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맹장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7초

이소말토올리고당과 프락토올리고당의 물리적 성질 및 생리학적 특성 (Phys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Isomaltooligosaccharides and Fructooligosaccharides)

  • 김정렬;육철;권혁건;홍성용;박찬구;박경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0-175
    • /
    • 1995
  • 이소말토올리고당(IMO)의 물리적 특성과 생리적 특성에 관하여 프락토올리고당(FO) 및 설탕과 비교 연구하기 위하여 열 안정성, pH 안정성, 수윤 보습력 및 점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올리고당이 첨가된 사료를 어린 쥐에 경구투여 사육하면서 체중 변화, 분변 함수율 및 사육후의 맹장 무게 등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사육한 쥐의 배설물로부터 전체 장내 세균 중 Bifidobacterium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점도와 수분보습력에 있어서 두 올리고당은 설탕보다 높았으며 두 올리고당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열 및 pH 안정성에 있어서는 프락토올리고당은 열 및 pH에 불안정한 반면 이소말토올리고당은 pH3, $120^{\circ}C$에서 안정하였다. 어린 쥐의 사육 실험 결과 체중변화 및 사료 효율은 각 군 간에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고 분변의 수분 함유율은 이소말토올리고당이 가장 높아 변비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한편 프락토올리고당 투여구의 쥐에서 맹장이 평균 18% 정도 비대해졌다. 분변내 Bifidobacterium의 비율은 IMO 첨가 시료군에서 가장 높아 이소말토올리고당의 Bifidus균 증식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eramic 분말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맹장 및 배설물중 병원성 미생물의 수, 배설물충의 악취물질 및 난황중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eramic Powder on Laying Performance, Pathogenic Bacterial Count in Caecal Content and Excreta, Malodorous Substances in Excreta and Fatty Acid composition or Egg Yolk in Laying Hens)

  • 손장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1-268
    • /
    • 2005
  • 본 연구는 Ceramic분말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맹장 및 배설물중 병원성 미생물(E. coli, salmolella)의 수, 배설물 중의 악취물질$(NH_3,\;H_2S,\;VFA)$ 및 난황중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총 360수의 34주령의 산란계를 120마리씩 3처리구로 구분하여서 Ceramic 분말 $0.0\%$ (대조구), $0.4\%$$0.8\%$를 첨가한 사료로 6주 동안의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34에서 40주령의 산란계 사료에 $0.4\%$의 Ceramics 분말의 첨가는 생산성 향상, 장관내 E. coli 및 Salmonella 수가 감소되어 배설물 중의 $NH_3$ 및 VFA의 발생량 감소 및 난황중의 지방산 조성을 개선시킬 가능성이 인정되었다.

육계에 대한 복합 유기산제의 첨가급여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acy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Organic Acid Mixture in Broiler Chicks)

  • 김동욱;김지혁;김성권;강근호;강환구;이상진;김상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3호
    • /
    • pp.207-21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사료 내 복합 유기산제의 첨가급여가 육계 생산성, 맹장 미생물 균총, 혈액 특성 및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유기산의 성장촉진용 항생제 대체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일령 육계 수평아리(Ross$\times$Ross 308) 480수를 공시하여 4처리, 4반복, 반복당 30수씩 배치하여 5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항생제 무첨가구, 항생제 첨가구(virginiamycin 10 ppm+salinomycin 60 ppm)를 대조구로 하였으며, 시험사료에 유기산을 0.3% 및 0.5% 첨가하여 유기산 처리구를 두었다. 5주 종료체중, 증체량에 있어서 유기산 0.5% 처리구가 무항생제 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유기산 첨가 급여시 무항생제 처리구에 비해 사료 요구율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도체율 및 조직의 상대적 중량에서는 처리구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소장 중량 및 길이는 항생제 첨가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유기산 처리구와 항생제 무첨가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맹장 내 미생물 균총에 있어서 대조구인 항생제 첨가구와 유기산 처리구에서 맹장내 Coliform bacteria 및 Salmonella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유산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액 내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BUN, AST 및 ALT에 있어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Total protein 및 globulin 수치에 있어서는 항생제 첨가구 및 유기산 처리구가 항생제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albumin 수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로인해 항생제 첨가구 및 유기산 처리구의 혈청 내 albumin : globulin 비율이 항생제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WBC, heterophil, lymphocyte 및 스트레스 지표인 heterophil:lymphocyte 비율에 있어서 처리구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비장 조직내 IL-2 및 IL-6 mRNA의 발현양상에 있어서도 유기산 첨가급여에 따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복합 유기산제의 육계 사료 내 첨가급여는 육계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유해균의 성장 및 증식을 억제하여 장내 미생물 균총의 안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 조직 발달 및 혈액 성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Cobalt-60 γ-선 조사가 Eimeria tenella 의 면역원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γ-Irradiation from Cobalt-60 on Immunogenicity of Eimeria tenella)

