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면적 방제

Search Result 17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발생이 늘고있는 과수병해의 특징과 방제대책 - (3) 복숭아나무와 핵과류

  • 이두형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13 no.4 s.109
    • /
    • pp.44-50
    • /
    • 1992
  • 핵과류는 7$\cdot$8월에 신선한 생과실을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가공품으로서 년중 공급되는 중요 과실이다. 우리나라의 핵과류 재배면적은 17,000여ha로 사과 밀감 다음으로 크며, 과수전체 면적의 15$\%$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으로 생산량은 약 20만 톤에 이른다(원시, 1987). 또 핵과류는 통조림 주스 등으로 11,700톤이 생산되는데 전체 과실통조림과 넥타의 32$\%$를 충당하고 있다. 복숭아 및 기타 핵과류에 발생하는 병의 종류는 모두 24종이 알려져 있으나 병원균의 종류에 따라서는 중복해서 기생하는 것이 있으므로 17종의 병원균에 의해서 병이 발생된다(한식보, 1986). 그 동안 복숭아의 재배방법 중 크게 바뀌고 있는 것은 무대재배(無袋栽培) 및 시설재배 면적의 증가와 재배품종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무대재배로 인해서 발생이 증가되는 것은 세균성구멍병, 검은점무늬병, 잿빛무늬병 및 탄저병 등으로 품질저하 현상으로 나타난다. 시설재배와 관련되는 것은 흰가루병과 잿빛곰팡이병이다.

  • PDF

Seasonal Occurrence of Spodoptera exigua in Chonnam Province and a Possibility of Their Control in Vinyl House with Pheromone Traps (합성 성페로몬 대량유살 트랩을 이용한 파밤나방의 발생소장, 발생량 및 방제효과)

  • 김규진;박종대;최덕수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34 no.2
    • /
    • pp.106-111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ss trapping with synthetic sex pheromone on seasonal occurrence of, the Beet amyworm (BAW) Spodoptera exigua, and on suppress of their density in Chonnam province from 1992 to 1994. Adult males of BAW were colllected by the trap from early through early November. The numbers began to increase abruptly from early July, and forming three peaks on mid July, early August and early September. Yearly occurrence and the area damaged by the BAW varied in relation to weather condition. Especially, low temperature and heavy rainfall in August 1993 seems to have affected to reduce the BAW population. The pheromone trap attracted higher numbers (1.5~2.3 times) of BAW adult than ordinary light rap. And the BAW population in vinyl hose was noticeably reduced when more than 10 pheromone traps were operated per 330$\m^2$ of vinyl house.

  • PDF

Seasonal Occurrence, Soybean Damage and Control Efficacy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miptera: Alydidae) at Soybean Field in Honam Province (호남지역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의 발생소장, 콩 피해 및 약제방제 효과)

  • Lee Geon-Hwi;Paik Chae-Hoon;Choi Man-Young;Oh Young-Jin;Kim Doo-Ho;Na Seung-Yeoung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3 no.3 s.136
    • /
    • pp.249-255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Seasonal Occurrence, soybean damage and control efficacy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at soybean field in Honam province. Occurrence of R. clavatus varied at seeding times with annual difference. The peak occurrence of R. clavatus was appeared at late of August for late May seeding and middle of September for middle June seeding. There was difference in the peak occurrence of R. clavatus due to different growing stages affected by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though soybean was seeded at same time. If the rate of soybean seed damage area by R. clavatus sucking increases, the germinating rate was greatly decreased. If the rate of soybean seed damage area is above 50 percent, in particular, the germinating rate was very low with 2 percent. Control efficacy against R. clavatus was the highest with $91\%$ at 3 times treatment of insecticide at $R_4$ (full pod stage) + $R_5$ (Beginning seed stage) +$R_6$ (full seed stage) of soybean growing stages in field.

Discussions on Pesticides Production and Supply in Korea (농약의 생산과 소비의 실태에 관한 고찰)

  • Bai Dai Ha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17 no.2 s.35
    • /
    • pp.115-123
    • /
    • 1978
  • Present status on the pesticides production, supply, manufacture and pests control in Korea are summarized. The data in the past several years (1971-76) are analyzed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solution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plant protection and pesticide industry in Korea. Since the acreages of crop plantation and the quantities of pesticides uses are already near to the stage of plateau, pesticide formulation with imported technical grade should be modified by local synthesis with imported quality. The government pesticides management act and regulations must be modernized urgently in connection with the synthesis. formulation, tests, registration, quality control. price and supply system as well as the safety use of pesticides. Recommendation concerning acceptable daily intakes(ADI) and residue limits must be established for the strengthning pesticide safety use and plant protection activities as soon as possible. The use of fungicide-insectide mixture in dust formulation must be authorized and practiced immediately for the labor saving and one-hit cooperative mass control of rice disease and insect pests, especially. At present, serious considerations on pesticide safety use and integrated pest control are strongly urged to help the farmers, to save the industries and to keep the nature as it is required.

