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맞춤형 콘텐츠

Search Result 49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ontent Packaging based on TV-Anytime for Personalized Content Services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TV-Anytime 기반 콘텐츠 패키징)

  • Kang Jung Won;Lee Hee-Kyung;Kim Jae-Go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9 no.4 s.25
    • /
    • pp.322-333
    • /
    • 2004
  • In this paper, a package, that is a new type of contents providing new consumer experience under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s. is introduced. To present various advantages of package that is in standardization process of TV-Anytime Phase-2, a service scenario for personalized educational content is proposed. Then, TV-Anytime Packaging technology to support the scenario is described. It is also shown that the personalized service that provides interactive and personalized consuming experience independent of the types of content and delivery channels is feasible by using TV-Anytime Packaging technolog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ersonalized service in the 3-screens environment (3-스크린 환경에서의 맞춤형 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 Lee, Jong-Seol;Jang, Se-Jin;Lee, Seok-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376-379
    • /
    • 2010
  • 최근 사용자들은 TV, 컴퓨터, 모바일 폰등 다수의 기기들을 통해 보다 많은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Anytime, Anywhere 서비스는 가장 핵심적 이슈였다. 이를 위해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어졌고, 이와 같은 서비스들은 3-스크린, TVing 등의 서비스들로 이어졌다. 이와 같이 풍부한 인터넷 자원에 기반 한 3-스크린 개념의 서비스들은 사용자에게 무한한 콘텐츠 접근성을 보장한다. 개인 맞춤형 방송은 다양한 방송환경에서 킬러 어플리케이션으로 주목 받아 왔다. 특히 IPTV와 CATV와 같이 수십 개 이상의 채널과 수백 개 이상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환경에서는 맞춤형 방송은 매우 유용한 어플리케이션이다. TV-Anytime Forum 등에서는 개인 맞춤형 방송에 대한 표준을 제정하였으며, 이 중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위하여 Interstitial Metadata 에 대한 표준을 제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TV-Anytime 표준에서 정의한 메타데이터에 기반을 둔 3-스크린 환경에서의 맞춤형 콘텐츠 및 인터스티셜 서비스를 설계 및 개발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ustomized Contents Service System for Relieving Users' Stress (사용자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Jin-Sung;Kim, Seu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2
    • /
    • pp.101-112
    • /
    • 2011
  • As the society has become maturer, stress has emerged as a hot social issue.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ustomized contents service system for relieving users' stress. In the proposed system, we compute the stress index from a user's biometics and psychology, and recommend a combination of video, sound, aroma, and lighting based on the index and user's data such as preferences, and provide the recommended contents service. We first classify symptoms of stress and then define a tool for self assessment. We classify video, sound, aroma, and lighting contents as well according to the defined symptoms. We propose 3-phase customized recommender and service model for customized contents service. We design and implement a customized contents service system for relieving users' stress. Different from existing systems, this proposed system has an individually-customized system and provides a diverse combination of different content's types.

Modern Methodologies of Personalized e-Learning (개인 맞춤형 이러닝의 현대적 방법론)

  • Oh, Y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569-572
    • /
    • 2010
  • 맞춤형 이러닝은 학습효과의 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개인 맞춤형, 개인화 혹은 적응화 등의 개념이 제안되고 확장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 선호도, 흥미도 혹은 검색습관을 고려하는 방식으로부터, 특정한 학습객체를 자율 선택하여 반복 학습할 수 있도록 개념단위를 적용한 방식, 학습자의 능력을 고려한 최적 난이도 학습객체를 제공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 현대적 개인 맞춤형 이러닝 체계들을 비교 분석한다. 개별 시스템에 따라 '평가'에 국한되거나 '평가'와 '학습'을 연계하는 경우가 존재하며, 이에 따른 적용에 의하여 학습환경과 맞춤형 제공방식 및 학습효과를 상호 연계할 수 있음을 밝힌다.

  • PDF

Development of the e-Learning Contents for the First Programming Course (초보자 프로그래밍 개발을 위한 e-Learning 콘텐츠 개발)

  • Kim Jung-Sook
    • KSCI Review
    • /
    • v.14 no.1
    • /
    • pp.213-219
    • /
    • 2006
  • We need the customized e-Learning service according to not only developing the wireless mobile and hardware technology, also developing the multimedia process skills. Especially, the beginner who start to learn the first programming course must be provided the personalized learning. The beginner require the repeated practices to obtain the programming skills, also they reveal the different learning effects following the learner capability In this paper. we develop a new e-Learning contents which give the individual service for learner and show the simulation which is program execution to maximize the learning effects.

