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역염증 반응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6초

엘리델$^{(R)}$(피메크로리무스)크림 $1\%$ 전임상 약리학 성상 및 피부 선택성 (Pimecrolimus ($Elidel^{(R)}$, SDZ ASM1981))

  • 한국임상약학회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7-105
    • /
    • 2003
  • 아스코마이신(ascomycin)의 macrolactam 유도체인 피메크로리무스(pimecrolimus; 엘리델 [Elidel], SDZ ASM 981; Novartis Pharma AG, 바젤, 스위스)는 세포선택성을 지닌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s) 억제제로서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자극성 접촉피부염 및 판형 건선 등 염증성 피부질환의 치료제로 개발되었다. T세포와 비만세포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 분비를 억제하고 사전 형성된 염증성 매개물질의 비만 세포 분비를 저해한다. 국소 투여된 피메크로리무스는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allergic contact dermatitis [ACD]) 돼지 모델에서 고역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클로베타졸-17-propionate(corticosteroid clobetasol-17-propionate)와 동등한 효과를 나타낸다. 하지만 피메크로리무스는 클로베타졸과는 달리 피부 위축을 일으키지 않는다. 경구 투여시 피메크로리무스는 마우스와 랫트 ACD 치료에 있어서 타크로림무스(tacrolimus [FK 506])와 동등한 혹은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피메크로리무스는 아토피피부염 급성 징후 유사 모델인 저마그네슘 혈증 탈모 랫트(hypomagnesemic hairless rat)의 피부 염증과 소양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피메크로리무스는 랫트에서 다음과 같은 측면의 전신 면역반응 손상 효과가 타크로리무스 와 비교하여 낮게 평가된다: (1)국소 이식편대 숙주 반응, (2)양(sheep) 적혈구에 대한 항체 형성, (3)신장이식. 시험관내 평가시 돼지 피부를 통한 피메크로리무스 투과 속도가 타크로리무스보다 10배 낮게 측정되므로 생체에서 경피 흡수가 더 적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자료로 판단컨대 피메크로 리무스는 피부에 대한 항염증 활성이 높을 뿐 아니라 전신 면역반응 손상 부작용이 낮은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유색미 겨 아라비녹실레인과 운동트레이닝이 Lipopolysaccharide 처치된 흰쥐의 면역인자 및 염증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abinoxylan Rice Bran and Exercise Training on Immune Function and Inflammation Response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ts)

  • 손희정;김형준;채정훈;권형태;여효성;어수주;임예현;김효정;김창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1호
    • /
    • pp.41-46
    • /
    • 2012
  • 아라비녹실레인은 발효 유색미 겨에서 추출한 수용성 식이섬유로서 항산화 기능 면역증진 및 염증억제 효과 등이 밝혀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천연식품소재로서 생체기능성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아라비녹실레인의 면역기능 및 염증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흰 쥐를 대상으로 4주간 시료 투여와 운동트레이닝의 효과를 함께 비교하였으며 lipopolysaccharide를 이용하여 염증반응을 유발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아라비녹실레인 투여에 의한 염증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염증반응의 대표적인 지표인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와 interleukin-6 (IL-6)의 활성은 아라비녹실레인의 투여 집단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운동트레이닝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아라비녹실레인을 섭취하면서 운동을 실시한 집단에서 IL-6와 TNF-${\alpha}$의 염증 활성이 운동트레이닝만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유색미 겨에서 유도된 아라비녹실레인은 운동과 병행하지 않는 단독투여만으로 염증 반응 시 발현되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들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질병예방 및 면역기능증진을 위한 기능성 천연물로서 적용될 수 있는 유효한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림프절 스트로마 유래 Fibroblastic Reticular Cell의 면역학적 위치 (The Immunological Position of Fibroblastic Reticular Cells Derived From Lymph Node Stroma)

  • 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56-364
    • /
    • 2024
  • 림프절은 인체에 침입한 감염원에 대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곳이다. 림프절은 스트로마세포에 의해 뚜렷하게 구획화되어 있다. 스트로마세포들은 면역세포의 이동, 활성화, 분화를 야기하기 위해 상호작용을 위해 미세환경을 제공한다. FRC는 림프절의 T zone에서 3차원 구조물을 형성하여 면역세포의 통로를 제공한다. FRC는 림프절 구조, 면역세포 리쿠르트, 면역세포와의 상호작용, 항원제시 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염증반응 동안, FRC는 면역세포들의 면역반응을 조절하기 위해 국부적이며 분비성 물질을 통해 면역반응을 조절하고 있다. 본문 면역반응 조절을 위해 FRC가 면역반응의 setup, support 그리고 suppress 단계로 3부분에 관여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전체적으로 FRC는 T 세포생물학적 효율성 증대를 위해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FRC는 식작용을 통해 선천성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FRC는 림프절에서 면역반응의 immune gate-keepers로써 위치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으로 FRC는 선천성면역과 적응면역의 조절기능에 대한 내용으로 설명하다. 이러한 협력적 피드백 루프는 염증반응 동안 림프절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인진추출물이 lipopolysaccharide주입에 의한 흰쥐 간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혈청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영향 (The Serum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n the Anti-infammatory Effect of Aqueous Extract from Artemisia capillaris in the Liver of Lipopolysaccharide-injected Rat)