  • PDF

Establishment of Economic Threshold by Evaluation of Yield Component and Yield Damages Caused by Rice Leaf Blast (Magnaporthe grisea) (벼 잎도열병 피해해석에 의한 경제적 방제수준 설정)

  • Yeh, Wan-Hee;Park, Hong-Hyun;Nam, Young-Ju;Kim, Seol-A;Lee, Jeong-Hee;Shim, Hong-Sik;Kim, Yong-Ki;Lee, Yong-Hwan;Lee, Yeong-Hoon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14 no.1
    • /
    • pp.21-25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cide disease incidence level of rice leaf blast required for reasonable fungicide application in paddy field. We induced the disease development by inoculating rice blast pathogens on rice seedlings (Jinmibyeo) in the greenhouse and transplanting the infected seedlings in the field two weeks after rice plants were transplanted. We scored the disease incidence, grouped and marked according to degree of percentage of diseased leaf area at maximum stage of disease development. The percent diseased leaf area (PDLA)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panicle number per hill, ripened grain (%), and total yield;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s (r), $-0.97^{**}$, $-1.00^{**}$ and $-0.96^{**}$, respectively. However, i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pikelets per panicle and thousand grain weight;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s (r), $0.98^{**}$ and $0.98^{**}$, respectively. Gain threshold (GT) calculated based on control cost and market price was estimated to be 8.35. Economic injury level (EIL) obtained based on GT and coefficient of damage of regression equation between disease incidence and the different yield components; panicle number per hill, spikelets per panical, ripened grain(%), thousand grain weight and yield were 41.8, 9.7, 19.1, 291.1 and 3.4%, respectively. Economic threshold (ET) for yield was 2.7% ($3.4%(EIL){\times}0.8$) on PDLA.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plication of fungicide is necessary when two under leaves are almost covered with lesions or contained more than twenty large lesions under leaves at maximum tillering stage.

Spider fauna of the mulberry fields at Suwon, Korea (뽕나무밭의 거미상)

  • Paik Woon Hah;Namkung Joon;Paik Hyun Ju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12 no.2
    • /
    • pp.57-62
    • /
    • 1973
  • 한국의 뽕나무 해충은 210종 이상이 기록되었다. 과거 4반세기 동안 다수의 합성농약이 농림해충 및 위생해충 방제에 큰 공헌을 해 온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뽕나무의 해충에 대해서는 농약에 대한 내약력이 가장 약한 누에에 미칠 악영향 때문에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많아서 외국에서도 잔효성이 짧은 TEPP 또는 DDVP등이 사용되고 있을 정도이다. 한국에서도 뽕나무순혹파리 방제를 위해서 초여름에 BHC 분제의 토양처리가 실천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뽕나무애바구미의 피해가 심해져서 몇 가지 살충제로 방제시험이 백에 의해서 이루어 졌을 뿐이다· 따라서 뽕나무해풍 방제를 위해서는 천적을 이용한 방제가 바람직하다 하겠다. 필자들은 우선 천적으로서의 거미의 분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원시 소재 잠업시험장 뽕밭에서 1971-72년에 조사하였다. (Fig. 1) 조사된 뽕밭의 면적을 27a이었으며 9개의 조사구를 택하고 이것을 생태적 환경에 따라 3군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았다. A, B 및 C구는 동쪽 가에 위치하며 가로등과 3개의 잠실의 등불의 영향을 받아 해충의 밀도가 높았으며 E, D 및 H구는 뽕밭의 중앙부이며 뽕나무 오갈병의 피해가 심하여 뽕나무가 작았고 또한 결주도 많았다. F, G 및 I구는 도로를 격하고 뽕밭 또는 초지에 면한 가장자리 이었 다. 이밖에 수시로 근처의 딴 뽕밭에서 채집한 것도 포함하여 4,987마리의 거미를 조사한 바 17과 47속 66종에 이르렀다. 이것을 Abe의 보고와 비교한 때 종수가 월등 많았으며 또한 Kayashima의 보고와는 달리 풀거미속(Agelena)거미가 훨씬 적은 것이 특이하였다. 채집된 거미를 그 생태에 기초하여 4군으로 나누어 천적으로서의 가치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A군 : 대형의 둥근 망을 치는 종류들로서 날으는 곤충을 잡아먹는데 천적으로서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다. 106주에서 245마리가 채집되었으며 (Tetragnatha squamata)가 우량종이었다. B군 : 소형의 둥근 망을 가지나 잎사이에 치는 종들로서 비록 몸은 작지만 가장 중요한 천적이다. 꼬마거미과 애접시거미과에 속하는 거미들이며 18종, 2,815마리가 잡혔다 우점종은 (Erigoridium raminicola),(Theridion octomaculata) (Enoplognatha spp.)이었다. C군 : 떠돌이거미로서 소형곤충을 잡아먹어 유력한 천적이다 26종 1,727마리가 잡혔으며 게거미과, 깡총거미과 및 염낭거미과의 거미들이 우점종이었다. D군 : 지상을 걸어다니는 떠돌이거미로서 늑대거미과가 약간 잡혔으나 천적으로서 중요한 것으로는 생각되지 않는다. 앞으로 이들과 해충과의 관계를 조사구명 해야 할 것이다.

