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사토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ffects of Seeding Bed Media and Fungicide on Control of Club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배추 뿌리혹병(Plasmodiophora brassicae) 방제를 위한 육묘용 상토와 농약처리 효과)

  • Hong, Soon-Sung;Kim, Jin-Young;Park, Kyeong-Yeol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9 no.2
    • /
    • pp.64-67
    • /
    • 2003
  • Club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has extremely occurred in recent years. Conventional soils such as sandy loam soil (saprolite) and clay soil (yellow soil) as bed media combined with field soil application of fungicidal chemicals were tested for the control of clubroot disease. Using sandy loam soil and clay soil as plug seedling bed media efficiently reduced clubroot disease occurrence down to 21.7% and 14.1%, respectively compared to peatmoss (75.7%) and Baroco soil (36.6%) when seedling plants were transplanted into previously-infected Yoncheon field. Application of flusulfamide and azoxystrobin to previsouly-infected soil prior to transplanting also effectively reduced disease incidence, especially when combined with growing seedlings in sandy loam or clay soil media. In conclusion, flusulfamide application prior to trnasplanting as well as utiliz-ing sandy loam and clay soil as a plug bedding media may effectively reduce the occurrence of club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Influence of Irrigation Times, Soil Treatment and Drainage in Indoor on the Growth Response of Cyrtomium falcatum Ferns Korea Native (실내에서 관수주기, 토양처리, 배수층이 자생 도깨비고비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Ju, Jin Hee;Bang, Kwang 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8 no.1
    • /
    • pp.73-78
    • /
    • 2005
  • It was aimed to promote Cyrtomium falcatum as a material for interior landscape by validating it indoor adaptability in the indoor environment, especially irrigation times, soil treatment and drainage level. Irrigation times were 2 times per week and 7 times per week. Soil treatment and drainage level were carried out drainage-peatmoss : vermiculite : perlite=1 : 1 : 1(D-PVP), peatmoss : vermiculite : perlite=1 : 1 : 1(PVP), drainage-saprolite : leaf mold=1 : 1(D-SL) and saprolite : leaf mold=1 : 1(SL). 1. Top of growth was better with irrigation 7 times per week than irrigation 2 times per week but indoor adaptability was decreased and shown yellowish green. 2. In case of soil treatment, growth was better with saprolite : leaf mold=1 : 1 but indoor growth adaptability was decreased than peatmoss : vermiculite : perlite=1 : 1 : 1. 3. Plant height and blade length were increased under non-drainage treatment but indoor adaptability, number of new fronds and number of sporophyll were decreased under drainage treatment, regardless of irrigation times and soil treatment. 4. Photosynthetic rate(Pn) was the highest in the drainage-peatmoss : vermiculite : perlite=1 : 1 : 1 treatment of irrigation 2 times per week and was the lowest in the saprolite : leaf mold=1 : 1 treatment of irrigation 7 times per week.

Propagation Condition for Sporophyte Mass Production of Woodsia intermedia Tagawa (좀우드풀 포자체 대량생산을 위한 번식조건)

