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을조직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초

마을기업에서의 일터영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만족을 매개효과로 - (A Study on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f Community Enterpris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 조영복;하태영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2호
    • /
    • pp.137-165
    • /
    • 2016
  • 마을기업은 지역사회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공익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업방식이면서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자원을 활용하는 공동체 회복을 위한 대안적 노력의 한 형태이다. 이처럼 사회적 가치를 지향하면서도 영리기업의 특성을 함께 가진 마을기업은 자신의 삶에 대한 궁극적인 의미를 가지고, 마을기업의 일을 통해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으며, 동료들과 함께 있다는 심리적 정서 즉 공동체 의식이 마을기업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일터에서의 영성은 일반기업에서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가치를 가지고 지역과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목적으로 지역의 공동체를 형성하여, 비즈니스 형태로 해결하려는 마을기업에서도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오늘날 급격한 경영환경의 변화와 사회적 역동성의 중심에서 개인과 조직의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대안 중의 하나가 일터영성이다. 일터영성은 만족, 몰입, 헌신, 조직시민행동에 이로울 뿐 아니라,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한다. 대부분 일반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기존 일터영성 연구에서 연구 범위와 대상을 확대하여 마을기업에서의 일터영성 효과를 실증 분석하여 마을기업의 발전에 기여코자 한다. 분석결과, 마을기업과 일반기업 모두 동일하게 일터영성은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직무만족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직무만족은 일터영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또한, 마을기업에서의 일터영성은 일반기업과 차이가 있었는데, 마을기업에서 일터영성의 계수와 영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일터영성이 영리를 우선으로 추구하는 일반 기업에서도 중요하지만 마을기업에 더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마을기업을 통한 일의 소명의식, 자신에 대한 내면의식, 타인에 대한 공감의식, 조직에 대한 공동체 의식, 자신을 넘어서는 초월의식인 일터영성은 마을기업 내 촉진되고 정착될 필요성이 있다.

  • PDF

공동자원을 둘러싼 마을의 의사결정구조와 공동관리: 제주 행원리 사례를 중심으로 (Decision Making Structure and Commoning in local communities of Jeju island as a commons)

  • 김자경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35-74
    • /
    • 2019
  • 지역 단위의 마을 조직들과 공동자원과의 관계는 매우 복합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한국의 농촌 지역에는 일제 식민지 시기(1910~1945년)와 1960년대 초 군사독재정부 시기에 만들어진 다수의 마을 조직들이 여전히 존재하고있다. 각 마을마다 군사독재정부 시기에 만들어진 개발위원회가 존재하며 그밑으로 노인회, 청년회, 부녀회와 같은 조직들이 마을의 대소사를 결정하는데관여하고 있다. 이들은 직접적으로 공동자원과 연관된 조직은 아니지만, 마을공동체 소유의 공동자원에 대한 관리와 처분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또한 목장조합, 산림계, 어촌계와 같이 공동자원을 관리하는 조직들도 존재한다. 이 조직의 구성원들은 첫 번째 유형의 조직 구성원들과 일치하는 경우가많고, 식민지 시기와 군사독재정부 시기를 거치면서 위로부터 조직되었다는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공동자원과 연관된 조직들은 위로부터의 조직화 이전부터 지니고 있던 자원관리의 규칙과 규범들을 지니고 있었고, 오랜시간을 거치면서 점차 상대적인 자율성을 획득해 왔다. 지역 단위의 마을 조직들과 공동자원과의 관계는 오랜 기간 동안 개발주의패러다임 속에서 규정되어 왔다. 마을의 개발위원회와 청년회, 노인회 등 마을내 조직들은 농촌의 근대화라는 이념을 받아들이고, 그 과정에서 마을 목장을비롯한 공동체 소유의 토지를 마을 외부의 자본에게 매각해 왔다. 동시에 이들은 마을공동체 소유의 공동자원 관리를 통해서 마을의 공동자원을 보존하는데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그래서 어떤 마을의 경우에는 목장조합이 목장의매각에 주도적으로 나서는 반면, 다른 마을의 경우에는 목장조합이 목장 보존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이 글의 목적은 한국에서 특히 많은 수의 공동자원을 보유하고 있어서 '공동자원의 섬'이라고 불리는 제주도에서 지역의 마을조직들이 공동자원의 이용과 관리에서 보이는 복합적인 활동을 해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외부조건의 변화를 계기로 공동자원에 대한 인식과 실천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마을공동체 내부의 문화적 조직적 특성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보다 풍부한 논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을기업의 조직성과와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요인분석 - 부산지역 마을기업을 중심으로 - (The Factor Analysis for the Improvement of Community Enterpris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Sustainability -Focused on Community Enterprises in the Busan Area-)

