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기윤(2005), 주민자치센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창원시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 |
국토연구원(2007), 일본의 살고 싶은 마을만들기 연수보고서, 국토연구원.
|
3 |
김도완(2018), 마을기업이 마을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광진구, 성동구 마을기업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4 |
김선기.이소영(2007), 주민주도형 지역 만들기 추진 모형,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5 |
김선직(2009), 마을 만들기의 전략적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 도시정보공학과.
|
6 |
김한수(2009), 일본 마을 만들기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7 |
김해숙(2017), 어음책마을 조성을 위한 스토리텔링 전략,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 스토리텔링학과.
|
8 |
도시재생사업단(2012),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이야기, 한울, 50-53.
|
9 |
목정훈.박종헌(2008), 마을 만들기 운영사례 비교연구-광주광역시 북구와 동경도 세타가야구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9(4):19-38.
|
10 |
문종화(2012), 마을 만들기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 단체의 역할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1 |
방경숙(2015), 지역사회복지 관점에서 본 부산의 마을 만들기 사례연구,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2 |
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 센터(2016), 서울시 마을공동체 열린마당(1), 자료실, 7.
|
13 |
안동규 외(2006), 마을 창조, 서울: 소화.
|
14 |
안병훈(2009), 효율적 도시재생을 위한 주민참여 활성화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5 |
양재섭(2012), 서울의 마을단위계획 운영 실태와 자치구 역할 개선방향 연구, 서울연구원.
|
16 |
유영찬(2004), 지방분권화시대 주민참여 활성화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
17 |
이상민(2008), 住民參與形마을 만들기事業이 都市計劃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광주대학교.
|
18 |
윤한천(2001), 지방자치에 있어서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 행정학과 도시및지역개발행정전공, 석사학위논문.
|
19 |
이광국.임정민(2013), 선진국의 도시재생 흐름 고찰과 시사점-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의 법제도를 중심으로, 국토계획,48(6), 521-547.
|
20 |
이명규(2007), 한국의 마을 만들기 조례의 현황과 과제, 희망제작소 부설 조례연구소.
|
21 |
이용연(2004), 지방자치발전을 위한 마을 만들기 사업 활성화 방안 : 광주광역시 북구와 광주 YMCA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
22 |
이지혜(2009), 마을 만들기 사업에 있어서 주민참여 도에 관한 영향구조 분석 : 광주광역시 북구지역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
23 |
이창호(2012), 이슈와논점: 마을공동체만들기 현황과 과제, 국회입법조사처제436호.
|
24 |
이행렬(2001), 새로운 세기의 마을만들기 방향과전략.
|
25 |
이효선(2012), 공공디자인과 뉴거버넌스의 연계를 통한 지역활성화에 관한 연구 : '마을 만들기 교육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6 |
임경수(2007), 우리나라 마을 만들기 운동의 현황과 과제, 서울 : 국가균형발전위원회.
|
27 |
정석(1999), 마을 만들기 도시계획 실현 기본방향-주민참여형 마을 만들기 사례, 서울연구원.
|
28 |
정석.최기봉(2010), 서울시 마을 만들기 지원제도 연구, 서울특별시.
|
29 |
정성식(2006), 주민자치센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충북 영동.옥천.보은군을 중심으로, 영동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
30 |
정은주(2001), 지방자치에서의 시민참여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
31 |
정재희(2012), 커뮤니티의 관점에서 본 마을 만들기: 해외사례 분석 및 시사점 도출, 대한건축학회지, 56(6), 57-65.
|
32 |
황만구(2018), 마을공동체 사업 기본법의 법제화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33 |
최종환(2018), 마을 만들기 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실증적 분석, 광운대학교: 건설법무학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