  • 윤희정;강영배;장두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57-664
    • /
    • 1993
  • 우리나라 육계산업을 저해하는 중요한 질병중의 하나가 닭의 맹장콕시듐증이다. 그 병원체는 Eimeria tenella로서 병아리에 감염하면 증체저하와 폐사율이 높기 때문에 양계농가에 커다란 경제적 손실을 준다. 닭의 맹장콕시듐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몇가지 예방백신의 개발을 시도하여 왔으며 근래에는 재조합 DNA기법을 이용, Escherichia coli를 매체로 제조한 항원으로 닭에 방어력을 부여시키고자 하는 방법과 조기발육형원충의 작출법에 의하여 생산된 약독원충으로 면역을 부여하는 방법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나 아직 만족할만한 성과를 이루지 못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약독원충을 이용하여 닭 맹장콕시듐증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콕시듐증의 병원체인 E tenella에 Cobalt-60 감마선을 조사한 원충 또는 그 원충을 SPF병아리에 계대증식시켜 회수한 오오시스트로 병아리에 접종하고 체내발육상태와 병원성을 조사하였으며, 면역접종한 후 병원성이 강한 원충의 공격접종에 대한 방어효과를 관찰한 성적은 다음과 같다. 원충감염 닭의 생잔율, 증체량, 혈변도 및 병변도 등에 대한 효과에서 감마선 100Gy로 조사한 E tenella를 접종한 것이 가장 좋았으며, 접종량은 1대 계대한 오오시스트 약 10,000개를 접종한 것이 좋았다. 면역접종한 후 공격접종한 결과 계대원충접종군은 혈변도 및 병변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최대 오오시스트 배설수(OPG)는 103,900으로서 공격접종대조군의 1,658,900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으나 적혈구용적율은 계대원충접종군이 가장 높았다. 공격접종한 닭의 1주 및 2주 후의 증체량은 계대원충접종군이 2.6g 및 155.4g으로서 공격접종대조군의 -85.8g 및 63.6g보다 좋았으며, 사료요구율도 계대원충접종군이 3.28로서 공격접종대조군의 5.60보다 낮았다. 생잔율은 계대원충접종군이 100%로서 공격접종대조군의 87.0%와 비교하면 방어효과가 있었다. 계대원충접종군의 항콕시듐 지수는 70.5로서 공격접종대조군의 -81.9에 비하면 현저하게 높았다. 그러므로 맹장콕시듐 원충은 감마선 조사가 병원성을 저하시키고 계대수가 증가할수록 병원성은 약간 증가하지만 공격접종에 대한 방어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병원성이 있는 원충이 면역원성도 좋으며 앞으로 면역원성이 유지되며 병원성이 없는 원충의 선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연산오골계 위장관의 somatostatin cell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관찰 (An immunohistochemical observation on the somatostatin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Yǒnsan Ogol fowl)

  • 류시윤;조성환;이차수;준조 야마다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13
    • /
    • 1990
  • 연산오골계의 위장관에 존재하는 somatostatin cell의 분포상태와 출현빈도를 알아보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광학현미경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omatostatin cell은 유문부에 밀집하여 출현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선위의 복합선에서 다수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십이지장에는 소수가, 공장과 근위에는 드물게 분포하였으며, 회장 맹장 및 직장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somatostatin cell은 부위에 따라 그 분포양상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 PDF