  • 임경수;하태영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2호
    • /
    • pp.241-26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기업의 성과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어떤 요인들이 필요하고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마을기업을 활성화하고 발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위해 부산의 마을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직성과와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해 사회적기업가 정신, 조직공정성, 조직신뢰, 심리적 주인의식, 네트워크 활동, 인적자원개발(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마을기업을 운영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고자 보완점과 대응책, 활성화를 위한 여건마련 등 정책적 지원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마을단위 농업경영체 조직전략 및 운영요소 도출 연구 (A Study on Organizational Strategy and Operational Elements of Community-based Agricultural Management Bodies)

  • 김종안;길청순;김기태;김원경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3호
    • /
    • pp.777-822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농업 농촌의 쇠퇴와 공동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농업경영 주체로서 마을단위 농업경영체의 조직전략 및 운영요소를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농업조직화 이론의 틀 속에서 마을 단위 공동경영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최신 논의 동향을 검토하였으며, 마을단위 공동경영 사례에 대한 조직관리 및 경영관리 실태를 조사였다. 이를 통해 한국 농업 농촌의 현실 여건에 적합한 조직전략 및 운영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단위 농업경영체는 농업생산의 효율화만을 추구하는 단순한 협업조직이 아니며 '농업생산력 유지, 농업소득 증진, 농촌사회 유지'라는 복합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 경영체이다. 이러한 관점을 반영하여 본 논문에서는 마을단위 농업경영체를 '농업생산력 유지, 농업소득 증진, 농촌사회 유지 등을 달성하기 위해 다수의 농업인과 주민이 협조적, 집단적, 조직적 의사결정을 통해 개별적으로 보유한 농업자원을 마을 단위로 공동으로 이용하거나 공동 자본을 조성하여 운영하는 법인'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마을단위 공동경영을 실천하는 국내 사례에 대한 조사 결과 공동경영의 영역은 '생산'보다는 '가공, 유통. 체험' 등 2~3차 영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소규모 전업농이 다수를 차지하는 국내 농업구조에서는 일본 수도작 지역의 집락영농 유형과 같이 '1마을 1농장' 방식의 경영통합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마을단위 농업경영체는 '생활공동체' 성격과 '농업경영체'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기 때문에 조직운영 방식과 의사결정 체계도 두 가지 틀 속에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을 반영하여 본 논문에서는 마을단위 농업경영체의 추진체계, 최고의사결정기구의 조직관리 요소, 사업조직 관리 요소, 단계별 운영요소, 공동 농작업 관리 요소, 조직전략 수립요소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마을단위 농업경영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지원 방향에 대해서는 한국 농업 농촌의 사회문화적 특성, 각각의 마을 여건 등을 고려하여 획일화된 지원보다는 마을단위 농업경영체를 설립하고 운영해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지원하고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방식의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농촌체험관광마을의 장소자산과 유형 : 경기도 농촌체험관광마을을 사례로 (Place Assets and Types of Rural Experience Tourism Villages: Case Study on Rural Experience Tourism Villages in Gyeonggi Province)

  • 고선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18-435
    • /
    • 2008
  •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농촌체험관광마을을 대상으로 장소자산의 관점에서 지역 발전의 주체인 지역주민의 참여와 역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농촌체험관광마을을 유형화하고 유형기준에 따라 경기도 4개 지역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농촌체험관광마을은 개별적 조직화형, 공동체적 조직화형, 개별적 통합형, 공동체적 통합형으로 유형화하였고 공동체적 조직화형으로 발전하도록 지역사회 공동체성에 대한 인식을 환기하고 접근방법의 근본적 전환이 요구됨을 제안하였다.

