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을상수도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생생 아이디어 - 마을상수도 무동력 소독장치

  • 한국상하수도협회
    • 한국상하수도협회지
    • /
    • s.29
    • /
    • pp.24-25
    • /
    • 2010
  • 마을상수도는 상수도가 공급되지 않는 농어촌지역 주민들의 편의를 위하여 제공하는 수도의 형태로, 현재 2만3천여 개의 간이급수시설이 설치 운영되고 있다. 농어촌지역 주민들의 유일한 식수 및 생활용수원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관리와 운영에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지역 주민들의 건강이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마을상수도의 안전성 확보는 농어촌지역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중요한 사안이다.

  • PDF

Uranium Levels in Groundwater of CGS (Community Groundwater System) of Korea (국내 마을상수도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

  • Cho, Byong-Wook;Kim, Moon-Su;Kim, Dong-Su;Hwang, Jae-Ho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1 no.6
    • /
    • pp.543-551
    • /
    • 2018
  • The uranium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in groundwater collected from 3,820 community groundwater system (CGS) located in remote rural areas where access to the nationwide water work is not easy.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uranium concentrations shows a lognormal distribution which is common in most radionuclide surveys. The measured maximum uranium concentration was $1,757.0{\mu}g/L$ with an average of $6.46{\mu}g/L$ and a median of $0.76{\mu}g/L$. When grouping the uranium concentration results of CGS into 10 geological units, the median uranium concentration was high ($0.99-2.05{\mu}g/L$) in three granite areas, and low in sedimentary rocks areas and porous volcanic rocks areas ($0.04-0.50{\mu}g/L$). Of the 3,820 samples, 3.8% are above the guideline value of $30{\mu}g/L$ (WHO, 2011). On the other hand, the exceeding rates of JGRA and PGRA CGS are 8.5% and 7.5%, respectively. Therefore, attention should be paid for the development of new CGS along with the management of the existing CGS in JGRA and PGRA areas.

Natural Radon Removal Efficiency of Small-scale Water Supply System (국내 마을상수도 지하수의 라돈 자연저감)

  • Cho, Byong-Wook;Yun, Uk;Choo, Chang-Oh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3 no.1
    • /
    • pp.33-4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egree of natural radon removal efficiency of small-scale water supply systems. Six sit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data on well characteristics (depth, pumping rate, water tank capacity, distance from well to tap water) were obtained. Water samples both from raw water and three tap waters at each sit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radon concentration. Average radon removal efficiency of the five sites (A-E) in Nov. 2006 was 26.0% while that of the same sites in Dec. 2006 was 45.6% indicating seasonal difference in natural radon removal efficiency. Meanwhile short-term (April 23, April 30, May 8, 2007) radon removal efficiency from the site F was 44.1-49.0%, implying only a little difference in natural radon removal efficiency. The degree of radon removal at tap water was influenced mainly by pumping rate rather than distance from the well and water tank capacity.

Treate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 of Small Scale Water Works in West Gyeong-Nam (서부경남지역 소규모 급수시설의 정수 수질특성 조사에 관한 연구)

  • Park, Hyungeoun;Kim, Kyungm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4 no.7
    • /
    • pp.454-458
    • /
    • 2012
  •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scale water works at west Gyeong-nam was analyzed by investigationg the 6,569 cases which were carried out from Jan. 2005 to Dec. 2010. The result of the research about treated water quality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fluorine was 0.19 mg/L at Hamyang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Nitrite nitrogen was 3.7 mg/L at Namhae each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Hardness, Total solids, Sulfate was 177 mg/L, 271 mg/L, 80 mg/L at Uiryeong. In the case of waterworks originated from valleys, the total bacterial count and turbidity were higher than ones originated from groundwater. On the other hand, nitrate nitrogen, total solids, hardness, sulfate, fluorine and iron were detected more than ones originated from valleys.

