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맥파 신호

Search Result 12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Human Sensitivity Evaluation using Plethysmogram (맥파를 이용한 감성 측정법에 대한 검토)

  • 신정상;민병찬;정순철;김상균;민병운;오지영;김유나;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427-432
    • /
    • 1999
  • 지금까지 감성측정은 심박 변화율, 피부저항, 피부온도 등의 생리 신호를 측정하고 그 신호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여 왔다. 심박 변화율, 피부저항, 피부온도와 마찬가지로 자율신경계 반응의 하나로써 맥파 또한 인간의 감성을 평가하는 한 파라미터가 될 수 있음을 예상하고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건강한 피험자 5명을 상대로 긍정과 부정 시각 자극을 각각 주어서 심박 변화율과 맥파의 생리신호를 측정한 후 그 동안 발표되었던 심박 변화율의 결과를 기준으로 맥파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균 R-R 간격의 변화율과 맥파의 최고점 평균 시간 간격의 변화율 그리고 맥파의 최대 기울기점 사이의 시간 간격의 변화율이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맥파의 Baseline Deflection 과 Amplitude를 이용하여 감성 측정을 시도하였다. 긍정 시각 자극에 비해 부정 시각 자극 일 때 맥파의 최고점 및 최대 기울기점의 평균 시간 간격은 감소하였고, Baseline Deflection은 증가하였고, Amplitude 는 감소하였다. 이는 부정시각 자극이 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킴을 보여 주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맥파도 자율 신경계의 반응을 대면하는 생리신호로써 감성 측정에 유용한 도구임을 검증할 수 있었다.

  • PDF

Implementation of the Wireless Pulse Transit Time Monitoring System for Ubiquitous Healthcare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를 위한 무선 맥파전달시간 측정시스템 구현)

  • Jung, Hwan;Jo, Kyung-Min;Jeong, D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624-62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를 위하여 비침습적으로 측정기 가능하고, 많은 건강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와 광전용적맥파(photo plethysmograph, PPG)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로 구동 가능한 초소형의 심전도 및 맥파측정 시스템의 구현을 위하여 각각의 신호를 검출 및 신호처리하기 위한 회로를 구현하였다. 그리고 계측된 심전도 및 맥파신호의 무선전송을 위하여 초저전력 무선센서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한 무선 생체신호 전송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계측된 심전도의 R파 정점과 인체의 말초부위에서 측정한 맥파의 기준점 사이의 시간인 맥파전달시간(pulse transit time, PTT)을 분석하여 심장에서 말초부위까지 혈관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동맥경화와 같은 혈관질환의 사전모니터 링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the wearable PTT measurement system for health monitoring during daily life (일상생활 건강 모니터링을 위한 착용형 PTT 측정 시스템의 구현)

  • Ye, Soo-Young;Noh, Yun-Hong;Jeong, Do-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1
    • /
    • pp.220-226
    • /
    • 2011
  • Device of the ECG and pulse signal was made to measure PTT signal using non-invasive method and possible to wearable. PTT alterations were observed according to position change using implemented system.It was needed to ECG and pulse to detect the PTT, used the photoplethymorgraphy appeared to change the blood volume. And also wireless sensor node which was able to Zigbee compatibility was used to transfer the detected ECG and pulse signal to PC. Noise was removed from transit data and algorithm was applied to calculate the PTT. After the evaluation of both the conventional measuring systems and the proposed photoplethymography measuring system, a highly effective and efficient formation and distribution sequences were found within the proposed photoplethymography measuring system.

Wireless Transmitter earpiece for Sensibility Ergonomics (감성공학을 위한 무선 이어폰 전송 장치)

  • Lim, Chae-Young;Jeon, Ki-Man;Kim, K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273-276
    • /
    • 2011
  • 우리는 감성 공학에 기반하여 일상 생활 속에서 비침습적이면서 사용하기 간편한 광전용적맥파신호를 계측하고 분석하는 이어폰형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에서는 광전용적맥파(photoplethysmograph, PPG)와 3축 가속도로 생체 신호와 운동 신호를 활용하였다. 수신된 생체 신호인 광전용적맥파 신호는 Peak 검출 및 전처리 알고리즘을 통하여 심박동변동성(heart rate Variablity,HRV)에 대한 시계열 정보로 변환하고 고속 퓨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irm, FFT)과 전력 스펙트럼 밀도 분석(Power Spectrum Density, PSD)방법으로 교감과 부교감 신경 활성도 변화를 관측하였고, 운동 센서로 움직임을 관측하였다. 수신부 시스템은 안드로이드 기반의 자바 어플리케이션으로 스마트 폰에서 구현하였고, 송신부인 이어폰 생체정보 측정모듈로 맥파를 측정하여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자율 신경계의 활성도비율을 확인하였다.

