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을도서관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2초

도서관의 소통적 공간에 대한 사서 인식조사에 따른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the Communication Space of the Library According to Librarians' Perception Survey)

  • 노영희;김윤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27
    • /
    • 2020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을 소통적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도서관의 소통적 특성과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수행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도서관 소통적 공간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의 소통적 특성은 지역성, 공동체성, 상호작용성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사서의 인식조사 결과, 도서관 소통적 공간에 대해 사서들이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인식도를 나타내는 만큼 도서관에서는 소통을 위한 활성화 방안이 추진되어야 한다. 첫째, 소통과 교류라는 도서관의 새로운 역할 수행을 위해서 소통의 방향성을 설정해야 한다. 둘째, 도서관이 조용한 공간에서 벗어나 소통의 공간으로 재창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마을의 기관과 단체, 모임 등과 함께 교류 및 연계를 하고 넷째, 이용자들이 주체적이며 자발적으로 소통, 커뮤니티를 운영해 나갈 수 있도록 도서관에서 지원해주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개인화 검색시스템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학회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f Personalized Retrieval System through Society of Korean Journal Articles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광영;곽승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49-165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과학기술학회마을에서 제공하고 있는 일반 검색서비스에 대해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과학기술학회마을 논문 서비스에 적합한 개인화 검색서비스들을 개발하였다. 즉, 질의어 기반의 개인화 검색시스템, 논문의 공동 저자 기반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논문의 저자 키워드 기반 주제어 자동 추천 시스템과 유사한 사용자 자동 추천 시스템들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를 통해서 KISTI 과학기술학회마을 논문 서비스에 적합한 개인화 서비스를 모색하였다.

  • PDF

살기 좋은 마을의 거점에 관한 사례연구: 마을도서관과 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의 가족친화적 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mily-friendly Community Activity of the Community Library and the Apartment House Residents' Representative Committee)

  • 김선미;김소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1호
    • /
    • pp.73-96
    • /
    • 2010
  • This qualitative case study focused on two types of livable, family-friendly communities and their activities. The landscaping, the community library, and the Dongbu Apartment Residents' Committee were examined in relationship to the everyday lives of the community's residents through observation and an in-depth interview. The experiences and thoughts of two representatives and four volunteers were described in detail.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activity as well as a visible effort to improve quality of life. Further, it implies the necessity of a long-tenn perspective and commitment to developing a livable community base with strategies consistent with integrity and the values of everyday life. Above all, we researchers emphasiz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livable community is the third sector; a public space based on everyday life located between a structurally separate work space and family space.

  • PDF

양평군 공립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위한 운영자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Operator's Awareness for Revitalization of Public Small Libraries in Yangpyeong-gun)

  • 전경선;이지수;조상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7-119
    • /
    • 2022
  • 본 연구는 양평군 작은도서관 중 지자체에서 설립 및 운영하고 있는 공립 작은도서관의 운영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운영자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작은도서관 정책 및 활성화 방안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현황 분석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기본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요인을 기반으로 양평군 공립 작은도서관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순회사서와 운영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양평군 작은도서관 건물의 노후화, 인력 및 전문성 부족, 지역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장서 구성 및 프로그램, 지역사회 네트워크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중심의 생활밀착형 도서관을 위한 시설 및 환경 개선,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력 확충 및 전문성 강화, 지역밀착형 마을공동체 공간으로서 특성화 장서 및 독서문화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생활중심 네트워크 구축 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시각장애인실 서비스에 관한 조사 연구 - 한밭도서관 시각장애인실을 중심으로 - (Investigation on Library Services for Visually Imparied at Public Libraries)

  • 김영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77-199
    • /
    • 2004
  • 정보기술과 인터넷은 사람들의 정보접근과 의사소통을 보다 자유롭고 빠르게 만드는 삶의 보편적인 도구가 되었다. 경제적 기술적${\cdot}$육체적 장애로 인해 새로운 정보에 대한 접근이 차단되거나 제한된 사람들은 빠른 정보사회에서는 치명적인 불이익을 받게 됨은 분명하다. 정보접근권이 새로운 기본권으로 인식되고 있는 이 때에 모든 사람에게 접근이 허용된 공공도서관에서야말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서비스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전 한밭도서관 시각장애인실에서 시각장애인서비스업무 통계를 분석하고 서비스현장 관찰과 이용자 개별면담을 통해 이용행태와 이용자 요구사항을 조사하였고 담당사서와의 면담을 통해 제공자 관점을 청취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와 관점을 분석한 후 몇 가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일선 시각장애인실, 국가단위 점자도서관, 복지기관, 정보부처간의 협력네트워크 구축과 역할분담이 가장 시급한 사안임을 확인하였다.

