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메타언어적 기능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nalysis of Problem-Solving Protocol of Mathematical Gifted Children from Cognitive Linguistic and Meta-affect Viewpoint (인지언어 및 메타정의의 관점에서 수학 영재아의 문제해결 프로토콜 분석)

  • Do, Joowon;Paik, Suckyoo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2 no.4
    • /
    • pp.223-237
    • /
    • 2019
  • There is a close interaction between the linguistic-syntactic representation system and the affective representation system that appear in the mathematical proces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athematical conceptual system is fundamentally metaphoric, the analysis of the mathematical concept structure through linguistic representation can help to identify the source of cognitive and affective obstacles that interfere with mathematics learning.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oblem-solving protocols of mathematical gifted children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anguage and meta-affec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ext and metaphor they use an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meta-affect. As a result, the behavior of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differed according to the success of problem solving. In the case of unsuccessful problem-solving, the use of metaphor as an internal representation system was relatively more frequent than in the successful case. In addition, while the cognitive linguistic aspects of metaph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blem-solving, meta-affective attribut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external representation of metaphors.

Generation of Class MetaData Based on XMI (XMI기반 클래스의 메타데이터생성)

  • Lee, Sang-Sik;Choi, Han-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2
    • /
    • pp.572-581
    • /
    • 2009
  • Study on the class using XMI Meta model and XML MetaDats ha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method of Data creation which is widely used. Most of MXL System are focusing on the editor funcition, Database connection and Generation of Markup language. Unlikelly, however,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creation of Markup language of Class MetaData which are extracted from MXI data modedl. In addition to that, the attribute of unit element within the cla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es within the model were set to be given and expressed respectively. For the generation of Markup language, XML schema was used to declare the detail data type.

Developing a dialog system based on a meaning base for intel1igent traffic information serivce (지능형 교통정보 서비스를 위한 의미베이스 기반 대화시스템의 개발)

  • Oh, Young-Jin;Chang, Moon-Soo;Kang, Sun-M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11a
    • /
    • pp.253-256
    • /
    • 2005
  • 언어는 단순히 인간의 의사소통의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사고, 추론, 판단 등의 지적활동의 도구로서 활용된다. 컴퓨터에서는 인간의 언어를 사용하여 인간과 유사한 지적활동을 실현하고 자 하는 연구로 일상언어 컴퓨팅(everyday language computing)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상언어 컴퓨팅을 실현하는 한 예로 교통정보 서비스를 위한 대화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시스테믹 기능문법(Systemic Functional Grammar: SFG)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발화를 3개의 메타기능을 통하여 의미를 분석하고, 메타기능으로 표현된 의미로부터 시스템의 발화를 생성한다 기존 교통정보 서비스는 DB의 질의검색과 일률적인 정보제공이 일반적인 것에 비해, 제안하는 대화시스템은 대화의 의미 속에 포함된 사용자의 의도 및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서비스만족도를 향상 시키는 교통정보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웹과 연동되는 VXML(Voice Extend Makeup Language)을 대화시스템에 적용함으로서 실용적인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였다.

  • PDF

Exploring Enhancing Interaction for Foreign Learners e-PBL Using Meta-verse (메타버스를 활용한 외국인 학습자의 e-PBL 상호작용 강화 방안)

  • Ko-Eun Song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4 no.3
    • /
    • pp.555-563
    • /
    • 2022
  • This study explor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e-PBL by using metaverse tools to strengthen PBL interactions among foreign learners. The university's 3-hour, 15-week PBL subject was systematically reorganized to satisfy the needs of online groups of students. Metaverse technology was also used as a tool for interaction in the process of solving practical problems closely related to our social issues through e-PBL. e-PBL lectures are composed of foreign learners from various countries. More than half of the 43 participating students are from 11 different nations. Learners in an e-PBL class are able to partake in task-based learning activities through the use of the metaverse. This qualitative study identified the metaverse is an effective communication tool which transcends language and nationality. It is also a unique space where both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team members are possible online. This study can demonstrate the positive effects of e-PBL teaching methods. By using the metaverse's various tools of interaction to improve communication among foreign learners whose Korean levels are not perfect, we can create a digital space which more closely resembles an offline, interpersonal learning experience.

A Study of Design Pattern Class's Metadata based XML (XML기반 디자인패턴클래스의 메타데이터 연구)

  • Lee, Don-Yang;Song, 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17-220
    • /
    • 2004
  • 클래스정보에 대한 속성의 추출 및 분류에서 주로 추출된 클래스의 정보가 단지 원시코드의 코멘트에서 추출되었기 때문에 클래스에 대한 정확한 기능 및 용도에 대한 Document가 부족하여 실제로 이용자가 최적의 부분을 추출하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것들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객체에 대한 클래스뿐만 아니라 패턴모델의 설계에서도 객체지향모델링 방법을 이용하여 메타모델과 메타데이터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XMI 메타모델로 정의된 디자인패턴의 세부적인 클래스의 메타데이터의 생성에 중점을 두었으며, 마크업언어로 XML-스키마 형식을 이용하여 심플타입(simple type)과 콤플렉스타입(complex type)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메타데이터 엘리먼트 단위영역별로 마크업언어를 생성하여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효과적인 재사용을 할 수 있었다.