Hydrogeochemistry and Statistical Analysis of Water Quality for Small Potable Water Supply System in Nonsan Area (논산지역 마을상수도 수질의 수리지화학 및 통계 분석)

  • Ko, Kyung-Seok;Ahn, Joo-Sung;Suk, Hee-Jun;Lee, Jin-Soo;Kim, Hyeong-Soo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3 no.6
    • /
    • pp.72-84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proper management plans for small portable water supply system in the Nonsan area through water quality monitoring, hydrogeochemical investigation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es. Nonsan area is a typical rural area heavily depending on small water supply system for portable usage. Geology of the area is composed of granite dominantly along with metasedimentary rocks, gneiss and volcanic rocks. The monitoring results of small portable water supply system showed that 13-21% of groundwaters have exceeded the groundwater standard for drinking water, which is 5 to 8 times higher than the results from the whole country survey (2.5% in average). The major components exceeding the standard limits are nitrate-nitrogen, turbidity, total coliform, bacteria, fluoride and arsenic. High nitrate contamination observed at southern and northern parts of the study area seems to be caused by cultivation practices such as greenhouses. Although Ca and $HCO_3$ are dominant species in groundwater, concentrations of Na, Cl and $NO_3$ have increased at the granitic area indicating anthropogenic contamination. The groundwaters are divided into 2 groups, granite and metasedimentary rock/gneiss areas, with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presenting anthropogenic pollution by cultivation and residence from the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The discriminant analysis, with an error of 5.56% between initial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on geology, can explain more clearly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s by geology than the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Based on the obtained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thod to analyze the integrated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o clearly discriminate variations of the groundwater quality. The research results of small potable water supply system in the study area showed that the groundwater chemistry is determined by the mixed influence of land use, soil properties, and topography which are controlled by geology. To properly control and manage small water supply systems for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t is recommended to construct a total database system for groundwater environment including geology, land use, and topography.

Water Budget Analysis of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Continous Rainfall-runoff Model (연속유출분석모형을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 물 수지 분석)

  • Lee, Myung-Jin;Jeong, Woo-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3-293
    • /
    • 2011
  • 고성군의 상수도 보급률은 2008년 기준으로 61%이며, 인근지역인 통영시의 92%에 비하여 매우 낮은 실정이다. 고성군 용수공급 전망을 살펴보면 2014년 일 최대 $25,830m^3$/일의 수요가 예상되나 현재 광역상수도를 전량 수수하는 고성군의 배분량은 $20,500m^3$/일로 $5,330m^3$/일이 부족하여 용수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성군의 218개소 저수지중 주변의 오염요소가 적은 42개소 저수지 유역에 대해서 강우-유출모형을 모의 수행하였으며, 토양과 관련된 각종 자료와 이를 GIS기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산정하여, 연속유출분석모형인(NWS-PC)를 통하여 42개 유역의 유입량을 모의 수행하였다. 이러한 산정된 매개변수를 통해 2006년~2009년 동안의 강우량을 토대로 유출모의를 수행하였으며, 2008년 강우량을 토대로 극한 가뭄시의 경우도 모의 수행하였다. 최악의 가뭄시 최저 강우량을 2008년으로 선정하였기에 고성군의 평균유입량은 2,866.8천$m^3$/년으로 나타났다. 1990년~2005년도 평균 농업용수 이용량은 5,879.4천$m^3$/년이며, 2006년~2007년의 평균 농업용수 이용량은 2,186.2천$m^3$/년으로 2005년 이전 농경지 면적이 50%이상 줄어듦에 따라 이용량도 줄었다. 고성군의 평균 식수량은 406.3천$m^3$/년으로 산정되었으며, 고성읍, 하이면, 마암면, 거류면에서 유입량과 농업용수 및 식수량 차이에서 부족한 현상이 나타났으나 고성군 전체 평균으로 봤을 때는 274.3천$m^3$/년의 양이 남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성군 지역은 대부분의 농촌지역에서 생활용수를 마을상수도나 지하수에 의존하며 생활한다. 고성군 관내 농업용 저수지 중 식수겸용 저수지로 활용함으로써 인근 마을의 생활용수를 공급하게 되면 안정적인 마을상수원확보와 이상기후에 대비한 물 부족 대책을 수립할 수 있으며, 상습가뭄지역의 물 부족 문제가 해결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Study of securing safe groundwater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지하수 수질관리를 위한 안심지하수 연구)

