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개충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 분리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의 저항성 판별을 위한 생물검정법 개발 (Development of a bioassay for screening of resistance to Tomato spotted wilt virus isolate from Korea)

  • 곽해련;최현용;홍수빈;허온숙;변희성;최홍수;김미경
    • 환경생물
    • /
    • 제39권3호
    • /
    • pp.319-328
    • /
    • 2021
  •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는 고추, 토마토 등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바이러스들 중 한 종이다. TSWV의 넓은 기주범위, 매개충인 총채벌레 방제의 어려움 및 TSWV의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저항성 품종을 사용하는 것이 TSWV를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에서 분리된 TSWV 분리주(SW-TO2)의 유전학적·생물학적 특성을 구명하고, 최근에 국내에서 분리된 구기자, 머위, 당귀 TSWV 분리주와 비교하였다. 순수분리된 SW-TO2는 28종의 지표식물 중 토마토를 포함한 17종에서 원형반점, 모자이크 증상 등 전신감염 증상을 보였다. SW-TO2의 유전자 계통분석 결과 국내에서 분리된 고추, 구기자 TSWV 분리주와 98~99%의 상동성을 보이며 같은 그룹에 속하였다. TSWV 저항성 평가를 위한 생물검정법을 확립하고, 시판되고 있는 고추와 토마토 품종을 대상으로 4종의 TSWV 분리주에 대한 저항성 평가를 검정하였다. TSWV 저항성 평가는 첫째, 접종엽에 괴사반점 증상이 나타나거나 병징이 없는 경우, 둘째, 상엽에 병징이 없는 경우, 셋째, 상엽을 RT-PCR 진단한 결과 음성이 나왔을 경우 등 3가지 조건이다 충족될 때 저항성으로 평가하였다.

국내 잎들깨에서 발생한 잠두위조바이러스2의 특성 구명 (Characterization of broad bean wilt virus 2 isolated from Perilla frutescens in Korea)

  • 김현선;변희성;최유지;최현용;서장균;최홍수;이봉춘;김미경;곽해련
    • 환경생물
    • /
    • 제41권1호
    • /
    • pp.1-13
    • /
    • 2023
  • 잠두위조바이러스2 (BBWV2)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원예, 관상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바이러스 중의 하나다. BBWV2의 넓은 기주 범위, 매개충 방제의 어려움 등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병을 예방하거나 저항성 품종의 개발 등을 위해서는 BBWV2의 새로운 분리주들의 특성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 금산지역의 잎들깨 재배농가에서 분리된 BBWV2 분리주(BBWV2-GS-PF)의 유전학적·생물학적 특성을 구명하고 기존에 보고된 분리주들과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순수 분리된 BBWV2-GS-PF는 기존 분리주와 달리 들깨에서 심한 모자이크 증상과 고추에서 원형 반점 증상을 보였다. BBWV2-GS-PF의 유전자 계통분석 결과, 기존에 알려진 2개의 그룹과 약 76~80%의 비교적 낮은 유전자 상동성을 보이며 계통이 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병 저항성 기반 십자화과 작물의 검은무늬병 관리 (Disease Resistance-Based Management of Alternaria Black Spot in Cruciferous Crops)

  • 이영희;김수민;이승빈;김상희;윤병욱;홍점규
    • 식물병연구
    • /
    • 제29권4호
    • /
    • pp.363-376
    • /
    • 2023
  • 검은무늬병은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십자화과 작물을 황폐화시키고 있으며, 브로콜리, 배추, 케일, 무, 유채 등의 생산에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왔다. 십자화과 작물의 검은무늬병은 A. brassicae, A. brassicicola, A. raphani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Alternaria 종에 의하여 발생하며 이러한 병원균들은 감염된 종자나 매개충에 의하여 전반된다. 본 총설에서는 검은무늬병에 대한 십자화과 작물의 병 저항성 형질을 발굴하기 위한 그 동안의 노력을 보여주었다. 병 저항성을 위한 유전 자원이 십자화과 작물의 근연 야생종으로부터 조사되었으며, 십자화과 작물의 상이한 품종들이 다른 접종 조건에서 선별되었다. 검은무늬병 저항성 작물의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식물 방어 관련 유전자들을 이용한 십자화과 작물의 형질 전환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β-Amino-n-butyric acid나 멜라토닌과 같은 화학 물질을 전처리하여 활성화된 식물 면역이 십자화과 작물의 검은무늬병을 줄이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검은무늬병 저항성 형질은 다른 서식지에서 유래한 모델 식물 Arabidopsis 생태형들에서도 평가되었다. 야생형 Arabidopsis와는 상이한 병 저항성을 보이는 식물 면역 관련 돌연변이체들은 십자화과 작물에서 검은무늬병을 관리하는 데에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특히 이러한 돌연변이체에서 변동된 산화-환원 조절과 항산화 반응에 대하여 본 총설에서 논하였다.

