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맥반석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8초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맥반석 골재의 영향 (The Effects of Elvan on Physical Properties of Cement Mortar)

  • 추용식;김인섭;이종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86-391
    • /
    • 2003
  • Ready mixed mortar는 독일의 석회산업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새로운 기능 을 갖는 ready mixed mortar에 대한 다수의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조하기 위해서 모래 대신 맥반석을 골재로 사용하였으며, 이때 맥반석 자체 특성분석과 더불어 맥반석 골재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맥반석의 주요성분은 $SiO_2$$A1_2O_3$이었으며, 결정상은 quartz와 sillimanite로 구성되어 있었다. 맥반석은 다량의 기공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흡수율은 2.09% 이었다. 맥반석을 사용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는 시멘트와 맥반석의 혼합비가 1:3 이하인 경우 KS 규격을 만족시키는 값을 나타내었고, 맥반석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보수성은 증가하였다. 또한 맥반석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율과 탈취율은 증가하였고 열전도도는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사료내 맥반석의 첨가가 성장중인 육계의 배설물 수분함량, 장내 암모니아 함량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Quartz Porphyry Supplementation on Moisture Content of Excreta, Intestinal Ammonia Contents and Blood Composition of Growing Broilers)

  • 손장호;박창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79-184
    • /
    • 1997
  • 본 시험은 맥반석의 첨가가 혈액의 성상, 장내 암모니아의 함량 및 배설물의 수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육계사료에 맥반석을 0, 0.3, 0.6 및 9% 첨가한 4개 처리에 육계 초생추(Hubbard strain) 40수를 공시하여 4주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배설물 중의 수분 함량은 맥반석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다(r= -0.96). 장관 내용물 중 암모니아의 함량은 맥반석 첨가 수준이 증가할 수록 증가하였지만(대조구: 맥반석 0.9% 첨가구; (P<0.05)), 혈중 암모니아의 함량은 맥반석 첨가에 따른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혈장내 glucose 함량도 맥반석 첨가에 따른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지만, triglyceride 함량은 맥반석 0.3% 첨가구에서 78.52 mg /dL로 가장 낮았다(P < 0.05). 또한 혈중 총 cholesterol 함량은 맥반석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인정되었다. 질소배설량은 맥반석 0.3% 첨가구가 다른 시험구보다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육계 전기사료에 적은 양의 맥반석을 첨가하여 급여하면 배설물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고, 또한 사료영양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점토광물(맥반석) 및 규산질비료시용이 수도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neral Stone and Silicate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Plant)

  • 심재성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5-13
    • /
    • 1992
  • 맥반석을 벼에 시용하였을 때 벼의 초장 및 분벽경수 는 증가하였고 건물율 및 근발생율도 증가 하였다. 맥반석을 시용함으로서 벼의 초장이 6~9cm정도 단간화되었으며 총분벽경수 및 유효분벽경수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벼의 정조중에 있어서는 맥반석 100kg시용구에서 무처리구보다 19.9%가 더 증수되었고 500kg 시용구에서는 15.5%가 증수되어 시용량에 관계없이 맥반석은 벼의 수량증가에 효과적이었다.

  • PDF

맥반석의 첨가 급여가 육계에서 성장성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anite Porphyry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Sensory Quality in Broiler Chickens)

