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만성 질병

검색결과 389건 처리시간 0.031초

Takayasu씨 동맥염과 동반된 관상동맥 및 신동맥 협착 (Takayasu's Arteritis Associated with Coronary and Renal Arteries Stenosis)

  • 황재준;김학제;류세민;조원민;손영상;최영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9호
    • /
    • pp.688-691
    • /
    • 2002
  • Takayasu씨 동맥염은 원인이 잘 모르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일종이다. 이 질병은 주로 대동맥궁과 대동맥의 주분지를 잘 침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관상동맥과 신동맥을 동시에 침범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최근 고려대학교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관상동맥과 신동맥을 동시 에 침범한 Takayasu씨 동맥 염 환자를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23세 여자로, 운동시의 흉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혈관조영술상 좌주관상동맥, 양측의 신동맥, 좌쇄골하동맥의 협착 소견을 보였다. 치료로는 양측의 신동맥에 스텐트를 삽입하는 혈관성형술을 시행하였고, 1주일 뒤 대복재정맥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과 인조혈관(PIFE)을 이용한 대동맥-쇄골하동맥간 우회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13일째 특별한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제주지역 양식 넙치(Paralichthys olivaceus)로부터 분리되는 Streptococcus iniae와 Streptococcus parauberis의 생물학적 특성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reptococcus iniae and Streptococcus parauberis isolated from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Jeju)

  • 이창훈;김필연;고창식;오덕철;강봉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3-40
    • /
    • 2007
  • 제주지역 양식 넙치의 주요 세균성 질병의 일종인 연쇄구균증 원인균 Streptococcus iniae 및 Streptococcus parauberis에 대한 생물학적 특성을 시험하였다.온도별 성장 시험결과 S. parauberis 균주는 10℃ 배양조건에서 성장이 이루어졌으나 S. iniae 균주의 경우는 10℃에서는 성장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용혈성 시험결과에서는 S. iniae 균주의 경우에만 β용혈성을 나타내었다.생화학적특성 시험결과 acetoin production test (VP test), hippurate hydrolysis test (HIP test)에서는 S. parauberis 균주의 경우에만 양성반응을 보여 두 균주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또한 α-D-glucose, D-mannose, D-psicose, D-trehalose, pyruvatic acid methyl ester, glycerol은 두 균주 모두 기질로 이용하였으나 L-lactic acid는 S. iniae 균주만이 이용하였고, β-methyl-D-glucoside의 경우는 S. parauberis 균주만이 기질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병원성 시험결과, S. iniae는 급성감염 형태를 보인 반면에 S. parauberis는 만성 감염형태를 보임으로써 차이를 나타내었다.

Impact Factors and Validity of Blood Variables on Death in COVID-19 patient: Using Data of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 Kim, Yu-Rin;Nam, Seoul-Hee;Kim, Seon-Ry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79-185
    • /
    • 2020
  • 본 연구에서 우리는 COVID-19의 사망에 대한 영향요인과 혈액변수의 타당도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서 제공하는 2020년 4월 30일까지 격리해제되었거나 사망한 COVID-19확진자 5628명의 임상역학정보를 활용하였으며, 자료는 R 3.4.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망에 대한 위험요인으로 치매(HR 7.03), 많은 나이(HR 5.39), 높은 림프구(HR 4.66), 암(HR 4.27), 호흡곤란(HR 3.25), 만성폐쇄성 폐질환(HR 3.22), 의식변화(HR 3.13), 심장질환(HR 2.24), 높은 혈소판(HR 2.14), 비정상 이완기 혈압(HR 2.02), 열(HR 1.69)이 확인되었다. 사망에 대한 혈액검사의 타당도는 림프구,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 혈소판, 백혈구 순으로 정확도가 높았다. 그러므로 COVID-19 환자를 치료할 때 사망의 위험요인으로 확인된 초기 임상적 특징 및 기저질환, 혈액검사의 소견을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폐에 발생한 원발성 부신경절종의 수술치험 - 1예 보고 - (Surgical Treatment for Primary Pulmonary Paraganglioma - A case report -)

