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

Search Result 167, Processing Time 0.05 seconds

Design of a Multimedia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VR Authoring Tool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VR 저작도구의 설계)

  • Lee, Myeong Wo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 no.1
    • /
    • pp.86-92
    • /
    • 1996
  • Multimedia services through a network are getting more required according to the realization of B-ISDN construction globally. Business using the Internet will become popular, and so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s including telemarketing systems will be developed competitively. VR (Virtual Reality) will help such systems make more realistic and valuable. ln this paper, we present an interactive VR authoring tool and a client/server based multimedia information service system. The VR authoring tool serves an interface with the system when developing its applications.

  • PDF

BIFS Information Generation about Scene of MPEG-4 contents (MPEG-4 컨텐츠의 씬에 대한 BIFS 정보 생성)

  • Bae, Su-Young;Kim, Sa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17-22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MPEG-4 컨텐츠 개발에 있어서 장면 그래프 표현에 소비되는 노력을 절감하기 위해 사용자에게는 기존 멀티미디어 저작도구의 직관적인 저작 환경을 제공하고, 내부적으로 MPEG-4 장면 그래프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직관적인 저작 환경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매크로미디어의 디렉터와 플래쉬로부터 도입했으며, 저작 환경은 시청각 작업 공간, 시간 작업 공간, 애니메이션 작업 공간으로 구성된다. 작업 공간에 저작된 내용은 MPEG-4 장면 그래프 생성 계층과 장면 그래프 구성 규칙을 통해 BIFS 코드로 생성된다.

  • PDF

REL License Edit tool development for right integration use of multimedia resources (멀티미디어 자원의 저작권 통합 운용을 위한 REL 라이선스 저작 툴 개발)

  • 송병규;임산송;최종근;정회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4.05b
    • /
    • pp.221-224
    • /
    • 2004
  • By effect of infinity internet market copyright connection skills for extent extension of digital contents and profit rescue through this impoliticly research and develop. Contents protection techniques, management techniques, circulation techniques etc. are becoming development by contents circulation company and developers but that there is no standard as problem advances soul between copyright managerial system by development competition and in reciprocity compatibility tell. ISO MPEG commission arrived that develop MPEG-21 framework to solve problem that do that is to copyright management's opacity province that non efficiency and standard of contents distribution structure that do that is by redundancy investment are not. Data structure in Framework interior is doing and propose copyright expression language of XML base of REL to establish copyright connection data standard and normalized based on no XML. But, a tool that can be easy as must understand whole framework and can have problem in to edit REL and create copyright document fast was required. In this paper, research about method that edit REL document and develop and spend a edit tool that tan be that expressing intuitionally.

  • PDF

웹기반에서의 멀티미디어 저작도구개발에 대한 기술동향

  • 김태석;이춘근
    •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5 no.1
    • /
    • pp.87-95
    • /
    • 2001
  • 정보기술 기반의 사회를 맞이하는 시점에서 멀티미디어를 기반으로하는 정보화 사회(Information Society)와 지식기반 사회(Knowledge-based Society)는 현재와 미래를 규정하는 거시적 패러다임으로 인식되고 있다. 정보 기술 사회(Information Technology Society)로 정착해 가는 시점에 처해 있는 우리 사회는 농경 사회와 산업 사회의 논리로는 도저히 해석되지 않은 각종의 시스템 시뮬레이션 모델들이 끊임없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것이 실제로 실현되는 가히 혁명적인 상황 속에 놓여 있다.(중략)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aption Processing System for Multimedia Lecture Authoring (멀티미디어 강의 저작을 위한 캡션처리기의 설계 및 구현)

  • 정상준;최용준;김재일;하성룡;김종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229-232
    • /
    • 2000
  • 인터넷이 보편화되고, 멀티미디어 처리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교육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강의를 저작하고 재생하는 원격강의 도구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강의전달의 효율성보다 슬라이드 자료를 기반으로 한 단순한 강의음성 녹음과 드로잉을 기록하고 재생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강의의 정확한 전달이나 부가적인 정보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의의 보다 정확한 전달 및 부가정보 전달을 처리하여 면대면 효과가 높은 멀티미디어 강의저작을 지원하기 위한 캡션처리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한 캡션처리기는 텍스트로 입력된 강의내용을 전달하거나 여러 가지 메시지를 학습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하이퍼링크기능을 지원하여 특정 홈페이지로의 자동접속을 지원하여 다양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장점이 있다.