  • PDF

마을숲 보전 사업에 대한 마을 주민의 참여가능성 -남원시 2개 마을의 경우 (Villagers' Participation in Conservation of Village Woodlands -Two cases of Namwon City, Korea)

  • 박소희;구자춘;윤여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15-23
    • /
    • 2013
  • 이 연구는 마을 주민이 마을숲 보전 사업에 참여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성별, 연령, 출신지, 부의 수준, 마을숲 이용 빈도, 마을조직 대표 경험과 같은 주민들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마을숲 보전 사업 참여가능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마을숲이 존재하는 두 마을에서 각각 52명, 41명의 응답을 얻을 수 있었으며, 순서화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A마을에서는 마을숲 이용 빈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마을숲 보전 사업 참여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B마을에서는 그 마을에서 태어나고 마을조직 대표 경험이 있는 사람일수록 마을숲 보전 사업 참여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주민들의 마을숲 보전 사업 참여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마을별로 다르게 나타난 이유는 마을숲 소유권으로 인한 마을 주민들의 마을숲 이용 현황과 마을숲 문화의 유무에 따라 마을숲 가치를 이해하고 있는 주민의 비율이 서로 달랐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마을숲 보전 사업에 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마을숲의 이용권한을 지역 주민들에게 부여하고, 마을숲을 활용한 문화행사나 교육사업 등을 통하여 마을숲에 대한 주민들의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미국과 일본 마을기업의 법 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gal System of Village Enterprise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 두성림;권주형;최호규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3호
    • /
    • pp.11-22
    • /
    • 2020
  • 최근에 선진국은 저출산율과 고령화, 급격한 인구 이동 그리고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 등의 문제로 인하여 공동체 의식이 약화되고 있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일본 같은 선진국에서는 주민 지방자치 참여를 위한 지역 단위별 공동체조직을 형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일본 마을기업의 법 제도를 중심으로 사례를 살펴보고, 사례의 분석결과의 적용가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마을기업의 개념과 등장배경 그리고 유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미국과 일본 마을기업의 제도적 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셋째, 미국 시애틀시와 일본 동경도 세타가야구 등 마을기업 법 제도 사례를 분석하였다. 넷째, 연구 결과에 따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담행정조직을 설치하고 세분화해야 한다. 이는 각 지역별로 적합한 행정서비스 지원을 위해 출장소를 설치하고 마을 만들기를 지원하는 세분화된 조직체계를 구축해야 하다는 것이다. 둘째, 자주적인 재원을 확보해야 한다. 즉, 마을 만들기 사업을 할 때 재정적 지원에 의존하지 않고 자주적 재원을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단계적인 사업을 실행해야 한다. 이는 단계적 사업 시행을 통하여 주민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지속적인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넷째, 지역사회의 대학 및 특성화고등학교가 함께 사회혁신과 같은 지역혁신을 위한 프로그램을 같이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지역방재력 향상을 위한 방재마을 만들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talizing a Project for Building a Disaster Resistant Community to Enhance Local Disaster Prevention)

  • 권건주;한기원;백민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47-56
    • /
    • 2009
  • 2008년부터 소방방재청이 추진하고 있는 방재마을 만들기 시범사업을 조기에 정착하고 전국적으로 확대하기 위해서 법률적인 측면에서는 자연재해대책법에 방재도시(마을)의 지정에 관한 조항 신설과 지방자치조례로 "(가칭) 방재마을 만들기 조례"를 제정하는 등 법적기반을 마련하여야 하고, 행정계획적 측면에서는 주민주도형 방재마을 사업계획서의 수립과 더불어 사업내용이 구조적인 컨텐츠 뿐만 아니라 비구조적인 컨텐츠에도 일정규모의 사업비를 배분하여야 하며, 마지막으로 조직적 측면에서는 지역 방재리더 육성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지역사회의 공식적 비공식적 조직간에 지역방재 거버넌스 체제도 구축하여야 하며, 방재전문가에 의한 사전 컨설팅제도 및 사업추진과정에 대한 평가시스템이 도입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