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만족도 이용과 충족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1초

욕구 충족 영상 콘텐츠(브이로그 / ASMR / 먹방) 이용 동기, 수용자 특성, 시청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 Motivation, Consumers' Characteristics, and Viewing Satisfaction of Need Fulfillment Video Contents(Vlog / ASMR / Muk-bang))

  • 강미정;조창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73-98
    • /
    • 2020
  • 본 연구는 메이저 동영상 콘텐츠로 떠오르는 브이로그, ASMR, 먹방 콘텐츠를 '욕구 충족 영상 콘텐츠'로 새롭게 개념 규정하고, 이용과 충족 이론 관점에서 수용자의 이용 동기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 5대 성격,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으로 구성된 수용자 특성과 시청 만족도 간 상관관계를 탐색하였다. 분석에는 해당 콘텐츠 시청 경험이 있는 441명의 표본에 대하여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의 통계분석 기법이 활용되었다. 그 결과 욕구 충족 영상 콘텐츠 시청 장르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 특성은 연령, 소득수준, 집단주의로 나타났으며, 이용 동기는 자기 평가 및 향상, 감각 자극 및 안정, 재미 추구, 도피 및 시간보내기, 유행 추구의 5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아울러 5가지 이용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 특성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며, 각 이용 동기가 시청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도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이어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 의의 및 욕구 충족 영상 콘텐츠 산업 발전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CCTV를 통한 시민들의 안전욕구충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curity Needs of Citizens Utilizing CCTV on the Life Satisfaction)

  • 박영만;김은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437-447
    • /
    • 2011
  • 본 연구는 안전욕구충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안전욕구충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0년 8월-9월 서울지역(강동, 강서, 송파, 강북)에 거주하고 있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남 여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판단표집법을 이용하여 300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최종분석에 시용된 사례수는 259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검증 및 F검증,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CCTV를 통한 시민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안전욕구충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력에 따른 심리적욕구충족은 전문대졸 이하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CCTV를 통한 시민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안전생활만족은 남성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CCTV를 통한 시민들의 안전욕구충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안전욕구충족과 안전생활만족은 하위요인인 환경적욕구, 정보적욕구는 안전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의 안전욕구충족과 이용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User's Security Need Sufficiency, Customer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Electronic Security System)

  • 김찬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257-267
    • /
    • 2009
  • 본 연구는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의 안전욕구충족과 이용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08년 6월 20일부터 7월 15일까지 25일간에 걸쳐 서울 소재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들을 모집단으로 집락화하여 각 지역에 1개동을 추출하고 80명씩 총 400부를 배부하여 378명을 유의표집 하였다.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302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6.0올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단계별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환경적 심리적 정보적 물리적 안전욕구가 높을수록 신변 재산보호 시설이용 만족은 높다. 그리고 신체적 환경적 심리적 안전욕구가 높을수록 직원서비스 만족은 높다. 둘째, 신체적 환경적 정보적 물리적 안전욕구가 높을수록 일상생활, 안전생활 만족은 높다. 셋째, 신변 재산보호 시설이용 직원서비스 만족이 높을수록 안전생활 만족은 높다. 또한 직원서비스 신변 재산보호 만족이 높을수록 일상생활 만족은 높다. 넷째, 안전욕구충족은 생활만족에 직접적으로 낮은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지만, 기계경비시스템 이용 만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생활만족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친다.

이용과 충족이론에 기반한 e스포츠 직접관람자가 관림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of eSports Direct Spectators' Motivation on Audienc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 전려화;유창석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09-118
    • /
    • 2022
  •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을 적용하여 e스포츠 직접관람자의 관람동기, 관람만족, 행동의도의 주요 변수 간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기존의 주요 관람만족 동기 중 8개의 스포츠동기, 3개의 팬동기와 한 개의 관람촉진 동기가 e스포츠의 직접관람동기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직접관람자의 관람동기 중 오락, 팀애착, 경기기술, 선수매력, 심미성 동기요인은 관람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행동의도에는 사회교류와 오락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영상 UCC의 이용 동기와 만족에 관한 탐색적 연구 (Uses and Gratifications of User-Created Contents: Expressing Self with Self-Produced Video Clips)

  • 성명훈;이인희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0권
    • /
    • pp.45-79
    • /
    • 2007
  •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접근을 통해 동영상 UCC의 이용 행태와 이용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표현', '사생활 영유', '참여', '정보추구', '휴식', '오락'의 총 6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이들 중 '자기표현'의 요인의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다. 동영상 UCC 이용 후 만족도를 요인 분석한 결과 역시 '자기표현', '휴식', '정보추구', '사회의식', '오락'의 총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이용 동기의 요인 항목 중에서는 오락과 휴식 요인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동영상 UCC의 이용 행태에 따른 만족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동영상 UCC 이용 시간과 동영상 UCC 제작 경험 여부를 변인으로 하여 추출된 각 만족 요인의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동영상 UCC의 이용 시간에 따른 만족도는 '자기표현', '휴식', '정보추구'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표현' 요인의 경우 전반적으로 동영상 UCC의 이용 시간이 증가할수록 만족도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시간 이상 동영상 UCC를 이용하는 경우 오히려 만족도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휴식'과 '정보추구' 요인에서도 동영상 UCC의 이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만족도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이러닝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백현기;하태현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3-445
    • /
    • 2006
  • 본 연구는 e-Learning이 오프라인 교육으로 대변되는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 매체를 대체할 가능성 내지는 오프라인 교육과의 상호 보완적인 역할 가능성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e-Learning 산업의구체적인 발전 방향을 찾아보고 이에 따른 향후 성장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 기존의 전통적인교육 매체 수용자의 특성과는 다른 양상을 나타낼 e-Learning 이용자의 특성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한다. 이를 위해 e-Learning을 교육 매체로서 선택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e-Learning을 이용하는 동기와 e-Learning 이용 행태, 그리고 e-Learning 이용에 따른 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대형쇼핑몰 보안서비스품질이 고객안전욕구충족 및 고객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hoppers' Security Need Sufficiency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Security Services in Large Shopping Centres)

