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1.11.2.101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ustomized Contents Service System for Relieving Users' Stress  

Kim, Jin-Sung (단국대학교 컴퓨터학과)
Kim, Seung-Hoon (단국대학교 멀티미디어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As the society has become maturer, stress has emerged as a hot social issue.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ustomized contents service system for relieving users' stress. In the proposed system, we compute the stress index from a user's biometics and psychology, and recommend a combination of video, sound, aroma, and lighting based on the index and user's data such as preferences, and provide the recommended contents service. We first classify symptoms of stress and then define a tool for self assessment. We classify video, sound, aroma, and lighting contents as well according to the defined symptoms. We propose 3-phase customized recommender and service model for customized contents service. We design and implement a customized contents service system for relieving users' stress. Different from existing systems, this proposed system has an individually-customized system and provides a diverse combination of different content's types.
Keywords
Stress; Relieve Stress; Adapted Content Service; Service Model;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기술문서 DKUCTI-TR-2010-S07 :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콘텐츠 분석서", 단국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소, 2010.
2 "기술문서 DKUCTI-TR-2010-S11 : 사용자 스트레스 증상/정도에 따른 규칙기반 추천 규칙 설계서", 단국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소, 2010.
3 "기술문서 DKUCTI-TR-2010-S12 : 맞춤형 Stress 서비스 시스템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모델 설계서", 단국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소, 2010.
4 강민정, “색채 명상이 정서.행동장애아동의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교육학석사학위논문, 2007(8).
5 김지영, “아동의주의집중력을 높이기 위한 비주얼테라피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컨텐츠디자인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8.
6 H. Selye, “The Physiology and Pathology of Exposure to Stress,” Montreal, Acta. 1950.
7 H. Selye, “The Evolution of the Stress Concept,” Am J Cardiol, Vol.3, No.26, pp.289-299, 1970.   DOI   ScienceOn
8 T. H. Holmes and R. H. Rahe,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2, No.11, pp.213-221, 1967.
9 R. S. Lazarus, "Psychological Stress and Copong in Adaptation and illness," Psychosomatic Medicine-Current Trends and Clinical Application. Vol.4, No.5, pp.321-333, 1974.
10 조숙행, "스트레스 평가와 관리", 대한의사협회지, 제47권, 제3호, pp.226-234, 2004.
11 정상중, 서용수, 정완영, "u-Health 서비스 지원을 위한 착용형 옥시미터를 이용한 맥파 분석 시스템", 센서학회지, 제19권, 제1호, 2010.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12 "기술문서 DKUCTI-TR-2010-S04 :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생체신호 분석방법 정의서", 단국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소, 2010.
13 "기술문서 DKUCTI-TR-2010-S05 :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자가평가척도 분석서", 단국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소, 2010.
14 J. Cheatham and R. Stein, "Relationship between self-Actualization scores of staff nurses & burnout syndrome symptoms," Nursing Leadership, Vol.3, No.3, pp.2-13, 1982.
15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 개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제39권, 제4호, pp.707-719, 2000.
16 최승미, 강태영, 우종민,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 수정판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근로자 대상", 대한신경정신의학지, 제45권, 제6호, pp.541-553, 2006.   과학기술학회마을
17 "기술문서 DKUCTI-TR-2010-S06 : 맞춤형 Stress-Free 서비스를 위한 종합 설문지 정의서", 단국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소, 2010.
18 김장순, “아로마테라피가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공중보건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7(6).
19 이윤희, “스트레스에 대한 음악치료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01(8).
20 한승헌, “스트레스 지수 알고리즘 설계 및 분석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의용공학협동과정 공학박사학위논문, 2008(8).
21 “대형 시장으로 성장하는 스트레스 산업”, KISTI 글로벌통향브리핑(GTB), 2006(10).
22 황인경, “정신건강(Mental Health), 이제 사회적관심 높일 때”, LGERI Weekly 포커스, 2010(2).
23 하안례, “향기요법의 이용형태와 뇌파로 본 건강증진 효과”, 고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박사학위논문, 20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