  • PDF

A Real Time Heartbeat Rate Estimation Algorithm Using PPG Signals (광용적맥파를 이용한 실시간 맥박 검출 알고리듬)

  • Kim, Chisung;Han, Dong Seo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3 no.12
    • /
    • pp.82-87
    • /
    • 2016
  • The photoplethysmogram (PPG) signal is one of the mainly considered bio signals along with the electrocardiogram (ECG) signal. PPG signals can be used to estimate the speed of flow of blood in vein, saturation of peripheral oxygen and etc. The heartbeat rate is a common feature in order to evaluate those checkup lists. To estimate the correct heartbeat rate, dynamic noises must be removed in the PPG signal. Conventionally, the acceleration signal is used to remove dynamic noises. This method, however, increases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In this paper, we proposes a solution that uses only PPG signals to calculate the heartbeat rate, and which can be used as a basement in real-time healthcare solution.

A study on blood pressure measurement using photoplethysmography (광전용적맥파를 이용한 혈압측정에 관한 연구)

  • Lee, Chung-Luyl;Kim, K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225-22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손목과 손가락에서의 광전용적맥파(photoplethysmography:PPG)를 이용한 맥파 동시 측정에 있어서 두 신호의 peak간의 시간차와 혈압과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연속적인 혈압측정방법에 대해 측정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을 이용한 반사형 PPG 측정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손목과 손가락에서 동시에 측정한 신호를 측정된 혈압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혈압에 따라 손목과 손가락의 PPG신호 peak간의 시간차에 일정한 변화가 있음을 발견하였고 이를 통하여 손목과 손가락사이의 PPG 신호만으로 연속혈압측정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Spectral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in Electrocardiogram and Pulse-wave using autoregressive model (AR모델을 이용한 심전도와 맥파의 심박변동 스펙트럼 해석)

  • 김낙환;민홍기;이응혁;홍승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0.08a
    • /
    • pp.289-292
    • /
    • 2000
  • 선형 자귀회귀(AR) 모델을 근거로한 HRV 파워 스펙트럼해석은 비침습적으로 자율신경의 반응을 정량화하는데 폭넓게 사용된다. 본 연구는 단구간(2분 미만)의 심전도와 맥파 신호로부터 시계열 HRV의 파워스펙트럼을 추정한다. 시계열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검출한 심전도와 맥파신호의 특징점 시간간격(RRI, PPI)으로부터 구하였다. 발생된 시계열은 다항식 보간법에 의해 AR모델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였으며, AR모델 계수는 Burg법에 의해 계산하였다. AR모델을 적용한 단구간의 심전도와 맥파의 심박변동에 대한 파워스펙트럼밀도는 저주파수(LF)와 고주파수(HF)에서 매끄러운 스펙트럼 파워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동일한 피험자의 심전도와 맥파의 파워스펙트럼밀도를 비교한 결과 동일한 모양을 나타내었다.

  • PDF

Implemetation and Estimation of the Wearable PTT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착용형 PTT 측정시스템의 구현 및 평가)

  • Kim, Jin-Ho;Kang, Hag-Seong;Jeong, D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7-14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보다 편리하게 건강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신체에 착용 가능한 심전도 및 맥파 계측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로 구동 가능한 초소형의 심전도 및 맥파 측정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계측된 생체신호의 무선전송을 위해 초저전력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한 무선 생체신호 전송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무선으로 전송된 심전도 및 맥파 신호는 잡음 제거 및 심박동을 검출하기 위하여 전처리과정과 적응 가변형 문턱치를 적용하였으며, 검출된 심박동으로부터 동맥순환계의 긴장도 및 유순도의 변화를 반영하는 맥파전달시간(pulse transit time, PTT)을 계산하였다. 구현된 무선 맥파전달시간 계측시스템과 기존 상용시스템의 비교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구현된 시스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혈압 및 맥파전달시간의 동시계측을 통해 자세 변화에 따른 혈압의 변화 및 맥파전달시간의 변화양상을 관찰함으로써 혈압과 맥파전달시간의 관계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 PDF

Algorithm of the Detection of the Feature points using distributed feature points of the Second Derivative of Photoplethysmogram waveform (이차 미분 맥파의 변곡점 분포를 이용한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

  • Kim, Pan-Ki;Ahn, Chang-Beo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988_1989
    • /
    • 2009
  • 본 논문은 이차 미분 맥파(SDPTG, Second Derivation of Photoplethysmogram)를 측정하여 이차 미분 맥파의 5개의 특징점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된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SNR)을 높이는 방법과 기존의 미분을 이용한 변곡점 추출의 한계적인 부분,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이차 미분 맥파의 특징점의 분포를 이용한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에 대해서 설명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reflective type Heart rate measurement system for PAPS (PAPS를 위한 반사형 맥파 측정 장치의 개발 및 성능 평가)

  • Kim, Sheen-Ja;Lee, Young-W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1
    • /
    • pp.160-166
    • /
    • 2012
  • We performed th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reflective type heart rate measurement system for PAPS. We used chip LED and chip photo TR. for low power driving. The measured PPG signal is preprocessed using high pass filter and low pass filter, and the preprocessed signal is displayed by LabVIEW. Also LabVIEW include the algorithm that extract effective signal and calculate the heart rate. We made sure that it will be able to apply to measurement equipment with high accuracy and repetition from exercising subject using this system and algori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