  • Lee, Chung-Mo;Hamm, Se-Yeong;Jeon, Hang-Tak;Lim, Woo-R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54-454
    • /
    • 2017
  • 국내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 내 취약 계층은 약 214만 명으로 대부분은 노후관정 및 미신고 관정에서 지하수를 먹는물로 이용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미신고 관정이기 때문에 실태파악이 어렵고 정기적인 수질 검사를 실시하지 않아 수질상태에 대한 안전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농촌지역의 관정은 천부지하수의 의존도가 크고 강우에 의한 지표오염물질(축산분뇨, 비료 등)이 관정 내부로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다. 기존 연구에서도 천부지하수 관정의 조사 결과, 질산성질소 및 총대장균군에 의한 수질 오염이 심각하다고 보고된다(Chae et al., 2004; Min et al., 2003). 따라서 상수도 미보급지역 지하수 관정의 지하수 수질 현황을 파악하고, 고농도 오염 관정 및 지역의 경우 정밀조사를 통해 오염 원인을 규명해야 한다. 또한 오염 원인에 대한 향후 개선방안 및 대책안을 마련하여 지하수 수질 안정성 확보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안심지하수 지원 사업을 2012년 "지하수 안심이용 무료 수질검사 시범사업"부터 시작하여 2016년 "상수도 미보급지역 2016년 안심지하수 지원사업 연구"로 이어지며 수행하였다. 이 사업은 수질분석, 관정내부 탐사, 마을 공용 음용관정 설치지원, 고농도 오염지역 중 시범사업 지역 선정, 고농도 오염지역 수질개선 시범사업으로 구성된다. 수질 분석은 2012년 TA군 내 8개 읍 면의 1,200개 관정, 2013년 경기 북동부권 8개 시 군 11,861개 관정, 2014년 전국 14,494개 관정, 2015년 전국 25,900 관정, 2016년 전국 25,914 관정에 대해 수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질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농도 오염지역의 지하수 관정 내부 탐사를 실시하여 소유주에게 주변 환경 개선 조치 및 대민 지원(마을 공용 음용관정 설치)을 수행하고, 시범조사 대상지역을 선정하여 오염지역의 오염원 현황, 수질조사, 지하수 유동 모델링을 실시하여 오염 원인을 파악하였다. 추가로 2014년에는 안심지하수 수질보전 연구로드맵을 작성하여 환경부에 제시하였고, 2015년은 수질개선 사업에 대한 경제성 분석, 수질자료 DB 구축이 완료되었다.

  • PDF

Research on Groundwater Quality and Economic Expenses for Drinking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대구.경북지역 마을상수도용 지하수의 수질과 주민의 경제비용에 대한 조사)

  • Kang, Mee-A;Jeong, Tae-Kyun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9 no.3
    • /
    • pp.307-311
    • /
    • 2009
  • Agricultural is recognised as being the leading contributor to groundwater. As a consequence, the consumer have to has bear the high expenses of water supplied to be treated. Importantly, the cost of water supplied is a function of the water quality as well as the scale of drinking water treatm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er payment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was affected by the scale of drinking water treatments directly. Hence when we achieve the high quality and low cost in the case of groundwater treatment for drinking, it is needed to consider both water quality and plant scale.

Pump operation based on pressure sensors for the damage reduction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상수도관망의 피해저감을 위한 센서기반 펌프운영)

