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메타버스의 인공지능

Search Result 4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Privacy-preserving Proptech using Domain Adaptation in Metaverse (메타버스 내 원격 부동산 중계 시스템을 위한 부동산 매물 영상 내 민감정보 삭제 기술)

  • Junho Kim;Jinhong Kim;Byeongjun Kang;Jaewon Choi;Jihoon Kim;Dongwoo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11a
    • /
    • pp.187-190
    • /
    • 2022
  • 본 논문은 메타버스 등 인공지능 연계 증강/가상현실 부동 중계 플랫폼에서 부동산 영상 기반 매물 소개 시스템 구축에서 사생활 및 개인정보가 영상에 담기게 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기에 부동산 영상 내의 개인정보 및 민감 정보를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검출하여 삭제해주고 복원해주는 인공지능 기술 연구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한국형 부동산 내 민감 object 를 정의하고, 최신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 기반 민감 object detection 알고리즘을 연구 개발하며, 영상에서 삭제된 부분은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물체가 없는 실제 공간영상으로 복원해주는 영상복원 기술도 연구 개발하였다. 한국형 부동산 환경 (영상 촬영 조도, 디스플레이 스타일, 주변 가구 배치 등)에 맞는 인공지능 모델 구축을 위하여, 자체적으로 한국 영상 database 구축 및 Transfer learning for target domain adaptation 을 진행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환경에서 98%의 정확도와 challenge 환경에서 (occlusion 빛 반사, 저조도 등) 81%의 정확도를 보였다. 본 기술은 Proptech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 기반 온라인 중계 서비스 기술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기획되었으며, 특히 메타버스 부동산 중계 플랫폼의 활성화를 위하여 사생활 보호 측면에서 필요한 중요 기술을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연구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Chinese metaverse status (중국 메타버스 산업정책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 In-Suk J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6
    • /
    • pp.1151-1157
    • /
    • 2023
  • It raises questions about how China, dominated by the socialist system and the Communist Party, will change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 predict how the Chinese socialist system will change in the meta-world where SNS is developed, communication is conducted within the meta-verse world,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operating in many fields. In order to do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state and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policy, as well as the metaverse policy proposed by the Chinese state. The development of the metaverse was emphasized at the 5th session of the 13th National People's Congress in 2022, and in May of that year, the Central Party School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published the <Metaverse Industry Manual for Party and Political Officials>. Therefore, in this paper, we will analyze China's metaverse policy and foreca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metaverse industry that China wants to pursue.

A Study on the Suitability of Scripting Language in Metaverse Development (메타버스 개발과 스크립팅 언어 적합성에 관한 연구)

  • Hwa-Seon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299-300
    • /
    • 2023
  • 최근 인공지능의 현실화와 더불어 프로그래밍 언어인 Python의 독주가 한창이다. 그렇다면 과연 메타버스 시대가 현실화 된다면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가 대세가 될 것인가. 현재 메타버스 플랫폼인 로블록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루아스크립트, 제페토 월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Typescript에서 착안해서 미래의 메타버스 개발에 공용으로 사용될 효율적인 언어를 살펴보았다.

  • PDF

Study on future advertising chang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averse (인공지능과 메타버스 발전에 따른 미래 광고 변화에 관한 연구)

  • Ahn, Jong-Ba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6
    • /
    • pp.873-879
    • /
    • 2022
  • In the future, AI and the metaverse are becoming so powerful that their application areas and influences are swallowing up the world. The advertising field is no exception, and it is becoming more important to predict, analyze, and strategize these future changes. In order to study the future change of advertising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averse, literature research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averse technology and the resulting change in the advertising environment, in-depth interviews with future and advertising experts, and Delphi technique research method I want to study change. First,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opinions of exper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o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averse technology and the changes in the advertising sector in the post-coronavirus era of civilizational transformation. In addition, the Delphi technique is used to determine how important the change is by future advertising technology area, future advertising media area, future advertising form area, future advertising effect area, future advertising application area, and future advertising process area, and at what point in the future it will change. In addition, we want to study how the future advertising form will change in detail. Also, based on this, we would like to propose a countermeasure for the advertising industry.

Development of a Game Content Based on Metaverse Providing Decision Tree Algorithm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을 위한 의사결정나무 알고리즘 교육을 제공하는 메타버스 기반 게임 콘텐츠 개발)

  • Hyun, Subin;Kim, Yujin;Park, Chan 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4
    • /
    • pp.106-117
    • /
    • 2022
  • In 2021, AI basics were introduced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re are many worries that the problem of utilization-oriented education will be repe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rather than the principles that occurred when ICT was applied to education in the past. Most of the existing AI education platforms focus only on the use of AI.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are difficulties in learning about the process by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derives results and learning the princi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Recently, as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metaverse has become a hot topic, research has been started to improve learning achievement by arousing students' immersion and interest. This research developed educational game contents about decision tree algorithm using metaverse as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be used in middle school AI education. By applying games to education, it was intended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immersion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o increase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this paper,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difficulty, and level of interest were analyzed for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the developed game content. Based on this, a future principle-orient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method was suggested.

