증가되고 있어 이에 대한 방제대책의 일환으로 주산단지를 이루고 있는 농가의 병해충 발생및 토양환경등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책을 소개하기로 한다.

  • PDF

충북지역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농가 관리실태 및 발생면적 조사 (A Survey on Farm Management and Occurrence Area of Herbicide Resistant Paddy Weeds in Chungbuk Province)

  • 김은정;박재성;이채영;임상철;송범헌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1-7
    • /
    • 2013
  • 충북지역 벼 재배양식 및 제초제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저항성잡초 발생면적 및 초종을 파악하여 올바른 저항성잡초에 대한 방제체계를 확립하고자 조사한 결과이다. 본 조사는 충북지역 벼 재배 260농가를 대상으로 재배형태와 제초제 사용실태, 저항성잡초 발생현황을 농가 설문조사 하였고, 충북지역 400지점의 논토양을 채취하여 저항성잡초 발생면적을 추정하였다. 충북지역 벼 재배 농가의 경우 99.6%가 기계이앙을 하고 있었으며 제초제 사용은 이앙 전과 이앙 후 10일 이내에 2회 사용하는 농가가 전체의 78%를 차지하였다. 사용시기별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초제는 이앙 전에는 butachlor가 46.6%, 중기제초제는 mefenacet + pyrazosulfuron-ethyl이 10.7% 였다. 경엽처리 제초제의 경우 bentazone 단제 및 혼합제가 62%를 차지하였다. 충북지방 논에서 우점하는 잡초는 피로 16.2%이었으며, 올챙이고랭이는 12.2%, 물달개비는 11.9%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잡초 중 저항성을 나타낸 잡초는 올챙이고랭이가 20%로 가장 높았고, 물달개비 19.2%, 벗풀 12.8%, 피 12.2%의 순이었다. 충북지역 저항성잡초의 발생 비율은 2011~2012년 2회 조사 결과, 평균 26.8%로 충북지역 논 면적 중 13,167 ha에 해당되는 것이다. 충북의 시군별 발생면적은 청주청원지역이 4,164 ha로 가장 넓었고, 가장 문제가 되는 저항성잡초는 물달개비와 올챙이고랭이로 66~67%가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저항성 피의 발생비율도 2011년 9.5%에서 2012년 조사에서는 13.4%로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