실험적 Acanthamoeba 수막뇌염에서 세포성 면역에 관한 연구 (Cell-mediated immunity in experimental amoebic meningoencephalitis)

  • 임경일;정평림;김태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2호
    • /
    • pp.73-78
    • /
    • 1989
  • 병원성이 강한 Acanthamoeba culbertsoni를 마우스에 감염시킨 후 경과된 감염기간에 따른 세포매개성 면역반응과 혈청 내 항체가의 변동을 관찰하였다. [9H]-thymidine을 이용한 마우스 비장세포의 아세포화를 관찰하였는데 사용된 mitogen으로는 concanavalin A(Con A)와 lipopoITsaccharide(LPS)였으며, 항체의 측정을 위하여 효소표식 면역검사법(ELISA)을 시행하였다. T림프구 및 B림프구의 아세포화 정도는 A. culbertsoni 감염 7일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다른 기간에 서는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감염된 마우스의 혈청 내 항체가도 감염 7 일 후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반지락(Tapes philippinarurm)이 매개하는 Parvatrema timondavidi(Digenea; Gymnophallidae)의 피낭유충 및 성충의 형태 (Parvatrema timondavidi (Digenea; Gymnophallidae) transmitted by a clam, Tapes philippinarum, in Korea)

  • 유재란;채종일;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1호
    • /
    • pp.7-12
    • /
    • 1993
  • 반지락(Tapes philippinarurm)에서의 수집한 피낭유충을 동정하기 위하여 ICR계 마우스에 피낭유충을 경구감염시킨 다음 제 7일, 제 10일, 제 14일에 희생시키고 소장을 적출하여 충체를 회수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피낭유충은 작은 충체($312{\;}{\times}{\;}202{;\}{\mu\textrm{m}}$)가 피포하지 않은 상태로 감염되어 있고, 구홉반이 크고 잘 발달되었고 측명돌기가 관찰되었다. 장관은 이분지 되어 끝부분이 매우 부풀어 오른 맹관이었으며 복흡반까지 닿아 있었다. Ventral pit는 관찰되지 않았고 생식공은 원형으로 구홉반과 복합반 사이에 위치하였다. 배설낭은 V자 모양으로 두팔부분은 구홉반까지 닿아 있었다. 2.마우스 소장에서의 회수율 평균 20.1% 이었으며 감염 후 10일 째의 회수율이 가장 높았고 14일에는 현저히 간소하였다. 3.성충은 피낭유충과 크기의 차이가 없었다. 난황선은 한 개가 복합반의 왼쪽 옆에 위치하였다. 저장낭은 한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복흡반보다 전방에 위치하였다. 고환은 한쌍으로 복흡반 후측장에 위치하였고 난소는 오른쪽 고환이 전방에 위치하였다. 충란은 길이 $28{;\}{\mu\textrm{m}}(27-30{;\}{\mu\textrm{m}})$, 폭 $19{;\}{\mu\textrm{m}}(17-20{;\}{\mu\textrm{m}})$으로 껍질이 매우 얇았으며 날개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반지락을 제2중간숙주로 하는 Parvatrema timondavidi(Digenea:Gymnophallidae)가 국내에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 PDF

전북지역 토마토와 박과류 무농약재배지의 주요 병해 발생 현황 (Occurrence of major diseases in pesticide-free cultivated tomato and cucurbit in Jeollabuk-do, South Korea)

  • 김주희;최민경;문형철;전형권
    • 환경생물
    • /
    • 제38권3호
    • /
    • pp.486-495
    • /
    • 2020
  • 토마토와 박과류채소의 유기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무농약으로 재배하는 시설하우스에서 최근 문제되는 병해를 조사한 결과 토마토 잎곰팡이병과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 토마토퇴록바이러스병, 박과류 쥬키니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병, 박과류 흰가루병 등의 피해가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약을 사용하여 일반재배를 하는 시설하우스에 비해 무농약재배 하우스에서 재배되는 작물에서 병 발생 시기가 더 빠르고 병 발생도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채벌레와 진딧물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바이러스병 피해가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우수한 유기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병해충방제를 효율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며, 병 발생 피해를 최소화기 위해서는 포장위생과 물리적 차단, 유기농업자재나 미생물제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예방적으로 방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소나무류 천공충의 천적종류 및 북방수염하늘소 주요천적의 발생소장 (Natural Enemies of Wood Borers and Seasonal Occurrence of Major Natural Enemies of Monochamus saltuarius on Pine Trees)

