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장평가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46초

복합원산지제품의 카테고리 유사성 및 매장유형에 따른 소비자평가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onsumer evaluation according to category similarity and store type of bi-national product)

  • 손제영;강인원
    • 통상정보연구
    • /
    • 제19권2호
    • /
    • pp.193-212
    • /
    • 2017
  • 본 연구는 복합원산지제품에 대한 평가를 파악하기 위해 제품의 카테고리 유사성에 따라 구분하고 매장유형 별로 비교해 봄으로써, 복합원산지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에게 실무적으로 활용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복합원산지제품의 평가를 제품카테고리 별로 비교하기 위해 소비자들의 심리적 기저를 바탕으로 공적사치재, 공적필수재, 사적사치재, 사적필수재로 구분하여 분석에 적용하였으며, 매장의 유형은 백화점/직영점, 아울렛/할인매장으로 구분하여 측정의 정교화를 기하고자 하였다. 검증결과, 제품유형과 매장유형에 따라 브랜드평가 및 매장평가는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공적사치재의 경우 브랜드평가와 매장평가 모두 아울렛/할인매장이 백화점/직영매장 보다 긍정적인 평가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적필수재의 경우는 브랜드평가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매장평가에서 백화점/직영매장이 아울렛/할인매장 보다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각각의 제품 별로 판매매장 유형에 따라 소비자들의 평가가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 PDF

구매심리의 단계와 가중치에 따른 VMD 감성평가 -의류브랜드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VMD Sensibility according to Purchasing Psychological Steps and Weights)

  • 나영주;이은희;황진숙;고선주
    • 감성과학
    • /
    • 제10권2호
    • /
    • pp.187-19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판매매장별 구매심리에 따른 디스플레이 항목 에 대한 전문가 평가와 매장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한 반응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실제 판매환경에서의 VMD에 대한 통합적 분석을 행하고, 브랜드 감성과의 일치성, 브랜드 감성 형성 요인 등을 조사하여 판매 매장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거리숍이 백화점내 매장보다 고객의 시선을 사로잡고 구매자극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각적 만족과 매장 방문 만족도는 고객의 구매의지와 비례관계에 있었으며 전문가에 의한 감성평가와 고객의 제품구매의지는 상관이 있었다 구매심리단계별 VMD 요소의 부족한 점과 이행이 잘 되는 점을 상호보완하면 각 판매 환경에서 VMD로 인한 즐거운 쇼핑문화를 이룩하고 또한 구매효과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고객반응을 바탕으로 한 소비자 조사를 통하여 매장 VMD 효과를 분석하고 상품구매 욕구와의 연관성을 이끌어냄으로써 소비자 조사 결과가 유용한 방법이다. VMD가 이뤄지는 곳은 실제 판매환경인 매장이므로 VMD의 효과와 고객반응에 대한 조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AI 활용 무인 매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특성이 감정반응을 통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s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AI Cashierless Store Service on Revisit Intention through Emotional Response)

  • 노혜영;이신복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791-800
    • /
    • 2024
  • AI의 발전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무인 매장 서비스는 고객에게 새로운 쇼핑 경험을 경험하게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소매업 서비스 연구는 종업원(사람)을 기준으로 한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서비스평가를 무인 매장의 특성에 맞춰 재구성하여 서비스를 평가하고자 시작되었다. 또한, AI 무인 매장이 제공하는 서비스 경험특성이 고객의 긍정 또는 부정적인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최종적으로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까지 살펴보려 한다. 본 연구 결과로 AI 무인 매장이 가지는 서비스 경험특성이 감정반응에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AI 무인 매장 서비스 경험특성이 불러일으키는 긍정적 감정반응은 재방문을 유도하지만, 부정적 감정반응은 재방문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앞으로 더욱 발전하게 될 AI 무인 매장 서비스의 연구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고객의 동적 선호 탐색을 위한 순차패턴 분석: (주)더페이스샵 사례 (A Sequential Pattern Analysis for Dynamic Discovery of Customers' Preference)