  • 이충원;방정희;노미숙;김기남;최필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9호
    • /
    • pp.718-721
    • /
    • 2006
  • 환자는 37세 여자로 잦은 심한 기침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수술 전 시행한 흥부 전산화 단층 촬영상좌상엽 기관지 입구부의 폐종양으로 의심되는 종괴가 발견되었다. 좌상엽 기관지를 거의 완전히 막고 있는 종괴의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조직 생검 결과는 육아조직을 포함한 만성염증 소견을 보였다.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였으며 좌상엽 절제술 후 기관지 절단면의 종양 조직 침범 소견이 보여 소매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절제된 종양의 수술 후 조직학적 소견은 원발성 폐부신경절종의 특징을 보였다. 부신경절종은 교감신경절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폐의 실질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폐부신경절은 매우 희귀한 질병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매절제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치험 결과를 보고 하는 바이다.

장년근로자의 건강수준이 근로보상에 미치는 효과분석 (The Influence of Health Outcomes on Work Compensations for Elderly Workers)

  • 이순국;전용일
    • 노동경제논집
    • /
    • 제40권3호
    • /
    • pp.29-55
    • /
    • 2017
  • 본 연구는 주관화된 지표와 객관화된 지표로 구성된 장년근로자의 건강변수가 근로보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근로보수는 화폐적 요소인 임금수준과 비화폐적 요소인 작업조건을 대변해 주는 사업장 안전지표인 산업재해 여부로 구성된다. 장년근로자의 객관화되고 주관화된 건강요소들이 근로사업장의 물리적이고 조직적인 근무환경과 결합되어 생산성을 반영하게 되는 임금수준과 재해 발생에 미치는 효과는 성별 연령별로 뚜렷한 차이로 나타난다. 특히, 장년근로자의 정신적 건강문제는 임금수준이 높을수록 크게 나타난다. 신체적인 손상, 만성질환 등 질병을 경험한 장년근로자는 재해위험에 더 노출되어 있으며 보상임금도 낮다. 따라서 장년근로자들의 건강수준 격차에 따른 근로보상 차이가 커짐에 따라 사업장 근로여건 개선과 일자리 보호에 대한 취약성을 보완하여 전직지원서비스나 기업의 주도적인 은퇴설계 프로그램의 활성화와 국가 차원의 제도 지원이 요청된다.

  • PDF

맥진기 연구에 대한 중의사의 인식에 대한 수요조사

  • 김경철;김중한;신순식;김훈;이해웅;김종환;두승희;박주연;조영일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9-320
    • /
    • 2009
  • 한중 맥진기 관련 학술 교류와 맥진기 수출을 위한 전략으로 중국의 광주중의약대학 중의사를 대상으로 맥진과 맥진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임상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활용도가 높은 전통적인 병증으로 장부병증과 팔강병증으로 나타났으며, 한방 진단방법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활용하는 방법으로 문진과 맥진으로서, 그 이유는 진단 효율성과 환자와의 상담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상에서 한방 진단기기의 중요한 이유로는 측정기술과 데이터의 신뢰를 들었으며,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측정기술과 데이터의 신뢰성 부족과 전통적인 진단법을 보조하기엔 적합하지 못함을 들었다. 진단방법 중에서 맥진의 중요도와 활용도는 75%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맥진법 중에서 가장 잘 활용하는 부위는 촌구맥진법으로 나타났다. 촌구 맥진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환자의 자세와 손목 높이와 촌관척 부위였으며, 단안(單按)과 총안(總按)의 순서는 총안(總按)후 단안(單按)이 단연 우수하였다. 임상의 중요 맥상으로는 부침(浮沈)을 들었으며, 맥상 형성 기전과 표준화 연구에 가장 적합한 연구 방법론은 위수형세론에 입각한 문헌 연구와 병증별 맥상에 대한 임상 데이터 구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표적인 노인 특유의 맥상은 미세약맥이었으며, 그 이유는 노화로 인한 체력저하와 기혈부족을 들었다. 그리고 맥진기와 연계하는 만성 생활습관병 병증지표 연구개발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병증 체계는 장부병증이었으며, 질병은 고혈압과 동맥경화증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상에서의 활용도와 유의성이 높은 맥진기로써의 주된 기능으로는 오장육부 상태 진단을 들었으며, 맥진기의 임상적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현대적인 임상 분야는 심혈관 질환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맥진기 개발에 선행되어야 할 기반연구로는 촌관척 부위 찾기의 기준 확립과 임상 변증과의 관계 확립으로 나타났으며, 제공 받고자 하는 맥상 정보구성은 환자의 맥상명과 맥상 정도와 환자의 맥상에 따른 병증명 제시로 나타났으며, 제공되는 병증 서비스로는 장부병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개인 식품섭취 선호도에 따른 당뇨병 발생 위험도 분석 모델 (Diabetes Risk Analysis Model with Personalized Food Intake Preference)