  • PDF

The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Analysis of Text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y Curriculum Revision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 과학 교과서 텍스트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분석)

  • Maeng, Seung-Ho;Kim, Hye-Ree;Kim, Chan-Jong;Lee, Jeong-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7 no.3
    • /
    • pp.242-252
    • /
    • 2007
  • This study analyzed the science texts covering 'air pressure' and 'wind' in common with every curriculum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7^{th}$ curriculum in terms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Important findings reveal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aspect of ideational metafunction, the texts including much scientific information were reduced by curriculum revision. Most forms of information were 'definition' and 'fact' rather than 'principle'. In the aspect of interpersonal metafunction, the gap between students and texts were getting closer and the social position of students were concerned gradually by curriculum revisions. In the aspect of textual metafunction, the ratios of technical terminology and notation were reduced, however the amount of texts in science textbooks were reduced as well. While the subject was presented in the early texts, it was omitted as time went on. The consistency of subject and theme were reduced in the $7^{th}$ curriculum remarkably.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Interaction Model for Implementation of Richmedia Contents (리치미디어 컨텐츠 구현에 있어 상호작용 모델)

  • 김민수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7 no.1
    • /
    • pp.201-210
    • /
    • 2004
  • The web as a sign synthesis text has become a kernel for incorporeal knowledge as well as a communication model through the ubiquitous environment all over the world. The evaluation of the communication model, which is essential for the information structure, acts as an important basis on determining the quality of the web contents.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the progress of the communication of semantic meaning in the construction of the information structure was analyzed in views of the form, the function, and the emotional effect of the rich media contents of the web. The transformation process from the initial access elements through the final selection elements was suggested as the communication model and the effects of the function of the information in the web on the process was assessed by the engineering and linguistic models of Shannon, Weaver, and Roman Jakob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nvironments such as the speed, the memory space, data compression technique, and data filtering have influences on the web contents express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communication model in connection with the environments is the basis in the information structure.

  • PDF

A study on Web Services Topology (웹 서비스 토폴로지에 관한 연구)

  • Park Dongsik;Kim Hangkon;Jung Ran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4.05a
    • /
    • pp.261-264
    • /
    • 2004
  • 최근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이 웹 기반의 컴퓨팅 환경으로 변화함에 따라 웹 서비스 모델로 발전해왔다. 웹 서비스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기술을 사용하여 서비스간에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플랫폼과 구현 언어에 대한 의존성을 제거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환경에서 웹 서비스들이 개발되거나 개발 중에 있다. 기업에서는 표준화된 상호작용을 사용하여 작은 단위의 웹 서비스를 큰 단위의 웹 서비스로 통합하여 사용과 개발이 용이한 비즈니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방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웹 서비스의 위상은 통합을 위한 메타 모델의 기능과 웹 서비스의 다양한 구현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상에서 공급자 측면에서 제공되는 웹 서비스를 통합하기 위한 위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웹 서비스를 논리적으로 계층화하여 정의하고, 논리적 계층 모델을 기반으로 웹 서비스 메타 모델을 생성한다. 위상의 다양한 구성은 메타 모델을 기반으로 제시된다. 마지막으로 웹 서비스 통합에 대한 사례연구를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opology for Web services Integration (웹 서비스 통합을 위한 위상에 관한 연구)

  • 박동식;신호준;김행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376-378
    • /
    • 2004
  • 최근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이 웹 기반의 컴퓨팅 환경으로 변화함에 딸라 웹 서비스 모델로 발전해왔다. 웹 서비스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기술을 사용하여 서비스간에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플랫폼과 구현 언어에 대한 의존성을 제거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환경에서 웹 서비스들이 개발되거나 개발 중에 있다. 기업에서는 표준화된 상호작용을 사용하여 작은 단위의 웹 서비스를 큰 단위의 렘 서비스로 통합하여 사용과 개발이 용이한 비즈니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할 방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웹 서비스의 위상은 통합을 위한 메타 모델의 기능과 웹 서비스의 다양한 구현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상에서 공급자 측면에서 제공되는 웹 서비스를 통합하기 위한 위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웹 서비스를 논리적으로 계층화하여 정의하고, 논리적 계층 모델을 기반으로 웹 서비스 메타 모델을 생성한다. 위상의 다양한 구성은 메타 모델을 기반으로 제시된다. 마지막으로 웹 서비스 통합에 대한 사례연구를 제시한다.

  • PDF

XML-Based Component Specification (XML기반의 컴포넌트 명세화)

  • Kim, Young-Mi;Yim, Do-Yeon;Oh, Su-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997-1000
    • /
    • 2001
  •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의 대중화 시대가 열리면서 소프트웨어의 구조도 점차 복잡해짐은 물론 크기도 방대해지고 있으나 S/W 개발 기술 발전 속도는 매우 더디어 소프트웨어 개발과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로 인해 소프트웨어 위기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소프트웨어 생산성, 품질,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부품화와 조립의 특성을 지닌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이 제시되었다. 컴포넌트 명세에 있어 기존에 이미 많은 명세 언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은 나름대로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 구현에 있어 특정 언어에 의존성이 강하며, 표현 능력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 요구사항에 대한 설명, 컴포넌트의 기능, 그리고 컴포넌트 구조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제공하는 정형화된 명세 언어에 대한 연구가 현재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이 컴포넌트 명세 기법에 대한 표준이 없고, 명세서에 대한 데이터 모델링 방법 및 표현언어에 대한 기준이 없이 컴포넌트의 구문적 측면만을 고려한 개발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명세서를 규격화하고 규격화된 명세서를 표준 메타 언어인 XML 기반으로 모델링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