  • PDF

The Implementation of 3D e-Catalog using VRML (VRML을 이용한 3차원 전자 카탈로그 저작도구 설계 및 구현)

  • 김남규;김대흠;김영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280-282
    • /
    • 2001
  • 인터넷 상거래의 폭발적 증가로 인터넷에서는 전자 카탈로그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사이트는 주로 2차원 서비스만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현실에 가까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3차원 서비스가 요구된다. 이러한 3차원 멀티미디어 컨텐츠 표현 언어로는 VRML이 대표적이나 기존의 VRML 저작도구는 전자 상거래에서 사용되는 전자 카탈로그를 제작하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구현한 VRML을 이용한 3차원 전자 카탈로그 저작도구는 상품을 나타내는 VRML과 데이터 베이스를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현실적인 상품이미지와 상세한 상품 정보를 제공한다.

An online storytelling authoring and viewing tool using user defined sketch (사용자 스케치를 이용한 온라인 이야기 저작 및 감상 도구)

  • Kim, Jeong-Sik;Lee, Eun-Woo;Nam, Y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79-182
    • /
    • 2002
  • 웹을 저작 공간으로 사용한 Wiki Wiki Web[4]은 텍스트 자원을 사용한 복잡하고 다양한 이야기의 표현이 가능하며 실시간은 아니지만 시분할 방식의 이야기 공동 저작과 감상을 지원한다. 하지만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여 그림일기와 같은 그림과 텍스트 내공이 복합된 이야기를 저작하는 경우, 저작자는 텍스트 자원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그림이 표현되어야 하는 부분을 표현할 수 없으며 공동저작을 손쉽게 하는 자동화 도구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저작도구의 사용에 대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그림일기나 동화 등의 다양한 형태의 이야기를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자원들을 사용하도록 하고 손쉬운 이야기를 구성하도록 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저작도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저작자가 온라인상에서 직접 그린 스케치 영상을 사용하여 이야기의 배경과 캐릭터를 만들고 그것을 이야기 저작 소재로 사용하도록 하는 배경 및 액터 생성도구를 제공하고 다양한 형태의 이야기를 저작자가 손쉽게 표현하도록 하는 이야기 구성의 자동화 도구를 제공하면서 여러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이야기 저작과 감상에 공동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저작된 결과를 애니메이션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도구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An Application of Timeline Approach for Authoring of Interactive Documents (인터랙티브 문서의 저작을 위한 타임라인 기법의 응용)

  • 김경덕;김희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445-44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및 사용자간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인터랙티브 문서의 저작을 위한 타임라인 기법을 응용 방법을 기술한다. 기존 대부분의 멀티미디어 저작도구는 타임라인 모델을 이용하지만 이벤트를 기술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제약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타임라인 기법을 확장하여 인터랙션에 의한 타임라인의 확장과 반복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응용 기법의 구체적인 구현은 개발 중이며, 응용 분야로는 SMIL 2.0 문서 및 MPEG-4 문서 저작이다.

  • PDF

A BIFS Generation Module in an MPEG-4 Authoring System (MPEG-4저작 시스템에서 BIFS생성 모듈)

  • Bae, Su-Young;Kim, Sang-Wook;Mah, Pyeong-Soo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8 no.5
    • /
    • pp.520-529
    • /
    • 2002
  • Though BIFS is a complex description language that represents MPEG-4 content as text or bit streams, most traditional MPEG-4 content authoring tools are developed for a BIFS expert. Before using these tools, many authors must invest much time and energy in acquiring knowledge of BIFS.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manner for saving these efforts. Our proposal supplies the convenient user interface of traditional multimedia authoring tools for MPEG-4 authors and interprets the authored information and transforms it into BIFS. In our user interface, the author generates the minimal authoring information requested for generating BIFS; the BIFS generation module then transforms the information into BIFS format using predefined BIFS construction rules. The resulting BIFS consists of the Scene Tree and the Object Descriptor and Route; they are used for constructing MP4 standard files by mixing with the Elementary Stream.

Authoring of e-Catalogs Using SMIL (SMIL을 이용한 e-Catalog의 저작)

  • Hong, Jae-Hyun;Choi, Ok-Kyung;Kang, Hyun-Chul;Han, Sa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71-174
    • /
    • 2001
  • 인터넷의 발전과 전자상거래의 대중화로 인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상품의 상세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여 상품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e-Catalog들은 상품의 정보를 단순한 텍스트나 이미지 중심으로 제공하고 있어서 상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한계를 지니고 있고 e-Catalog 저작자 또한 다양한 미디어 데이타를 이용하여 e-Catalog를 저작하기란 쉽지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e-Catalog에서 주로 사용되던 텍스트 및 이미지 외에 오디오나 동영상과 같은 동적인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폭넓게 활용하는 e-Catalog 저작 도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XML의 한 응용 분야인 동기화 멀티미디어 통합 언어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을 이용하여 보다 진보된 e-Catalog를 쉽게 저작할 수 있는 e-Catalog 저작 방법 및 사례에 대해 기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