  • 최태흥;김동욱;안승민;유선종;김성권;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51-155
    • /
    • 2004
  • 본 실험은 육계사료 내에 맥반석 분말을 첨가 급여했을 때 육계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와 생산된 계육의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5일령 Avian 육계 수평아리를 반복별로 체중이 동일하도록 임의 배치하였다. 맥반석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맥반석 분말을 1% 및 2% 수준으로 첨가한 처리구를 두었으며, 각각의 처리구 내에는 항생제 음수 투여구와 무투여구를 두어 5처리에 3반복, 반복당 30수씩 총450수를 공시하여 30일간 실험사료를 급여하였다. 실험기간 중의 사료섭취 량 및 증체량을 조사하여 사료요구율을 구하였고, 5주령에 각 반복구 내에서 체중의 평균치에 해당하는 개체를 2수씩 선발하여 희생시킨 후 필요 조직을 채취하였고, 근육 내의 화학적 조성과 육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종료 시 체중 및 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해 맥반석 분말을 첨가 급여한 처리구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맥반석 분말 1% 첨가구에서 사료 요구율이 개선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단위 체중당 간 중량 및 복강지방 중량은 맥반석 분말의 첨가 급여에 의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맥반석 분말 2% 첨가구에서 가슴근육의 중량이 가장 높았으며, 다리근육중량은 반대로 낮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맥반석 분말 1% 첨가구에서는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맥반석 분말 2% 첨가구에서는 맛, 연도 및 다즙성의 전 항목에 걸쳐 유의하게 높아지거나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맥반석(Quartz porphyry) 첨가 식이가 십자매의 임상화학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Quartz Porphyry Supplemented Diet on Clinical Chemical Parameters in Common Finch)

  • 차재영;윤수현;조영수;임정부;김대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490-495
    • /
    • 2000
  • 규산염 광물질인 맥반석을 3%수준으로 식이중에 첨가하여 십자매에 2주간 급여한 후 생리적 및 생화학적 성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체중 증가량, 식이 섭취량, 식이 효율, 상대적 간장 및 심장 무게는 대조군과 맥반석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상대적 신장 및 근위 무게는 맥반석 첨가군에서 각각 증가 및 감소하였다. 혈청 총 단백질, 혈당, 알부민,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농도는 두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간기능 지표인 GOT및 ALP 활성은 맥반석 첨가군에서 각각 증가 및 감소하였으나, GTP 활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맥반석 3% 수준의 식이중첨가는 십자매의 생리적 및 생화학적 상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식이의 영양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맥반석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Elven)

  • 박원종;성창근;구한모;신남균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50-54
    • /
    • 1997
  • 맥반석 (Holon Killer Sand, Letsoken, Nikko Co.)의 성분분석 및 그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에 사용한 맥반석의 무기질 조성은 아연(Zn)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나 인체에 유해성 무기성분은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항균활성 실험에서 24시간 배양한 세균의 활성은 Bacillus subtilis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은 Stapylococcus aureus순이었고, Stapylococcus mutans는 항균력이 거의 없었다. 또한 각 세균에 대한 추출물 농도별 항균활성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수삼 부패균을 분류하여 이에 대한 맥반석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수삼 부패균에 대하여 맥반석 추출물은 항균활성이 인정되었다.

  • PDF

한국산 맥반석의 미네랄 용출 및 중금속제거 효과 (Extraction of Minerals and Elimination Effect of Heavy Metals in Water by Korean Quartz Porphyry)

  • 황진봉;양미옥;김민아;박성훈
    • 분석과학
    • /
    • 제9권3호
    • /
    • pp.310-319
    • /
    • 1996
  • 한국산 맥반석의 원소분석 결과, 다공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강열감량은 수안보, 예천, 안강, 경산산 맥반석 순으로 각각 7.03, 3.68, 2.09, 0.73%였다. 미네랄 용출은 수안보산과 경산산 맥반석이 0.5~2.0%, 안강산은 1.5% 농도 이하에서 탈이온수에 첨가하여 180rpm 에서 3시간 교반했올 때 음용수 수질기준에 적합하였고, 예천산 맥반석은 철분이 다량 검출되어 부적합하였다. 최적화된 농도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효과는 단일 용액에서 납의 경우 3%의 맥반석을 사용했을 때 수안보, 예천, 안강산 등이 4시간만에 약 99%가 제거되었고, 카드뮴은 7% 맥반석을 사용한 수안보산이 반응 1시간 후 약 98%가 감소하였다. 그리고 구리는 저농도의 맥반석에서 매우 탁월했는데, 특히 안강산 맥반석의 경우 0.4% 농도에서 4시간만에 약 99% 이상이 이온교환되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한국산 맥반석들을 이용한 비소 제거효과는 극히 낮았다.