옻나무 추출액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 김상호;손장호;이상진;최철환;나재천;이덕수;류경선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4년도 제21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11-112
    • /
    • 2004
  • 참옻나무 추출액이 산란계의 생산성과 계란품질, 장내미생물 변화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산란졔 Isa brown 57주령 480수를 공시하여 8주간 케이지에서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산란율, 산란량 및 사료요구율은 참옻나무 추출액 5000 ppm 급여구가 산란율이 무첨가 대비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추출물 급여구의 산란율이 증가하였다. 평균난중과 사료섭취량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난각강도, 난각후도는 추출액 급여구가 무첨가 대비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며, 난황색 및 Haugh unit은 전 기간에서 추출액 첨가구가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맹장내 유산균과 E. coli는 처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Salmonella는 무첨가 대비 추출액 급여구가 약간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영양소 소화율은 옻나무 추출액 급여구가 무첨가 대비 전반적으로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 PDF

옻나무 추출액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 김상호;손장호;이상진;최철환;나재천;이덕수;류경선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4년도 제21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09-110
    • /
    • 2004
  • 참옻나무 추출액이 육계의 생산성과 장내미생물 변화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일령 육계(Ross) 960수를 공시하여 평사에서 5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증체량은 추출액 급여구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 역시 차이가 없었다. 장내미생물 변화에서 맹장내 유산균, E. coli 및 Salmonella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소화율은 추출액 첨가구가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Anticancer Protein from King Cobra(Ophiophagus hannah) and Mechanism of Action

  • Ahn, Mi-Young;Lee, Byung-Mu;Park, Ho-Koon;Shik, Kim-Yeon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8-98
    • /
    • 1995
  • 독사 또는 곤충의 독 30여종을 대상으로 SNU-1 위암세포에 대하여 MTT test를 실시한 결과 세포 독성 활성이 제일 높은 킹코브라(Ophiophagus hannah)의 venom을 가지고 세포 독성 물질을 정제하였다.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와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로 정제한 4번째 peak만이 MTT/SRB test결과 IC$_{50}$ value 0.947$\mu\textrm{g}$/ml이었다.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한 단백질을 PRO-RPC로 더 분리하여 순수한 단일성분을 얻었으며 맹장암, 대장암, melanoma, fibrosarcoma 세포에 대해 독성을 확인하였고, 광학 및 전자 현미경에 의해 암세포의 분화와 성장이 억제됨을 재확인하였다. 또한 thymidine uptake asaay에서 암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고, 또한 EDTA, $Zn^{++}$, $Ba^{++}$ 첨가로 세포 독성 활성이 증가되었다. (중략)

  • PDF

흰생쥐에서 분리(分離)된 대장요충(大腸蟯蟲)과 맹장요충(盲腸蟯蟲)에 관(關)한 연구(硏究) (Prevalence of Oxyurid Pinworms, Aspiculuris tetraptera, Syphacia muris and S. obvelata in the Laboratory Albino Mice, Mus musculus alba)

  • 강영배;김상희;김동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5-91
    • /
    • 1987
  • For the development of the specific pathogen free (SPF) or germ free laboratory animals, a parasitological survey was carried out and numerous pinworms were collected from the large intestines and caeca of the host animal Mus musculus alba. The pinworms collected from the laboratory albino mice were identified as Aspiculuris tetraptera, Syphacia muris and S. obvelata and classified into the Family Oxyuridae, Superfamily Oxyuroidea, Order Ascaridida. The overall infection rate of the pinworms was revealed as high as 64.8%(A. tetraptera 31.0%; S. muris 32.4% and S. obvelata 22.5%) consisting of the single species infection 47.9%, the double species infection 12.7% and the triple species infection 4.2%.

  • PDF

새로운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 LB20304a가 생쥐의 맹장내 세균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New Fluoroquinolone LB20304a on Microflora of Caecum in Mice)

  • 안미정;백경숙;김무용;김인철;곽진환
    • 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43-346
    • /
    • 1996
  • The influence of LB20304a, a new fluoroquinolone antibiotic agent, on microflora of caecum in mice was compared with those of ciprofloxacin and piperacillin after administration of drugs for 5 days. Selective medium (CCFMA) was used for the isolation of Clostridium difficile from the specimens of mouse caecum. The emergence of C. difficile in mouse caecum induced by LB20304a was lower than that by ciprofloxacin or piperacillin at day 1 and day 7 after completing administration of dru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