메타버스 보안 위협 요소 및 대응 방안 검토

  • Na, Hyunsik;Choi, Daeseon
    • Review of KIISC
    • /
    • v.32 no.4
    • /
    • pp.19-32
    • /
    • 2022
  • 메타버스는 인공지능, 블록체인, 네트워크, 가상 현실, 착용 가능한 기기 등 수많은 현대 기술들이 발전하면서 서로 융합되어 생성된 대규모 디지털 가상화 세계이다. 현재 메타버스 기반 다양한 플랫폼들이 대중화되면서 산업계 및 연구계에서는 메타버스의 발전에 주목하고 있으며, 긍정적인 시장 전망을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메타버스 세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 요소 및 대책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메타버스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컨텐츠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존 IT 환경에서보다 방대하고 예민할 수 있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요구하며, 여러 IT 기술들이 결합된 시스템인 만큼 고려해야 할 보안 위협 요소들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 아키텍처를 소개하고, 사용자의 이용 환경, 가상 환경 및 디지털 트윈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 요소들에 대해 제시하면서, 이에 대해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자, 사용자 및 관련 제도 관리자들이 고려할 수 있는 대책들에 대해 소개한다.

Computer Vision as a Platform in Metaverse

  • Iqbal Muhamad Ali;Ho-Young Kwak;Soo Kyun Ki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8 no.9
    • /
    • pp.63-71
    • /
    • 2023
  • Metaverse is a modern new technology that is advancing quickl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is technique from the perspective of computer vision as well as general perspective. A thorough analysis of computer vision related Metaverse topics has been done in this study. Its history, method, architecture, benefits, and drawbacks are all covered. The Metaverse's future and the steps that must be taken to adapt to this technology are described. The concepts of Mixed Reality (MR), Augmented Reality (AR), Extended Reality (XR) and Virtual Reality (VR) are briefly discussed. The role of computer vision and its applicatio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the future research areas are discussed.

메타버스의 진화에 따른 ID 관리 기술 현황

  • Jeong, Soo Yong;Seo, Chang Ho;CHO, in-Man;Jin, Seung-Hun;Kim, Soo Hyung
    • Review of KIISC
    • /
    • v.32 no.4
    • /
    • pp.49-59
    • /
    • 2022
  • 메타버스는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 세계를 초월한 디지털 세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버스는 현실 세계와 평행한 디지털 세계의 구축을 시작으로 블록체인(Blockchain), 인공지능(AI) 등의 기술과 고성능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기반의 높은 몰입감을 제공하여 현실과 상호 작용하는 디지털 세계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의 메타버스는 기존의 디지털 세계를 구축하고 활용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포함된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현실과 디지털 세계의 경계가 없는 초현실적인 세계로 발전할 것이다. 이러한 메타버스 발전의 뒤에는 많은 보안 기술들이 필요하며, 실제 개인의 프라이버시 문제 및 보안 위협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높은 몰입감을 제공하기 위해 이전보다 더욱 다양한 생체정보를 포함한 개인정보가 사용될 것이며, 이러한 데이터는 개인을 특정하는 ID(Identity)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개인정보에 대한 보안 위협은 더욱 다양해질 것이고, 동시에 안전한 개인정보 활용이 가능한 ID 관리 기술개발의 필요성도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의 개념과 함께 진화 과정을 제시하고, 메타버스의 진화에 따라 다양해지는 ID 관련 보안 위협 및 대응 기술을 분석을 통해 ID 관리 기술의 현황을 정리한다.

4차산업혁명과 게임이론에 관한 연구

  • Gwon, Chang-Hui
    • Journal of Integrative Natural Science
    • /
    • v.15 no.1
    • /
    • pp.49-53
    • /
    • 2022
  • 본 논문은 기존의 도시개발정책에서 경제적 관점에서 가치의 중심을 두었다면 4차산업혁명시대에는 서비스적 가치변환을 추구하고 있다. 시공간을 공유하는 사람 중심의 공간 서비스요, 가치의 용광로가 메타버스라고 한다면, 오징어게임과 같은 게임이론이 접목된 도시의 미래상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4차산업 기술과 서비스가 사회로 침투되면서 도시의 공간 인프라, 동산 부동산, 객체들을 물리적공간과 가상공간에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석이 개입된 각종 형태와 형식의 컨텐츠가 입체적으로 생동감을 얻게 되었다. 특히, 코로나19을 맞아 메타버스기반 서비스가 대중들에게도 접근하기 시작하면서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메타버스 시민의 역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하게 되었다. 4차산업혁명시대의 스마트도시, 메타버스와 게임이론을 연구하였다.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SW Education based on Metaverse Platform (메타버스 기반 협력적 소통 SW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Son, Jungmyoung;Lee, Sihoon;Han, Jeonghy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6 no.1
    • /
    • pp.11-22
    • /
    • 2022
  •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the change to blended learning and AI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non-face-to-face is accelerating, is based on the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future competencies by creating a collaborative SW education program on the metaverse platform that emerged by supplementing the problems through non-face-to-face. Twenty programs on how to design and create software were organized for small-scale elementary classes in the metavers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4C competency tool presented as future educational competency was selected, and homogeneity test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e SW education programs based on metaverse was effective in improving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kills,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SW education through blended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