  • 길영기;이준혁;최병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5-220
    • /
    • 2004
  • 인진추출물의 LPS에 의한 흰쥐 간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혈청학적, 조직병리학적, 면역조직화학적으로 분석하였다. 혈청 GOT, GTP, LDH 는 LPS에 의해 증가하며 이는 인진추출물의 전처리에 의해 저해되며 특히 150 mg/kg 투여군의 GOT와 50 mg/kg 투여군의 LDH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을 보였다. 조직병리학적으로 보아 인진추출물의 전처리는 LPS에 의해 나타나는 혼탁종창, 수포성변성, 염증성 세포침윤, Kupper세포반응 등을 저해하였다. 염증관련 인자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으로 보아 인진추출물의 전처리는 LPS주사군의 NF-kBp65, TNF-$\alpha$, COX-2 면역반응보다 약한 반응을, I-kB$\alpha$는 LPS주사군보다 강한 세포질내 면역반응을 보였다. 이로 보아 인진추출물은 LPS에 의한 간손상에 대해 유효한 기능을 가지며 이에 NF-kB를 비롯한 염증관련 단백질의 발현이 작용함을 알 수 있다.

4050 멋지게 - 참을 수 없는 피부의 가려움! 겨울철 '건선' 극복 대작전

  • 조미나
    • 건강소식
    • /
    • 제37권1호
    • /
    • pp.24-26
    • /
    • 2013
  • 건선은 신체 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겨 피부에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질병으로 평소 건강관리를 소홀히 해 면역력이 약해지면 나타나기 쉽다. 보통 바르는 연고로 치료하지만 심할 경우 자외선 치료와 함께 고가의 면역 억제 주사가 필요한 악성 질환이다. 원인과 동반질환, 효과적인 예방법을 알아보았다.

  • PDF

신규항암제 DA-125의 독성연구

  • 정세영;김옥진;강경구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90-190
    • /
    • 1994
  • 아급성독성시험 : DA-125를 1.0, 0.2, 0.04 mg/kg/day의 용량으로 4주간 정맥내투여시 고용량군에서만 세포분화가 빠른 골수, 비장, 흉선 등의 장기에서 독성이 나타났으며 중간 및 저용량군에서는 독성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2)항원성시험 : DA-125는 단독 또는 면역보조제(CFA)와의 혼합감작에 의하여 능동전신성 또는 수신피부 아나필라시스를 일으키지 않았으며 면역확산법에 의해서도 항체가 확인되지 않았다. 면역독성시험에서 DA-125는 흉선, 비장의 위축과 임파구중식억제를 나타냈으나 그 정도는 DXR보다 경미하였다. 3)혈완장해시험 : 0.4%의 DA-125 용액은 토끼의 이개정맥내 정맥주사 및 저류시에 혈전형성이나 염증반응 등의 혈관장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0.2%의 DXR용액은 약한 염증반응을 보였다.

  • PDF

미세전류치료가 아주반트 유도 류마티스관절염 유발 흰쥐의 인터루킨-6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current Therapy on Interleukin-6 Expression in Adjuvant Induced Rheumatoid Arthritis Rat Model)

  • 이현민;이상열;장종성;이명희;강종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51-558
    • /
    • 2010
  • 연구목적 : 미세전류 자극이 아주반트로 류마티스 관절염을 유발한 실험동물의 염증반응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동물의 발허리발가락관절내 염증반응 정도를 나타내는 인터루킨-6(interleukin-6)의 발현과 핫플레이트(hot plate)를 이용한 발도피지연시를 측정하여 미세전류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실험동물은 무작위로 대조군(n=18)과 미세전류를 적용한 실험군(n=18)으로 구분하였고, 각 군당 6마리씩 1일군, 7일군, 14일군으로 배정하였다. 류마티스 관절염 유발후 1일, 7일, 14일에 모든 실험동물의 열통각 역치를 나타내는 발도피지연시와 발허리발가락관절내 인터루킨-6의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각 집단 내의 기간에 따른 발도피지연시와 인터루킨-6의 면역반응성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분석으로는 Duncan의 다중범위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주반트 주사 1일후,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인터루킨-6 면역반응성과 발도피지연시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2) 인터루킨-6 면역반응성은 아주반트 주사 7일, 14일 후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5). 3) 발도피지연시는 아주반트 주사 7일, 14일 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5). 결론 : 이상의 결과로부터, 미세전류 자극이 아주반트로 유발된 류마티스관절염 모델에서 활액 조직내 염증반응을 감소시키고 열통각역치는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간 내생 레트로바이러스(Human Endogenous Retrovirus, HERV)의 염증반응 조절 기작 (Mechanism of Human Endogenous Retrovirus (HERV) in Inflammatory Response)

