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면역 조직 화학

Search Result 55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Morphologic Changes of Parvalbumin- Immunoreactive Interneurons of the Dentate Gyrus in Kainate-Treated Mouse Hippocampal Slice Culture Epilepsy Model (Kainic Acid로 처리한 해마박편배양 마우스 간질모델에서 치아이랑 Parvalbumin 면역 반응성 사이신경세포의 형태학적 변화)

  • Chung, Hee Sun;Shin, Mi-Young;Kim, Young-Hoon;Lee, In-Goo;Whang, Kyung-Tai;Kim, Myung-Suk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5 no.12
    • /
    • pp.1551-1558
    • /
    • 2002
  • Purpose : Loss of hippocampal interneurons in dentate gyrus has been reported in patients with severe temporal lobe epilepsy and in animals treated with kainic acid(KA). Interneurons contain $Ca^{2+}$- binding protein parvalbumin(PV). The effects of kainic acid on parvalbumin-immunoreactive (PV-IR) interneurons in dentate gyrus were investigated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Methods : Cultured hippocampal slices from postnatal day nine C57/BL6 mice were exposed to $10{\mu}M$ KA, and were observed at 0, 8, 24, 48, 72 hours after a one hour KA exposure. Neuronal injury was determined by morphologic changes of PV-IR interneuron in dentate gyrus. Results : Transient(1 hour) exposure of hippocampal explant cultures to KA produced marked varicosities in dendrites of PV-IR interneuron in dentate gyrus and the shaft of interbeaded dendrite is often much thinner than those in control. The presence of varicosities in dendrites was reversible with KA washout. The dendrites of KA treated explants were no longer beaded at 8, 24, 48 and 72 hours after KA exposure. The number of cells in PV-IR interneurons in dentate gyrus was decreased at 0, 8 hours after exposur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24, 48 and 72 hours recovery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ed that loss of PV-IR interneurons in dentate gyrus is transient, and is not accompanied by PV-IR interneuronal cell death.

Amelioration of Asthmatic-Related Symptoms by an Aqueous Extract of Angelica archangelica L. (신선초의 물 추출물에 의한 천식 증상의 감소)

  • Heo, Jin-Chul;Lee, Sang-Ha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8 no.10
    • /
    • pp.1336-1341
    • /
    • 2008
  • Inflammation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is a crucial event in immune disorders, including asthma, and atopic rhinitis. To investigate whether an aqueous extract of Angelica archangelica L. (AaL) has a beneficial influence in terms of anti-asthmatic activity, its effects on an ovalbumin-induced asthmatic model were examined. Mice sensitized to ovalbumin were orally administered the AaL extract, and their lungs examined by Haematoxylin-Eosin staining to determine IL-4/13 cytokine expression. The AaL extract exerted strong anti-asthmatic effects by regulating each level in the $CD4^+$ cell number, IL-4/13, and other target markers in the lungs. Together, these results collectively indicate that the aqueous AaL extract ameliorates asthmatic symptoms effectively in a mouse ovalbumin-challenge model.

DISPLACEMENT OF MAXILLARY LATERAL INCISOR CAUSED BY IDIOPATHIC GINGIVAL FIBROMATOSIS (특발성 치은 섬유종증에 의한 상악 측절치의 변위)

  • Jung, Ji-Sook;Park, Ho-Won;Lee, Ju-Hyun;Seo, Hyun-Woo;Lee, Suk-Keu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8 no.3
    • /
    • pp.296-302
    • /
    • 2011
  • Idiopathic gingival fibromatosisrarely occurs, but frequently recurred after surgical removal. It usually occurs in generalized symmetrical pattern but sometimes in localized unilateral pattern. The localized pattern usually affects the maxillary molar and tuberosity area. This disease usually causes tooth migration, malocclusion, and problems in eating, speech, and esthetics. A boy showed dense gingival fibromatosis localized at primary maxillary right lateral incisor area at the age of 5 years, and his maxillary right lateral incisor become severely displaced at the age of 9 years. He had no medical and hereditary factors relevant to the gingival fibromatosis. However, the dense fibrous tissue was dominant in his labial gingiva of maxillary right incisors. In order to realign the displaced incisors by orthodontic treatment, the dense fibrous tissue covered the defect space between the central incisor and the displaced lateral incisor was surgically removed. The removed specimen was examined by simple immunohistochemical(IHC) array method. IHC array showed increased expression of CTGF, HSP-70, MMP-1, PCNA, CMG2, and TNF-${\alpha}$ in keratinocytes, fibroblasts, endothelial cells, and macrophages of gingival fibromatosis tissue.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gingival fibromatosis be caused by the concomitant overexpression of CTGF, HSP-70, MMP-1, PCNA, CMG2, and TNF-${\alpha}$, and resulted in the fibroepithelial proliferation and the inflammatory reaction of gingival tissue.