  • 전소혜;김남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771-5777
    • /
    • 2013
  • 최근 만성질환의 증대로 질병의 지속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개인 맞춤형 식품섭취와 관련한 분석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당뇨병 발생 위험도 분석 모델은 기존 상품 선호도 연구를 통해 검증된 유사도평가 방법인 피어슨 상관계수 산출을 이용하여 식품 선호도를 산출하고, 유병율 분석 연구 등에 활용된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당뇨병발생 위험도를 제시하였다. 모델의 유의성 평가를 위해 당뇨 진단을 받은 환자 52명(남자: 22명, 여자: 30, 평균연령: 57(${\pm}13.2$)세)과 비교군과 비슷한 연령을 조건으로 무작위 추출된 52명(남자: 17명, 여자: 35, 평균연령: 58(${\pm}9.4$)세)의 t-검정을 통해 0.05 수준에서 유의함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식품섭취빈도에 따른 당뇨병 발생 위험도에 차이가 있음(p=0.046)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된 정보는 스마트폰이나 웹을 이용한 개인 건강관리 시스템에 적용을 통해 새로운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

사상체질(四象體質)과 비만(肥滿)의 상관성에 관한 임상적 연구

  • 김달래;백태현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19-335
    • /
    • 1996
  • 연구 목적 : 복지부 발표 '1993년도 대한민국 국민들의 영양상태'보고서를 보면 1인당 섭취열량은 1969보다 257Kcal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일부의 사람들은 과도한 열량을 섭취하고 있기 때문에 비만인 사람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보니 신문이나 잡지에서는 거의 매일 살빼는 약이나 신종 다이어트방법에 대한 광고와 기사를 앞다투어 내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비만증은 근래에 발병률이 현저히 증가하면서 중풍, 당뇨병, 고혈압, 암, 간경화증, 당석증 등의 만성질환의 이환율을 증가시키고, 관절에 큰 부담을 주어 골관절염을 보다 빠르게 진전시키며, 사람들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비만증은 용모의 손상을 일으켜 정신적인 스트레스의 주요 인자로 등장하고 있기도 하다. 비만인이 증가하는 원인으로는 서구화된 음식습관으로 동물성 지방질과 단백질의 섭취증가, TV 자동차 세탁기 오디오 리모콘 등 생활이기의 사용으로 인한 운동부족, 체질과 질병 등이 재기되고 있다. 이제까지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으나 주된 이론은 섭취음식의 절재와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것이었으며, 체질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비만증을 해결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이에 저자는 1992년 8월 20일부터 1995년 8월 19일까지 만 3년동안 상지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체질의학과에서 치료받는 4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사상체질과 비만과의 상관성을 임상적으로 연구하고 그 효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연구 결론 : 상지대학교 부속한방병원에 내원치료를 받고 있는 비만증환자들을 대상으로하여 체질과 비만과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만증 환자의 70.2%가 태음인이었다. 2. 치료결과 4주동안에는 $1.48{\pm}1.64kg$, 5주부터 8주동안에는 $2.05{\pm}2.10kg$, 9주부터 12주동안에는 $2.18{\pm}2.27kg$, 13주부터 16주동안에는 $2.08{\pm}2.88kg$이 감량되었다. 3. 체중감량에 있어 태음인이 가장 많은 감소를 보였다. 연령별로는 10대에서 가장 많은 감소를 보였다. 4. 비만환자의 혈액 가운데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방단백이 높온 사람보다 유리지방산과 중성지방이 높은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5. 비만인의 혈청지질에서는 FFA, TG가 높았다. 그 이유는 육식보다는 당질과 지방질의 섭취로 나타난 것이었다.