  • 송기룡;노성호;이재광;최일영;김재경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195-209
    • /
    • 2008
  • 고객의 니즈가 시시각각 변화하는 경영환경에서 획일화된 매장관리 방법으로 매장의 수익성을 증대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고객의 선호 변화를 예측하여 각 매장에 적절한 상품을 추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판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시간 순서를 고려한 상품 추천 및 매장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즉 자기조직화지도(Self Organizing Map)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매장의 판매 프로파일을 군집화하고, 매장 궤적의 예측을 통해 목표 매장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방법론을 검증하기 위해 (주)더페이스샵 판매데이터를 적용하여 평가하였으며, 평가결과 제시한 방법론은 화장품처럼 유행에 민감하고 라이프사이클이 짧은 특징을 지닌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의 수익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ano 모델 및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 지수를 이용한 화장품 매장 서비스 품질 개선 우선순위 (Quality Improvement Priorities for Cosmetic Store Service Using Kano Model and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 송지안;장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342-353
    • /
    • 2020
  • 본 연구는 Kano 모델의 이원적 품질분류와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 지수(PCSI Index)를 기반으로 드럭스토어와 백화점 내 화장품 매장의 서비스 품질을 비교, 분석하여 서비스 품질 개선 우선순위 요소들을 파악하고, 제시함으로써 화장품 매장의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Kano 모델 분석의 평가이원 표에 대입하여 품질 특성을 분류하고, 고객만족 계수(CSC)와 PCSI 지수를 이용해 화장품 서비스 품질 요소들의 개선 우선순위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Kano 모델을 활용한 분석에서 드럭스토어와 백화점 화장품 매장 서비스 품질 요소에 대한 대부분의 항목이 매력적 품질 요소로 평가되었다. PCSI 지수 비교 결과, 드럭스토어 화장품 매장의 경우 '신뢰성', '반응성', '공감성' 항목이, 백화점 내 화장품 매장의 경우 '공감성', '신뢰성' 항목의 품질 요소들이 개선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해당 요소가 개선될 경우 고객 만족도가 향상될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럭스토어와 백화점 화장품 매장의 서비스 품질 분류 및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선 우선순위가 파악됨으로써 실무적인 시사점이 제공되어, 향후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한 지침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백화점 고객의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선행 요인 및 사후 행동에 관한 연구

  • 신창훈;송재영;황인석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권3호
    • /
    • pp.34-52
    • /
    • 1999
  • 본 연구는 백화점 고객을 대상으로, 소비자 만족과 관련된 여러 선행요인 및 사후 행동의 관련성을 고찰함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지역공헌관련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이에 따르는 마케팅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분리되어 다루어진 만족평가 요인으로서의 매장관련특징과 서비스관련특징들을 통합하여 매장의 전체적인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새로운 사회적 쟁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정책을 포함한 지역공헌관련특징이 매장만족 경로상에서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소비자 만족, 지역공헌관련 특징을 포함한 선행요인 및 사후행동에 대한 인과관계구조모형을 설정하였으며, 분석은 LISREL을 이용한 공변량구조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매장관련특징과 서비스관련특징은 매장의 전체적인 만족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연구와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환경정책, 지역공헌정도를 포함한 지역공헌관련특징은 매장만족의 결과 변수로 사용되어진 구전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됨으로써 직접 매장에 대한 만족을 얻지 못한 소비자들이라도 지역공헌관련특징의 정도에 따라 구전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새로운 경쟁관계에 직면한 최근 백화점업계의 마케팅 경쟁환경을 감안할 때 적지 않은 현실적 의미가 있으리라 생각되며, 나아가 국내 할인점과 외국계 할인점들간의 경쟁으로 인한 마케팅 전략의 수립 및 분석에도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농협 상설매장을 통한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 Marketing of Agricultural Product through the Outlet Store Owned by Agricultural Cooperative)

  • 박철;김형탁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5권2호
    • /
    • pp.106-129
    • /
    • 2001
  • 본 연구는 농산물 직거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농협 상설매장에 대한 소비자의 이용실태와 평가에 대해서 분석해 보고, 농협 상설매장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농협 상설매장을 이용하는 소비자 2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하나로마트는 근린 생식품 매장으로, 하나로클럽은 농산물 및 식품류 할인매장으로 고객들에게 인식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도시의 소비자들은 거리가 가깝거나 농협이라는 이름이 주는 신뢰성 때문에 농협의 상설매장을 이용할 의사는 높은 편이었다. 농협 상설매장이 믿을 수 있는 농산물의 전문소매점으로서 확실히 자리잡을 수 있다면 경쟁력 있는 농산물 직거래의 경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조사의 결과에서도 드러났듯이 다른 소매점에 비해 투자가 적고 전문인력이 부족하여 농협매장에 대한 고객만족도는 그리 높지는 않았다. 매장 속성별로 매장의 소프트웨어적인 면(예: 판매원의 친절, 영업시간, 점포의 명성 등)에서는 고객들이 만족하고 있지만 하드웨어적인 면(예: 주차, 편의/부대시설, 셔틀버스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고객만족도가 낮거나, 타 점포와의 비교 우위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에서 이왕 소매사업에 뛰어들었다면 농협 상설매장의 활성화를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농협 상설매장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시사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끝으로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