Pi Class of Glutathione Transferase is the Major Form of Detoxifying Enzyme in the Human Epithelial Tissues and Saliva (인체상피조직 및 타액내 해독효소로서의 glutathione transferase Pi)

  • 박상철;곽상순;서희명;김옥경;정윤미;최경호;김우호
    • Environmental Mutagens and Carcinogens
    • /
    • v.11 no.2
    • /
    • pp.148-160
    • /
    • 1991
  • Localization of isoenzyme of glutathione transferase Pi class was compared in different human tissues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Strong enrich-ment of GST-Pi in the epithelial tissues was observed in the granular layer of skin, nipple and esophagus which are vulnerable to exogenous chemicals and in the duct epithelium such as pancreatic, biliary, salibvary, renal tubules as well as in the steroid biosynthesis organs such as theca and granulosa of ovary, leydig cell of testis and zona reticularis of adrenal glands.

  • PDF

An Immunocytochemical Study on Storage Proteins of Ginseng Seed - Tris Buffer Soluble Protein - (인삼 종자의 저장단백질에 관한 면역 세포화학적 연구 - Tris 완충액 가용성 단백질 -)

  • Kim, Woo-Kap
    • Applied Microscopy
    • /
    • v.19 no.2
    • /
    • pp.74-84
    • /
    • 1989
  • Buffer soluble storage proteins of ginseng seed have been localized by electron microscopy using post-embedding immunocytochemical gold labelling technique. Major components of the storage proteins were revealed to be storage protein-1($SP_{1}$, MW 160,000) and storage protein-2($SP_{2}$, MW 70,000). Both of the storage proteins are glycoproteins. Anti-$SP_{1}$ and anti-$SP_{2}$ from rabbit, against $SP_1$ and $SP_2$, respectively, reacted on sections of ginseng endosperm tissue embedded in Spurr's epoxy resin. The rabbit antibodies were visualized indirectly by reaction with protein A labelled with colloidal gold. Both storage proteins were found to be accumulated together in the same protein bodies, but their relative contents are not equal.

  • PDF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

The Temporal and Spatial Expression of the Cytokeratin in Keratinocytes during Cutaneous Wound Healing on the Amphibian(Bombina orientalis) (양서류 피부 상처회복과정 중 각질화세포 cytokeratin의 분포)

  • Lim, Do-Seun;Jeong, Soon-Jeong;Moon, Myung-Jin;Jeong, Moon-Jin
    • Applied Microscopy
    • /
    • v.37 no.4
    • /
    • pp.209-217
    • /
    • 2007
  • The system of wound healing is very complex biological processing that includes inflammatory, reepithelialization, and matrix construction. For identification of the transitional pathway of the keratinocytes, we have employe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using cytokeratin antibody after wounding. Epithelium in skin of the frog(Bombina orientalis) was examined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Cytokeratin was expressed in normal basal and gland cavity cells. At 3-hour basal layer cells were strong positive, however cells of the upper layer were negative reaction. Day1 and 2 after post-wounding, regenerating epithelial cell layer was positive reaction, especially basal layer cells were strong positive. At day 10 after wounding, the degree of positive reaction to basal cells of regenerating epithelial tissue was equal to day 7 wound tissue. At day of 19th, basal and spinous layer cells were strong positive reaction. Regenerating epithelial cells were positive but some basal cells were strong positive at day 27. From this result, we identified that the migration of the keratinocytes in amphibian skin wounds is initiated from basal layer fells and the keratinocytes migrate into basal and middle of the wound area.