경기도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Proposal for the Revitalization of Small Libraries in the Residential Communities in Gyeonggi-do)

  • 노영희;최만호;김윤정;장로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71-95
    • /
    • 2020
  • 국내 작은도서관이 가장 많이 소재하고 있는 경기도에는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비율이 42%에 이르고 있으나, 법적 의무에 의해 설립된 도서관들이 자발적 의지에 의존하여 관리·운영됨에 따라 휴관·폐관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지 내 마을 공동체의 구심점 역할을 통해 활성화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작은도서관의 현황 조사, 경기도 및 31개 시군의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운영자 및 관계자 대상의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동주택단지내 작은도서관 운영의 실제적인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작은도서관에 대한 공동체 인식 개선, 자체 운영 능력 배양, 법·제도 개선, 지자체의 지원 강화의 4가지 목표를 설정하여 실천방안을 도출하였다. 사회의 변화에 따른 경기도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뿐 아니라 타 사립작은도서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연구도 수행될 필요가 있다.

국회도서관의 공공기관 및 정부정보 서비스에 대한 입법관련 종사자와 일반이용자의 이용행태와 만족도 분석 (A Study on the User Behaviors and Satisfaction of Legislative Employees and Other Library Users for the Government Information Service of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Korea)

  • 오동근;윤병호;여지숙;김주래;박상후;마을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35-250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국회도서관 이용자인 입법관련 종사자와 일반 이용자를 대상으로 국회도서관의 공공기관 및 정부정보 서비스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이용행태 및 만족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기관 및 정부정보의 이용 및 필요성은 입법관련 종사자가 일반 이용자에 비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전체적으로 국회도서관의 공공기관 및 정부정보 서비스를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공공기관 및 정부정보를 통합하여 검색 제공할 포털사이트에 대한 필요성 역시 비교적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접한 단어와 키워드 주제어 정보에 기반한 유사 문헌 검색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imilar Bibliographic Retrieval System based on Neighboring Words and Keyword Topic Information)

  • 김광영;곽승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67-387
    • /
    • 2009
  • 유사 문헌 검색 시스템은 추출된 색인어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하는가에 따라 검색 결과에 많은 차이점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추출된 후보 색인어의 선정의 오류를 최소한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문헌에서 추출된 후보 색인어들을 이용하여 인접한 단어들의 정보와 추출된 키워드 주제어 정보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관련 저자들 정보와 검색 결과의 재순위화 방법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도가 높은 유사 문헌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기술 학회마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과 사용자 평가를 통해서 유사 문헌 검색 시스템의 성능을 입증하였다.

  • PDF

대영도서관 소장 「무이산구곡계전도(武夷山九曲溪全圖)」로 본 중국 무이구곡의 문화경관상 (The Cultural Landscapes of Wuyi-Gugok of China as seen from the 「Landscape of the Jiuqu River in the Wuyi Mountain」 in British Library)

  • 정조하;노재현;강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1-31
    • /
    • 2019
  • 대영도서관 소장의 청나라 중기에 제작된 「무이산구곡계전도」을 대상으로 그림에 명기된 경물의 명칭을 분석하는 한편 산세, 포구(浦口)와 선박, 건축요소, 토목요소, 인물, 석각 등으로 경물명을 유형화한 후 곡별 문화경관적 속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이산구곡계전도」에 등장하는 건축요소는 총 28 건으로 정자(亭)가 7개소(25%), 사묘[廟]가 4개소(14.3%), 서원과 관(觀)이 각각 3개소(10.7%), 도원(道院)과 마을(村)이 각각 2개소(7.1%)로 집계되었으며, 토목요소는 총 29건으로 동(洞)이 9개소(31%), 고적(古跡)이 6개소(20.7%), 대(臺)가 3개소(10.3%), 도(渡)·교(橋)·지(池)가 각각 2개소(6.9%), 원(園)·문(門)·갱(坑)·정(井)·유지(遺址)가 각각 1개소(3.4%)로 나타났다. 이들 형체요소와 토목요소는 18C 중반 무이산 구곡계의 문화경관적 속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유적이다. 각 곡별 형체요소는 1곡이 12개소(21.1%), 5곡이 11개소(19.3%), 4곡이 9개소(15.8%), 9곡이 8개소(14%), 3곡이 7개소(12.3%), 6곡이 4개소(7%), 2곡이 3개소(5.3%), 7곡이 2개소(3.5%) 그리고 8곡이 각각 1개소(1.8%)로 정리되어 1곡과 5곡 그리고 4곡이 갖는 문화경관적 특성이 한층 부각되었다. 한편 『무이산지』의 명소 유형에 대한 묘사에 따르면, 「무이산구곡계전도」에 표현된 경물의 묘사는 총 38개 유형으로 집계되었는데, 이중 암(岩)·봉(峰)·석(石) 등 3개 경물이 차지하는 경관적 비중이 압도적이었다. 이는 무이구곡의 벽수단산의 경색을 보이는 단하지모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무이산구곡계전도」에 표현되었거나 내포된 무이산의 문화적 함의를 분석 및 해석한 결과, 무이산 구곡계에는 이학문화, 도교문화, 불교문화, 차문화, 기타문화 등 5개 문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무이산구곡계전도」에 표시된 총 171곳의 경물 명중에는 현장 바위글씨[石刻]와 일치되거나 동일한 의미를 보이는 석각은 찬경제각(贊景題刻) 3방, 철리제각(哲理題刻) 3방, 길어제각(吉語題刻) 1방 등 총 7개소로 나타났으며 이는 그림과 석각 간의 상호텍스트성을 보이는 중요한 근거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