  • Jang, Bo Kook;Lee, Ki Cheol;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23-23
    • /
    • 2018
  • 본 연구는 참우드풀과 우드풀의 중간형으로 알려진 좀우드풀(Woodsia intermedia Tagawa)의 전엽체 증식 및 포자체 형성을 위한 기내 외 번식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재료는 포자를 발아시켜 획득한 전엽체를 8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면서 확보하였다. 전엽체 증식에 적합한 배양조건을 탐색하고자, 전엽체 300mg을 다진 후 배지종류(Knop, 1/4, 1/2 및 1MS)와 배지구성물질(sucrose와 활성탄)의 농도를 달리하여 8주간 배양하였다. 배양실은 온도 $25{\pm}1.0^{\circ}C$와 광도 $30{\pm}1.0{\mu}mol{\cdot}m^{-2}{\cdot}s^{-1}$(16/8h)로 조절되었다. 연구결과, Knop배지에서 생체중이 2.4g으로 전엽체의 증식이 가장 왕성하였다. 한편 MS계열 배지는 농도에 관계없이 매우 저조한 증식을 보였다. Sucrose는 0.5%를 첨가한 배지에서 생체중의 증가량이 가장 컸으며, 활성탄은 첨가농도에 관계없이 유사한 증식수준을 나타냈다. 포자체 형성에 적합한 토양조건을 확인하고자, 인공토양(원예상토, 피트모스, 펄라이트 및 마사토)의 비율을 달리하여 5종류의 혼합토양을 조성하였다. 혼합토양을 사각분($7.5{\times}7.5{\times}7.5cm$)에 충진하고, 준비된 전엽체 1g을 10초간 분쇄한 다음 토양표면에 분주하여 11주간 재배하였다. 재배환경은 온도 $25{\pm}1.0^{\circ}C$, 광도 $43{\pm}2.0{\mu}mol{\cdot}m^{-2}{\cdot}s^{-1}$(16/8h) 및 습도 $72{\pm}2.0%$로 조절되었다. 연구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포자체의 형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원예상토와 마사토를 2:1(v:v)로 혼합한 토양에서 포트당 421.0개의 많은 포자체가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원예상토와 펄라이트를 2:1(v:v)로 혼용한 토양, 원예상토, 피트모스, 마사토를 1:1:1(v:v:v)로 혼합한 토양, 원예상토 단용, 원예상토, 피트모스, 펄라이트를 1:1:1(v:v:v)로 혼합한 토양 순으로 각 228.0, 203.3, 126.8, 91.5개 형성되었다. 따라서 좀우드풀의 포자체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원예상토와 마사토를 2:1(v:v)로 혼용한 토양에 전엽체를 분주하여 재배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nfluence of Playground Land Covers on the Human Thermal Sensation (운동장 포장재료가 인간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

  • Hyun, Cheolji;Jo, Sangman;Park, Sooku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7 no.3
    • /
    • pp.12-21
    • /
    • 201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pavement materials (artificial grass, natural grass, and clay sand) on the human thermal environment, the microclimate data in early autumn (air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and shortwave and longwave radiation) were measured and compared on each surface. The mean air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speed of the pavement material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nd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in the mean radiant temperature. Natural grass, which has the highest albedo, has the highest amount of shortwave radiation. The artificial turf had the highest surface temperature and the highest amount of longwave radiation. In the human thermal environment index PET, artificial grass > clay sand > natural grass. Natural grass had a maximum 2/3 level lower and a mean 1/2 level lower in PET as compared to artificial grass. The clay sand pavement had a maximum 2/3 level lower and a mean 1/3 level lower than the artificial grass. Natural grass had a maximum 1/3 level lower than the clay sand pavement. Their UTCIs showed smaller differences than the PE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choose materials from the planning stage when designing outdoor spaces, including playgrounds.

Optimal Conditions for Groundcovers Cultivation of Korean Native Lythrum salicaria L. (자생 털부처꽃의 지피용 재배를 위한 최적 조건)

  • Bo Kook Jang;Soo Ho Yeon;Ju Sung Cho;Cheol Hee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24-24
    • /
    • 2020
  • 본 연구는 자생 털부처꽃의 실용적인 산업화를 위해 지피용 재배조건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재료는 털부처꽃의 종자를 2019년 4월말에 파종하여 8주 후 얻어진 유묘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식재용기(2, 3, 4치 비닐포트), 토양종류(원예상토 단용 및 마사토:피트모스 혼용토(v/v; 2:1, 3:1), 파종용기(162, 200, 288셀 플러그트레이) 및 파종립수(1, 2, 4립)를 달리하였으며, 정식 후 처리구간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마사토와 피트모스 혼용토는 9L당 퇴비 1L를 혼합하여 원예상토와 비교하였다. 대조구는 원예상토가 충진된 3치 비닐포트에 정식된 유묘와 셀당 1립이 파종된 200셀 플러그트레이의 유묘를 사용하였다. 유묘는 처리별로 정식한 다음 충북대학교 유리온실에서 12주간 재배되었으며, 매일 2회(5분/1회) 미스트 관수되었다. 연구결과, 털부처꽃의 유묘가 정식된 비닐포트는 포트의 볼륨이 클수록 생육이 우수한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4치 비닐포트는 동일한 재배기간 동안 경직경(3.61 mm), 측지수(28.2 ea), 엽수 (311.6 ea), 근장 (22.1 cm) 및 생체중(7049.9 mg)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토양종류는 원예상토를 단독으로 사용한 처리구의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다. 반면 마사토와 피트모스 혼용토는 재배가 지속되면서 생육이 저조하여, 농업용 퇴비로는 양분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파종립수가 증가할수록 각 개체의 생육은 감소하였으나, 4립 파종구의 유묘는 정식 후 풍성한 볼륨을 나타냈으며, 지피용 재배목적에 부합하였다. 플러그트레이는 볼륨이 작아질수록 초장과 생체중이 일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전반적으로 생육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 PDF