  • PDF

맥반석을 이용한 중금속과 악취물질/nitrophenol의 제거 (Removal of heavy metal and Hydrogen sulfide/Nitrophenol using Mackban-stone)

  • 전철학;윤성일;김은숙;석미수;이성택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2호
    • /
    • pp.45-51
    • /
    • 2001
  • 맥반석은 용액중의 철, 구리, 카드뮴과 아연 등 중금속 이온에 대해 제거효과를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도 철과 동의 제거가 가장 뚜렷하였다. 이런 중금속의 제거는 맥반석에 포함되어 있는 칼슘 등 금속과의 이온교환에 의해 이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맥반석은 황화수소와 암모니아 등 악취물질에 대해서도 뚜렷한 제거효과가 있으며 E. coli에 대해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Nocardioides sp. PNP101를 이용한 4-nitrophenol의 분해와 Strain CJl과 Rhodococcus sp. DNP 505를 이용한 2,4-dinitrophenol의 분해를 뚜렷하게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능성 퇴비가 배추의 생육 특성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nctional Compost on Production, Yield and Quality of Chinese Cabbage)

  • 손상목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1-55
    • /
    • 2002
  • Codex유기식품규격의 허용 천연광물자재인 맥반석, 옥, 황토 등을 퇴비에 혼합 첨가하여 제조한 퇴비가 배추생육과 품질에 어떠한 기능성을 가지는가를 검토하고자 Lysimeter에서 재배한 배추의 생육과 수량을 조사하였으며 배추의 당도, 비티민 C 함량 및 질산염 함량 등을 분석하였다. 1. 생체중, 구고, 구폭, 엽신 및 중륵의 무게가 일반 퇴비구에 비해 맥반석, 옥, 황 등을 단독 또는 혼합 처리한 퇴비시용구에서 많았다. 배추 엽수와 엽폭의 증가폭은 그리 크지 않았으나, 엽장은 크게 나타났으며, 맥반석을 혼합하여 처리한 시용구에서 가장 높았다. 2. 당도는 맥반석, 옥, 황토를 혼합 처리한 퇴비시용구에서 퇴비시용구보다 낮았다. 엽신의 비티민 C 함량이 중륵에 비해 훨씬 높았으며, 무비구 578ppm에 비해 기능성퇴비 시용구에서 648~706ppm으로 높아졌고 옥을 혼합하여 처리한 기능성 퇴비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3. 질산염 함량은 황토를 혼합 처리한 퇴비시용구에서 엽신 2,021ppm, 중륵 2,235ppm으로 가장 낮아, 황토가 배추의 질산염 집적량을 낮추는데 가장 효과적임을 보여 주었다. 4. 맥반석, 옥, 황토를 단독 혼합하여 제조한 퇴비시용구에 비해 맥반석+옥+황토를 혼합 처리한 퇴비시용구에서 당도, 비티민 C 함량 및 질산염 함량 등은 각각 평균치 수준을 나타냈다. 5. 결론적으로 맥반석, 옥, 황토 등은 배추의 수량증가를 위해 퇴비제조시에 혼합 첨가할 수 있는 기능성 첨가물질로 그 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맥반석과 천연제올라이트를 이용한 도시하수와 화장지폐수처리 (Sewage and Tissue Wastewater Treatment Using Quartz Porphyry and Natural Zeolite)

  • 이창현;김재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517-52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오 폐수의 처리에 있어서 천연제올라이트 및 맥반석을 활용하여 오 폐수의 응집 및 흡착 메커니즘에 적용하여 수처리제로서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Jar test를 이용한 응집 전 후의 $COD_{Cr}$의 제거율을 평가하였다. 맥반석과 천연제올라이트를 수처리제로써 주입량을 400~1,200 g/L로 변화시켜 처리한 결과 $COD_{Cr}$ 최종제거율은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맥반석과 천연제올라이트를 $600^{\circ}C$로 소결하여서 도시하수를 처리할 경우 $COD_{Cr}$제거율이 각각 15%, 3%정도 상승하였다. 또한 맥반석과 천연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미용화장지 폐수처리에 적용하였으며, 또 다른 폐수처리제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