  • Kwon, Hyuk Jae;Kim, Hyeong G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00-20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실제 가압장 및 가압장후단부의 상수도관망에 발생가능한 수충격해석을 수행하고 신뢰성해석을 수행하여 파괴확률을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 가압장의 펌프운영조건을 다르게 적용하였고 관말단부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토출압을 선택적으로 운영하면 수충격의 규모도 작아지고 파괴확률도 대폭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압장의 토출압을 선택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관말단부에 필수적으로 충분한 수압이 존재해야하며 이를 위해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압력계를 설치하게 된다. 이 압력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통하여 펌프의 운영이 이루어지고 최소한의 에너지 사용을 통해 효율을 증대하고 피해율도 저감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센서기반 펌프운영시스템이 적용된 실제 상수도관망은 현재 가압장의 운영조건으로 24시간 75m의 펌프 토출압을 유지하고 있으며 관말단부의 수용가에 충분한 수압이 전달되고 있다. 가압장의 고압유지는 관말단부에 충분한 수압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지만 상수도관망에서 누수와 시설물에 대한 많은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압장의 펌프토출압을 75m와 60m로 선택적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기존 가압장의 운영조건과 선택적 운영조건을 사용하여 수충격해석을 수행하였고 신뢰성해석모형을 사용하여 파괴확률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었다. 가압장의 운영조건을 최적화하여 효율은 증대하고 피해율을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 가압장의 인버터 설치는 물론이고 펌프의 최적운영을 위해 개발된 펌프운영 프로그램을 가압장 배전반에 장착하여 경제적인 운영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상수관망에서 과도한 수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펌프장 토출압으로 운영되었을 때와 비교하여 에너지 절감율을 정량적으로 산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가압장 후단의 작은 마을을 대상으로 하여 절감된 전기요금은 적은 양이라 할 수 있겠으나 개발된 시스템을 전국에 적용한다면 에너지 절감으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는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

Framework for Drought Information System (가뭄 정보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 Shim, Kee-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13-213
    • /
    • 2012
  • 인류의 문명과 함께한 재난 중에서 가뭄은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국가의 존폐 위기를 가늠할 정도의 큰 재앙이었다. 우리나라의 가뭄상황을 파악하고 가뭄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국내 외의 가뭄관련 기관인 국토해양부, 기상청,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뿐만아니라, 미국 네브라스카주 링컨대학교내에 설립되어 있는 국립가뭄경감센터(NDMC)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재난전담기관인 소방방재청에서 가뭄정보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 실용적으로 유용한 시스템이 되기 위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의 물 관련 기관들이 구축해놓은 다양한 실시간 관측시스템을 연계 활용하기 위하여 가뭄관련 부처인 행정안전부, 국토해양부, 기상청,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및 소방방재청 등에서 물 관련 현황을 파악하여 실시간 관측정보들을 파악하였다. 소방방재청에서는 국가가뭄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2008년부터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우리나라 각 부처에서 구축한 가뭄관련 시스템들의 조사를 통해 생활 공업 농업용수 분야별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사점들을 살펴보았다. 가뭄정보시스템의 구축방향 제시에 있어서는 동시접속으로 인한 인터넷 과부하를 예방하면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자료를 활용하여 좀 더 정확한 현황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활성화를 기하고자 하였다. 가뭄정보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 내부 계산부문과 외부 표출부문으로 나누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내부 계산 부문에서는 여러 기관으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자료를 행정안전부 국립방재연구원 분석 평가 센터에서 관리하고 있는 서버에 집적하여 가뭄관련 정보를 수치적으로 계산하는 부문이다. 여기서는 강우자료를 토대로 하여 가뭄지수의 산정과 생활 공업 농업용수 분야별로 지역별 수요량과 공급량의 상태를 파악하여 실시간 가뭄지수(RDI)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간 가뭄지수(RDI)는 지역 주민들이 가뭄으로 인한 용수량 현황을 알 수 있는 가뭄지수가 되도록 하고자 한다. 특히, 가뭄지수의 산정제시에 있어서는 가뭄지수에 따른 재해피해 상황을 제시하여 피해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며, 농어촌공사 관할 저수지의 실시간 저수율을 활용하여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고 가뭄발생에 대한 간이상수도 및 마을상수도 등의 지역별 용수공급 가능성에 대한 전조정보를 파악하여 가뭄발생 이전에 사전 대응할 수 있도록 구축하고자 한다. 외부 표출 부문은 내부에서 계산된 결과 값을 인터넷의 부하를 줄이면서 자치단체 담당자들이 쉽고 빠르게 관할지역의 궁금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가뭄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