Cultivation Factors for Pot-plant Production of Arenaria juncea M.Bieb. (벼룩이울타리의 분화 생산을 위한 재배 요인)

  • Yeon, Soo Ho;Lee, Seung Yeon;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59-59
    • /
    • 2019
  • 벼룩이울타리(Arenaria juncea M.Bieb.)는 7~8월에 백색의 꽃이 취산화서로 아름답게 피며, 산지, 산비탈 또는 메마른 초지에 자생한다. 청열 및 양혈의 효능이 있고, 은시호의 대용으로 쓰이며, 뿌리에는 triterpenoid saponins과 sapogenin이 함유되어 있다. 본 연구는 분화용 식물로 벼룩이울타리를 활용하기 위한 효율적인 포트 정식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은 2018년 선행연구에서 생산된 유묘를 7월 2일에 정식하여 10월 15일까지 약 15주 동안 재배하였다. 대조구는 플라스틱 화분 10호($9{\times}9cm$)에 원예상토를 충진하고 200구 트레이에 셀 당 4립씩 파종하여 생산된 1셀을 정식하였다. 재배 실험은 용기종류[비닐포트(3, 4치), 플라스틱 포트(8, 10, 12호)], 토양 종류[원예상토, 중화 피트모스:펄라이트(3:1, 4:1), 마사토:중화 피트모스(2:1, 3:1)], 묘의 소질[파종 립수(1, 2, 4, 6립), 파종 용기(162, 200, 288구 트레이)] 등을 달리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벼룩이울타리는 토양의 양이 많을수록 생육이 양호한 결과를 보여, 플라스틱 12호에 재배하는 것이 분화용으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한편, 비닐 4치와 플라스틱 10호의 경우, 플라스틱 12호와 생육에 큰 차이가 없어 경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벼룩이울타리는 원예상토에서 재배하는 것이 전반적으로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다음으로 마사토와 피트모스 혼용토 순이었다. 그러나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혼용토는 비율과 관계없이 생육이 감소하며, 잎에 황백화 현상이 나타났다. 셀당 파종량을 달리하여 육묘한 후 정식한 결과, 전반적인 생육은 1립 파종묘에서 양호하였으나, 2, 4, 6립 파종묘가 1립 처리구에 비해 포트당 엽수가 약 1.35, 1.44, 2.01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유묘 생산시 셀당 파종량을 늘려 재배하는 것이 분화용으로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파종용기별 유묘의 생육은 162, 200, 288구 트레이 순이었으나, 정식 후 약 15주 동안 재배한 결과, 162, 200구에서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는 것이 288구보다 양호하였다. 따라서, 육묘 단계에서 토양 및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200구에 파종하여 재배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벼룩이울타리의 분화용 재배는 플라스틱포트 12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하고 200구 트레이에 4립 또는 6립을 파종하여 육묘한 묘를 정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한편,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재배면적을 적게 차지하는 비닐포트 4치 또는 플라스틱 포트 10호에 마사토와 중화 피트모스를 혼용하여 충진한 다음 유묘를 이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판단된다.