  • PDF

A research on the necessity of e-learning multimedia contents: applying the customized driver's license exzmination learning system (맞춤형 운전면허 학과시험 학습 시스템을 사용한 E-Learning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필요성 연구)

  • Lee, sung-haeng;Min, Byung-won;Oh, y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51-352
    • /
    • 2011
  • 운전면허 시험이 존재하는 동안 운전면허 학과시험은 필수적인 시험제도로 존재 할 것이며 향후 상당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산업화가 될 것으로 전망 된다. 그러나 기존의 서적을 통한 학습은 이미 출제 되었던 문제로 지정된 상황에 대한 대처 방법을 평가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운전면허 학원에서 학과시험을 취득 할 경우 과도한 시간과 경비가 소요할 뿐만 아니라 학습효과 면에서도 비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때문에 학습자의 능력, 연령 등을 고려한 맞춤형 운전면허 학과시험 시스템의 시급의 도입이 시급하며 이를 편리하게 학습 할 수 있는 E-Learning 멀티미디어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학습자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맞춤형 운전면허 학과시험 학습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문항반응의 오답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평가문제와 학습콘텐츠를 선택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동적 맞춤형 E-Learning 학습방식을 제공하고, 난해한 교통 법규를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 PDF

A Study on Personalized Health Care Contents Recommendation Algorithm (사용자 맞춤형 건강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 Lee, Hanuel;Lee, Hayoung;Han, Ayeon;Sin, Moon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360-361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웹 또는 앱을 통해 제공되는 무한한 정보 중에서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건강 관련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 맞춤형 건강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그리하여 집단 지성 알고리즘과 의사 결정 나무를 활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건강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자가건강진단 정보를 활용하여 웹상의 URL 정보를 토대로 맞춤형 정보를 분석, 추천하는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제시한다.

  • PDF

Development of Personalized Examination Guidance Contents for Customer to Improvement of Waiting Time Satisfaction in Department of Radiology (영상의학과 대기시간 만족도 개선을 위한 고객 맞춤형 검사안내콘텐츠 계발)

  • Seoung, Youl-H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7
    • /
    • pp.219-224
    • /
    • 2011
  • To improve medical service and customers' satisfaction by reducing actual waiting time for medical inspection by personalized examination guidance contents (PEGC) linked with medical information system (MIS). The suggested PEGC was completed with preparing transmission for data and PEGC by using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 (TCP/IP) which can be built up creditable data transmission service. When patient signal event appeared in MIS while the communication was in standby, the ID and data of the customer were shown as text and image on monitors in waiting room. Guiding inspections, steps of examination, and undressing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PEGC was also shown to the appropriate patient. After installation of the suggested PEGC, we rechecked satisfaction rates of 60 customers who visited the hospital with a same method as initial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3.6 point of waiting time satisfaction index were improved, after installation of the suggested PEGC, as 4.6 point.

User Profile Construction for Customized Wellness Content Recommendation on Mobile (모바일용 맞춤형 웰니스 콘텐츠 추천을 위한 사용자 프로파일 구성)

  • Park, Se-Jun;Lee, Won-Jin;Lee, Jae-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157-15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용 맞춤형 웰니스 콘텐츠 추천을 위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로파일에는 웰니스 콘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웰니스 5 영역(신체, 정서, 사회, 지식, 정신) 각각의 선호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신변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신체적 제약 조건도 포함한다. 이 프로파일을 이용하면 사용자에게 맞춤형 웰니스 콘텐츠를 추천함에 있어 웰니스 5 영역을 모두 고려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질환 정보를 프로파일로 유지함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맞지 않는 콘텐츠를 선별하여 제외시키는 필터 및 안전 장치의 역할도 가능하게 한다.

  • PDF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네트워크 장비의 실습형 e-Learning 콘텐츠 제작

  • 김동진;김평중
    • Review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 no.1
    • /
    • pp.43-49
    • /
    • 2004
  • 유비쿼터스 기술은 언제, 어디에서나, 원하는 형태의 정보와 서비스를 원하는 매체와 장치를 통하여 제공하는 지능형 네트워크 개념으로 정립되어가고 있다. 디지털 지식 기반을 통하여 통신과 방송이 융합되고 이를 통한 다양한 콘텐츠의 유통 및 서비스 방식이 급속하게 변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의 생활 패턴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