  • 이종환;강경수
    • 시큐리티연구
    • /
    • 제23호
    • /
    • pp.41-63
    • /
    • 2010
  • 이 연구는 대형 쇼핑몰 보안서비스 품질이 고객의 안전욕구의 충족 및 이용만족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2010년 2월 용인시 소재 대형쇼핑몰 2곳과 분당소재 대형쇼핑몰 2곳, 수원 소재 쇼핑몰 1곳, 총 5곳을 이용하는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표집대상을 선정한 후 유의표집법(purposiv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5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나, 연구에 사용된 사례 수는 총 485명이다. 이 연구는 SPSS WIN 16.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결론은 첫째, 표집대상인 일반인들이 인식하는 대형 쇼핑센터의 시설보안서비스품질과 보안요원의 서비스 품질은 심리적 안전욕구와 범죄예방욕구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시설보안 서비스품질과 보안요원 서비스품질은 보안서비스만족과 경비시스템 운용만족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안요원의 전문성은 보안서비스만족과 경비시스템 운용만족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심리적 안전욕구와 범죄예방욕구는 보안서비스만족과 경비시스템 운용만족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안서비스만족과 경비시스템 운용만족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시설보안서비스품질 보안요원서비스품질은 심리적 안전욕구와 범죄예방안전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설보안서비스품질, 보안요원서비스품질, 보안요원의 전문성은 고객이용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시설보안서비스품질, 보안요원서비스품질은 심리적 안전욕구와 범죄 예방안전욕구를 통하여 고객이용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형마트의 보안서비스 품질은 고객의 안전욕구충족과 시설물에 대한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 PDF

유튜브 구독자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 의례적 이용동기, 도구적 이용동기, 몰입 및 만족을 중심으로 (Uses and Gratifications on Subscribed YouTube Channels : Centered on Motives for Ritualized use and Instrumental Use, Flow, and Satisfaction)

  • 주지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23-233
    • /
    • 2019
  • 이 연구는 유튜브 구독자의 이용과 충족을 탐색하기 위해 PLS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유튜브 구독자의 의례적 이용동기(Motives for Ritualized use)와 도구적 이용동기(Motives for Instrumental use) 구조를 확인하고, 이 두가지 동기가 만족에 직접적으로, 몰입(flow)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PLS 경로 모형분석을 통해 변인들 사이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제안된 가설이 모두 채택 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즉 유튜브 구독자의 만족은 의례적 이용동기와 도구적 이용동기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그리고 몰입을 중개변인으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끝으로 연구 결과의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의 안전욕구충족과 이용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User's Security Need Sufficiency, Customer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Electronic Security System)

  • 김찬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4-619
    • /
    • 2009
  • 본 연구는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의 안전욕구충족과 이용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2008년 6월 20일부터 7월 15일까지 25일간에 걸쳐 서울 소재(강동 강서 강남 강북 도심권)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들을 모집단으로 집락화하여 각 지역에 1개동을 추출하고 80명씩 총 400부를 배부하여 378명을 유의표집 하였다.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302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6.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단계별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환경적 심리적 정보적 물리적 안전욕구가 높을수록 신변 재산보호 시설이용 만족은 높다. 그리고 신체적 환경적 심리적 안전욕구가 높을수록 직원서비스 만족은 높다. 둘째, 신체적 환경적 정보적 물리적 안전욕구가 높을수록 일상생활, 안전생활 만족은 높다. 셋째, 신변 재산보호 시설이용 직원서비스 만족이 높을수록 안전생활 만족은 높다. 또한 직원 서비스 신변 재산보호 만족이 높을수록 일상생활 만족은 높다. 넷째, 안전욕구충족은 생활만족에 직접적으로 낮은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지만, 기계경비시스템 이용만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생활만족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친다.

  • PDF

도시크기에 따른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의 안전욕구충족과 생활만족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Security Needs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Electronic Security System Users by City Size)

  • 유영창;이종환;김찬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30-34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와 지방도시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의 안전욕구충족과 생활만족에 대한 차이를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대도시(서울)와 지방도시(천안 아산)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유의 표집법을 이용하여 총 400명을 표집 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지역에서 은행 귀금속점 편의점 통신업체등의 4개 영업점을 대상으로 2차 분할하여 실시하였으며, 1차는 2008년 6월 서울 소재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들을 한강기준으로 강동, 강서, 강남, 강북, 도심권 등의 5개 지역으로 분할하여 각 지역에 1개동을 추출 40명씩 총 200부를 표집 하였다. 2차는 2009년 1월 천안 아산 소재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4개 지역에서 50명씩 200명을 표집 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812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크기에 따른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들의 신체적 안전욕구충족은 차이가 있다. 즉, 대도시 이용자가 지방도시 이용자보다 환경적, 심리적, 정보적 안전욕구충족은 높다. 둘째, 도시크기에 따른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들의 생활만족은 차이가 있다. 즉, 대도시 이용자가 지방도시 이용자보다 안전생활 만족은 높다. 셋째, 도시크기에 따른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의 안전욕구충족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대도시 이용자들의 경우 신체적, 환경적, 정보적, 물리적 안전욕구충족이 높을수록 생활만족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