Immunohistochemical c-fos Expression in Osteosarcoma (골육종의 c-fos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검색)

  • Park, Yong-Koo;Park, Hye-Rim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5 no.3
    • /
    • pp.162-168
    • /
    • 1999
  • The products of c-fos and c-jun proto-oncogenes form the heterodimeric complex activator protein 1 (AP-1), which plays an important part in the control of bone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as well as in the development of bone tumors. The expression of c-fos protein was examined in 35 cases of human osteosarcomas as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 sections using a monoclonal antibody. The expression of c-fos was restricted to bone-forming lesions, while low grade cartilaginous tumors were devoid of immunoreactivity. The highest levels of c-fos expression were detected in osteoblastic osteosarcoma (13 of 17 cases with grade one on two) while two chondroblastic osteosarcomas, one fibroblastic osteosarcoma, and two parosteal osteosarcomas were negative. Two cases of telangiectatic osteosarcomas were positive for c-fos protein. However, since there is a tendency of high c-fos protein expression at the higher histological grad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present in the expression of c-fos protein. Thus c-fos expression may be implicated in the development of osteosarcomas, but they appear to have little or no relevance in the development of low grade cartilaginous neoplasms.

  • PDF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36 and 29 kDa proteins in sparganum (면역조직염색법으로 관찰한 스파르가눔 층체에서의 36, 29 kDa 항원 단백질의 생성위치)

  • Kim, Lee-Su;Kong, Yoon;Kang, Shin-Yong;Cho, Seung-Yul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30 no.1
    • /
    • pp.25-32
    • /
    • 1992
  • Antigenic proteins of 36 and 29 kDa were localized in Spirometra mansoni plerocercoid (sparganum) immunohistochemically by avidin biotin complex (ABC) staining. When polyclonal antibodies such as BALB/c mouse serum immunized with crude saline extract of sparganum or confirmed sparganosis sera were reacted as pri-mary antibodies, the positive chromogen (3-amino, 9-ethylcarbazole) reactions were recognized at syncytial tegument, tegumental cells, muscle and parenchymal cells and lining cells of excretory canals. A monoclonal antibody(MAb) which was reacting to 36 and 29 kDa proteins in the extract of the worm was localized at the syncytial tegument and tegumental cells. The present results suggested that the potent antigenic proteins of 36 and 29 kDa in sparganum were produced at the tegumental cells and transported to the syncytial tegument.

  • PDF

Ultrastructural Localization of ZnT3 and Zinc Ions in the Mouse Choroid Plexus (생쥐 맥락얼기에 분포하는 ZnT3 및 zinc 이온의 조직화학적 동정)

  • Kim, Sung-Joo;Kim, Yong-Kuk;Sun, Yuan-Jie;Kim, Soo-Jin;Jeong, Young-Gil;Yu, Yun-Cho;Jo, Seung-Mook
    • Applied Microscopy
    • /
    • v.32 no.4
    • /
    • pp.377-383
    • /
    • 2002
  • We have detected the murine zinc transporter, ZnT3, and zinc ions in the mouse choroid plexus by immunocytochemistry (ICC) and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hy ($ZnSe^{AMG}$), respectively. BALB/c mice served as experimental animals. Routine floating ABC immunocytochemical procedures were used for the ZnT3 immunocytochemistry, and the mice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i.p.) with sodium selenide (10 mg/kg) for the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hy. The choroid plexus showed weak immunoreactivity (Ir) for ZnT3. At high magnification, ZnT3-Ir was seen to be located in the choroid epithelium and the connective tissue of the capillaries. At the EM level, a high electron density of ZnT3-immunoreactivity was restricted to vesicle membranes as well as microvilli in the apical membrane. In contrast, immunostaining of ZnT3 was completely absent in the basolateral plasma membrane and other cell organelles. After silver enhancement, fine $ZnSe^{AMG}$ grains were observed in both the epithelial and endothelial cells of the choroid plexus. Few $ZnSe^{AMG}$ grains present in the cell bodies of the choroid epithelial cells were located in multivesicular bodies. It is striking that very many $ZnSe^{AMG}$ grains were observed in the endothelial cells of the capillaries. These findings establish the choroid plexus as a non-neuronal pool of zinc ions in the brain, although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this pool is not clear. The choroid epithelium, however,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ransportation of zinc between the CSF and brain t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