  • PDF

Studies on the Ecology and Control of Bog Pondweed(Potamogeton distinctus A. BENN) in Paddy Field (답숙근초 가래의 생태와 방제에 관한 연구)

  • Lee, H.K.;Park, H.C.;Lee, D.K.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1 no.2
    • /
    • pp.258-268
    • /
    • 1976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know the ecology and to establish the control method of Potamogeton distinctus A. BENN. The tubers of Bog pond weed was almostly located at soil depth of 10 cm to 20cm, germination rates and number of formed tube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ransplanting depth of soil. Effects of herbicides application on weed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leaf-stage of pondweed, and the pondweed were withered to death by absorption of Avirosan into the leaves. It was suitable to keep water depth at 3cm level until about a week after Avirosan application.

  • PDF

답작제초제 시험연구결과의 종합 및 전망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 Su-Bong Ahn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9
    • /
    • pp.1-21
    • /
    • 1971
  • 잡초방제없이 합리적인 답작경영은 불가능하다. 잡초방제법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현재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생태적, 기계적, 및 화학적방제법이며 특히 근래에 제초제의 개발이용에 의하여 제초기술은 비약적으로 진보하고 있고 미국, 일본등 제국에서는 거의 전답면적에 제초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상금 인력 및 기계제초를 위주로 하고 일부 제초제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농업노동력이 격감되고 노임이 상승되므로서 농작업의 생력화가 절실히 필요하게 됨에 따라 제초제의 생략효과가 크게 인정되고 그 소비량은 1966년부터 급증하기 시작하여 1968년 현재 1961년의 49배나 되었고 그도입량은 1970년 현재 전농약수입액의 15%선까지 이르렀으며 앞으로 계속 증가될 필연적추세에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의 답제초제에 관한 시험연구는 1955년부터 실시되여 현재까지 125건에 달하며 일부제초제의 효과를 구명하고 인력제초에 대신하는 답제초체계를 일응 제시하고 시험지간에 상호 유기적 연락이 결여되고 내용적으로도 간단한 응용시험에 끝였으므로 많은 시험수행에도 불구하고 제초제보급 및 사용상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여러 문제점을 시급히 해결하고 보다 효과적인 시험연구를 수행하여 농업생산성 향상에 이바지 하기 위하여 제초제에 관계하는 도입 연구 지도조직의 체계화와 아울러 연구원, 연구비의 강화증액 및 전담연구실의 설치가 절실히 요청된다.

  • PDF

채소작물 병해방제 집중탐구 (3)수박 - 시설재배환경 덩굴마름병 발생에 적합 - 탄저병과 역병은 노지재배시 문제

  • 김충회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12 no.6 s.105
    • /
    • pp.94-101
    • /
    • 1991
  • 우리나라 수박재배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병해는 덩굴쪼김병(만할병), 덩굴마름병(만고병), 탄저병, 역병(돌림병)이라 할 수 있다. 이외에 5$\~$6가지의 병이 발생하고 있으나 상기 4가지 병해에 비하면 발생면적도 적고 피해도 일반적이지 못하다. 덩굴쪼김병은 접목재배에 의하여 피해가 경감되고 있으나 수박재배 경험이 풍부하지 못한 농민들은 이 병해 때문에 실패하기 쉽다. 덩굴마름병은 특히 시설재배에서 피해가 큰데, 전생육기간동안 기온이 낮을 때 발생하므로 해마다 농민들이 골치를 앓는 병해다. 탄저병과 역병은 시설재배보다는 노지재배에서 훨씬 많이 발생하며 그 피해도 대단히 크다. 특히 이 병해들은 강우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약제를 살포할 여유도 없이 급진전하므로 잠깐 소홀히 한 사이 포장이 수박전체가 피해를 입는 경우가 허다하다. 여기에서는 앞서 이야기한 4가지 병해를 중심으로 발생생태와 효과적인 방제방법을 알아본다.

  • PDF

벼흑조위축병 피해가 늘고 있다 -발병 추세와 방제 대책-

  • 박인선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8 no.4
    • /
    • pp.21-27
    • /
    • 1987
  •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벼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으로 알려져 있는 것은 줄무늬잎마름병(縞葉枯病), 오갈병(萎縮病), 검은줄무늬오갈병(黑條萎縮病)의 3종류가 있다. 그 중 가장 근년에 알려진 검은줄무늬오갈병은 1973년 경북 선산지방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어 1975년 검은줄무늬오갈병으로 확인된 이후 남부지방은 물론 중부지방까지 확산 피해를 주고 있다. 더욱 기계이앙기 보급으로 조식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이모작 지대(二毛作地帶) 일부에서는 피해가 심한 실정이다. 전남 보성군 조성지역은 전남지역에서 대표적인 남부 미맥(米麥) 이모작지대로 알려져 있는데 1984년에는 벼 검은줄무늬오갈병이 지금까지 보기드물 정도로 극심하게 발생되어 일부 포장에서는 벼 수확에 개무(皆無) 상태를 보인 바 있어 이와같은 피해를 다소나마 줄여 보고자 그동안 조사된 시험성적을 중심으로 피해상황과 방제법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