  • 고은지;차희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771-777
    • /
    • 2021
  • 인간 내생 레트로바이러스(Human Endogenous Restrovirus, HERV)는 수백만년전 인간의 유전체에 삽입되었으며 이후 오랜 세월을 거치며 재조합, 결실 및 돌연변이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더 이상 활성화된 바이러스로 역할을 하지 못하고 감염되지 않는다. 하지만 HERV는 최근 연구들은 HERV 유래 인자들이 실제 생리현상 및 암을 비롯한 특정 질환에 관여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HERV와 관련된 여러가지 생리 현상 중 염증반응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HERV는 류마티스, 다발성 경화증,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쇼그렌 증후군 같은 자가면역질환을 비롯한 여러 염증질환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HERV의 염증 조절 기작으로는 HERV 유래 인자들이 비특이적 선천성 면역과정을 유발할 가능성과 HERV 유래의 RNA와 단백질이 특정 수용체를 통해 선택적 신호전달기작을 유발할 가능성을 고려 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떠한 방식으로 잠재되어 있던 HERV가 염증반응에서 활성화 되는지 또한 HERV와 관여된 인자들과 신호기작들이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등 HERV의 인자들이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기작에는 아직 많은 것들이 밝혀지지 않아 질병 발병에 대한 연구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리뷰에서는 HERV 관련 자가 면역질환을 소개하고 염증반응 조절 기작에 관한 HERV의 분자수준에서의 작용 메커니즘을 제안 하고자 한다.

비만 환경 내 면역세포 활성화 표현형의 변화 (Phenotype Changes in Immune Cell Activation in Obesity)

  • 박주휘;남주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95-303
    • /
    • 2023
  • 면역 체계와 대사 체계는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면역 반응과 대사 조절은 연관성이 높아, 정상적인 대사가 교란되면 대사 질환이 발생하며, 면역 반응에도 변화가 발생하였다. 마찬가지로, 비만은 면역 반응과 높은 관련이 있다. 에너지 대사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 제2형 당뇨병, 지방간 질환, 동맥경화증, 고혈압 등의 대사 질환과 관련이 있다. 알려진 바로는, 비만은 낮은 수준의 염증이 만성화된 상태가 특징이다. 비만 환경에서, 면역세포의 미세 환경은 대식세포, 자연살해세포, T세포 같은 면역세포의 독특한 활성화 표현형에 의해 염증성이 되었다. 또한, 면역 세포는 세포 간의 기전, 사이토카인을 매개하는 기전을 통해 상호작용하여 비만으로 인한 염증 반응을 강화한다. 이러한 현상은 기존의 췌장 리파아제나 알파-아밀라아제 같은 체내 효소의 억제나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를 표적으로 하는 일반적인 비만의 약리학적 치료 외에 면역세포 활성화 조절을 표적으로 하는 비만의 약리학적 치료 전략을 시사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식세포, 자연살해세포, T세포의 활성화 표현형과 비만 환경 내이들의 양상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확인된 면역세포의 활성화 조절을 통한 비만을 완화하는 약리학적 물질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Cytokines로 유방면역 증가

  • 손봉환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29권11호
    • /
    • pp.641-645
    • /
    • 1993
  • 소 유방염에서 cytokine의 역할연구는 이제 시작단계이다. 근래 시험에서는 재결합 cytokine은 실세포 증가와 염증반응의 조절에 의하여 강화된 세균의 정화능력을 유방에 준다. 그리고 효과인자 세포의 보충결합 효과를 통하여 유방염의 결과를 조절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현재 앞서가는 연구자들의 도전은 세균의 병원성 증가, 숙주반응이 유선에서 병원균 제거 요구 그리고 cytokine이 이들 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기전, 이들 사이의 상호기전을 더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 분야에서 앞으로의 발전은 시험보다 야외상태에서 전달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효과적인 정보의 증가를 위하여 우리의 관심이 더 많아야 하는 것이고, 유선면역기능 조절이 소 유방염 관리를 위하여 앞으로 cytoki-ne의 치료응용에 큰 잠재력을 제시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