  • 김종국;원대성;박용철;고상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439-445
    • /
    • 2010
  • 소나무와 잣나무 이목이 설치된 장소에서 채집된 천공성곤충은 모두 4과 45종이었으며, 하늘소과 21종, 바구미과 9종, 왕바구미과 2종, 나무좀과 13종이었다. 기생 및 포식천적의 종류는 총 6목 15과 36종이었다.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북방수염하늘소에 기생, 포식하는 주요천적으로는 Dolichomitus nakamurai와 Echthrus reluctator, 큰쌀도적, 개미붙이 4종이었으며, 기생포식천적(parasitoids)인 Dolichomitus nakamurai 와 Echthrus reluctator는 4월 상순부터 5월 상순까지 발생하며, 주로 충방을 형성하고 그 안에 서식하는 북방수염하늘소의 유충이나 용에 기생하였다. 포식성 천적(predator)인 큰쌀도적, 개미붙이는 4월-10월에 발생되어 천공성 곤충의 유충과 성충을 포식하였다.

콩모자익바이러스 계통의 포장전염 (Field Spread of Soy bean Mosaic Virus Strains)

  • 조의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3-60
    • /
    • 1982
  • 콩모자익바이러스(SMV) 7계통의 진딧물 전염여부를 시험한 결과 SMV 7계통 전부가 전염되었으며 SMV의 진딧물 전염에 의한 대두판별품종의 반응도 침액접종에 의하여 SMV 계통을 분류하였을 때의 반응과 일치하였다. 공시한 5종의 진딧물중에서 복숭아혹진딧물, 아카시아진딧물, Aphis citricola는 SMV 7계통을 모두 잘 전명시키는 매개충이었으나 옥수수테두리진딧물과 기장테두리진딧물은 SMV계통 G3을 전염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포장에서 SMV 계통 G2, G3, G6 및 G7을 22.5m 이랑의 1m 내에 심겨진 콩 품종 Williams에 접종한 후 80cm 떨어진 이랑의 1m내 Williams의 발병율을 조사하였다. 공시한 SMV 4계통중 6G의 전염율이 가장 높았고 조사기간에 채집된 206 마리의 진딧물중 A. citricola가 $68\%$로서 우점종이었다. Williams의 수량은 G2로 접종하였을 때 가장 낮았다.

  • PDF

구기자 혹응애(Eriophyes kuko KISHIDA)에 관한 생태학적 지견 (1) 그의 생태 및 생활사 (Some biological notes on Eriophyes kuko KISHIDA (1) Its biology and life history)

  • 김창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_6권
    • /
    • pp.59-63
    • /
    • 1968
  • 본 논문은 1963-1965년 사이에 구기자 혹응애의 생태에 관하여 조사 관찰한 결과의 일부를 보고한 것이다. (1) 구기자 혹응애의 기주식물은 순기자나무 까마중 및 고추 등이다. (2) 이동과 전파는 물리적인 매개체에 의하며, 풍향은 이동과 전파에 영향이 크다. (3) 1자당 산난수는 평균 $28.5\pm0.499$개이고, 란기간은 평균 $7.0\pm0.447$일이다. 유충기문은 평균 $4.33±\pm0.667$일이다. (4) 식입 후 경과일별 충영의 크기는 1일째는 평균 $290.5\pm0.3415\pm$ 이며, 25일째는 평균 $3260.5\pm0.5157\mu$이다. (5) 성충기간은 25-30일이고 식입 후 산난일은 6일 이다. (6) 연발생회수는 6-7회이며, 성충태로 충영내에서 월동하여 5월 하순에 제1회 성충이 나타난다.

  • PDF

라오스 메콩강 유역 Pakse 지역 주민의 장내 윤충류 감염률 조사 (A small-scale survey of intestinal helminthic infections among the residents near Pakse, Laos)

  • 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1호
    • /
    • pp.55-58
    • /
    • 1998
  • 라오스 남부의 메콩강 유역에서 위치한 Pakes 지역 주민의 장내 윤충류 감염 상황을 조사하였다. 대상 인원은 현지 보건소 직원 및 가족 등 성인 90명과 초등학교 학생 47명으로 모두 137명이었다. 검사방법으로는 Kato-Katz 셀로판후층도말법을 이용하였고, 1인당 1회 검사하였다. 검사 결과, 총 충란 양성률은 75.9%로 매우 높았고, 검출된 윤층은 Opisthorchis viverrini (평균 양성률 43.8%), 회충 (26.3%), 편충 (19.0%), 구충 (19.0%), 분선층 (2.2%), 유. 무구조충 (0.7%) 및 메콩주협흡충 (Schistosoma mekongi) (1.5%)이었다. O. viverrini 충란 양성자 3인으로부터 충체를 회수하고자 프라지콴텔로 치료하고 하제를 부여한 바 설사변에서 O. viverrini 성충 5, 10 및 395마리를 각각 회수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라오스의 Pakse 지역은 O. viverrini 및 토양매개성 윤충 감염이 농후하며, 메콩주혈흡충의 생활사가 이루어지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