  • PDF

만성질환아 어머니의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 정도와 양육태도 (Perceived Uncertainty and Rearing Attitude of Mothers with Chronically ILL Children)

  • 박은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5-18
    • /
    • 199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degree of perceived uncertainty and to identify the rearing attitudes of mothers with chronically ill childre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uncertainty and the rearing attitude of these mot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33 mothers with chronically ill children, registered at 2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1 to May 31, 1996. The Parents' Perception of Uncertainty Scale(28-item 4 point scale) and the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49-item 5 point scale) were used. Data was analyzed by Cluster analysis, ANOVA MANOVA and t-test.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Mothers perceived their uncertainty to be slightly high (Mn 2.48). The degree of perceived uncertainty by the four components slightly differed unpredictability(2.72), lack in clarity(2.58), vagueness (2.52) and lack of information(2.04) . The degree of perceived uncertainty of mothers with ill children revealed to be influenced significantly by the age of the ill children, duration of illness after the diagnosis, and th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2. Among the rearing attitudes : moderatlely high affective(Mn 3.98) and resrictive(Mn 3.58) attitudes of mothers toward their ill children were identified. Mothers tend to give positive evaluations of their childrens' behaviors (Mn 3.38) and less rejection(Mn 2.81). 3. Mothers' rearing attitude were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perceived uncertainty in illness ; mothers in the Low Perceived Uncertainty Group (Mn 1.99) revealed the highest affective (Mn 4.08), the lowest resrictive(Mn. 2.72) attitudes and tendency to give positive evaluations of their childrens' behaviors (Mn 3.54) compared to the High Perceived Uncertainty Group(Mn 3.26) and Moderate Perceived Uncertaity Group(Mn 2.57). 4. The degree of perceived uncertainty, the duration of illness after the diagnosis and th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revealed to be significantly influential to the rearing attitude of mothers with chronically ill children.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predicting and controlling mothers' uncertainty are necessary for improved, efficient nursing interventions and normal growth & development of the chronically ill children.

  • PDF

박테리아 생체막에 대한 항생제 내성 연구 (The Study of Antibiotic Resistance in Bacterial Biofilms)

  • 김진욱;주치언;박진용;이송애;김인혜;이재화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57-160
    • /
    • 2005
  • Biofilm 내부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의 성장형태는 만성감염과 질병을 발생한다. 인위적 형성한 biofilm의 체외실험 모델 시스템 통한 항생제 침투 실험을 수행하였다. 항생제 내성 균주 (E. coli, S. aureus)는 항생제 내성균주 은행으로부터 획득하였다 Ca-alginate bead를 인위적 biofilm으로 사용하였고, 세포 생존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기 압축을 이용한 세포 포획 실험도 측정되었다. biofilm의 항생제 감수성은 항생제의 농도 따라 최저 저해 농도 (MIC)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bead생성에 따른 안정성은 bead를 형성하지 않은 세포와 비교하여 감소하였다. 항생제에 민감한 E. coli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체수도 감소하였으나, 항생제 내성 E. coli는 일정한 균체수를 유지하였다. bead형성 후 항생제 투여 효과는 항생제 내성이 있고, 낮은 농도의 항생제를 처리할수록 더 높은 생존률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