  • PDF

Proper Light Intensity, Potting Media, and Fertilization Level for Potted Orostachys iwarenge for. magnus (울릉연화바위솔 분화재배를 위한 적정 광도, 분용토 및 시비 수준)

  • Jeong, Kyeong-Jin;Chon, Young-Shin;Choi, Kyeong-Ok;Ha, Su-Hyeon;Yun, Jae-Gill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4
    • /
    • pp.357-362
    • /
    • 2012
  • Proper light intensity, shading tolerance, potting media, and fertilization level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Orostachys iwarenge for. magnus (Korean name, Ullungyeonwhabawisol) as a potted ornamental plant. The plants were grown under different light intensity (52, 82, 90, and 97% shading). The best growth was shown at 52% shading, which indicated that the proper light intensity for O. iwarenge for. magnus is less than 52% of shading. Plant growth decreased severely at 82% shading and leaf color became lighter as the shading rate increased, which indicated that O. iwarenge for. magnus has no tolerance against low light intensity. To select a proper potting media, decomposed granite (DG), fertilizer-amended media (FAM), river sand (RS) were used as potting medium with different ratio of 60:20:20 (DG:FAM:RS, v/v/v), 80:20 (DG:FAM, v/v), 60:40 (DG:FAM, v/v), and 20:80 (FAM:RS, v/v). DG:FAM:RS (60:20:20)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shoot fresh weight, plant width, and number of runner in potted O. iwarenge for. magnus. Fresh weight of shoot part was 16 g in DG:FAM:RS (60:20:20), which was about 2 folds of those at the other medium. At the experiment for selection of proper fertilization level, plants showed a better growth as the concentration of hyponex solution and application frequency increased. Once drenching 1 week interval of hyponex solution diluted by 1,000 folds brought the highest results in fresh weight, plant width, and runner number. Particularly, fresh weight of shoot part was 35 g at once drenching per week of 1,000 folds solution, indicating 84% improvement comparing with non treatment (19 g).

풍류의 고장서 맛보는 향긋한 송이 요리

  • Kim, Suk-Hyeon
    • 건강소식
    • /
    • v.29 no.9 s.322
    • /
    • pp.38-39
    • /
    • 2005
  • 옛부터 송이가 나는 자리는 자식에게도 가르쳐주지 않는다고 할 정도로 송이는 귀한 음식으로 통했다. '송이'는 소나무 뿌리에서 자라는 버섯이라 해서 붙은 이름. 지표 온도와 일교차, 습도 등 자생조건이 까다로워 인공재배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현재 우리나라 자연 송이의 산지는 봉화와 양양을 대표로 꼽는다. 특히 봉화 지영의 마사토라는 토질에서 자라난 송이는 향이 진하고 맛이 쫄깃해 전국 최고로 치고 있다. 가을 초반부터 중반까지만 맛볼 수 있어 이 때를 놓치면 1년을 기다려야 한다.

  • PDF

T he Effects of Soil T exture and Light Conditions on the Germination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Aster koraiensis Nakai (토성과 광조건이 벌개미취의 발아와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 Dong-Hak Kim;Young-Eun Kim;Hyeong-Bok Cho;Mi-Young Huh;Sang-Jun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56-56
    • /
    • 2022
  •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Nakai)는 국화과에 속하는 우리나라 자생종으로 어린잎은 식용하고, 항비만 및 고지혈증 예방 등의 연구 결과가 보고되어 이용 가치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주로 조경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며, 생태복원을 위한 소재식물로 벌개미취를 이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DMZ 남방한계선 철책 주변에는 군의 경계작전을 위해 반복적으로 식생을 제거한 지역(불모지)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복원할 필요가 있다. 생태복원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종 선정 방법은 자생종 또는 인접 지역종을 이용하는 것이다. 벌개미취는 DMZ 일원에 자생할 뿐만 아니라, 건조한 환경은 물론 습윤한 지역에서도 생육한다. 본 연구에서는 토성에 따른 벌개미취의 발아 특성과 광조건에 따른 광합성 반응을 조사하여 DMZ 불모지와 유사한 환경에서의 생육이 건전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벌개미취의 기내발아 검정(15℃, 12/12h)과 토성(마사토, 상토, 혼합토)에 따른 종자 발아율을 비교하였고, 차광(0, 50, 75 및 95%)처리에 따른 엽면적당 건중량, 엽록소 함량, 광-광합성 반응을 조사하였다. 벌개미취의 발아율은 기내(79%), 마사토(74%), 상토(82%) 그리고 혼합토(77%)로 나타나 각 처리구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벌개미취의 엽면적당 건중량은 차광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엽록소 a와 b 함량은 차광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나 a/b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광-광합성 반응을 통해 산출한 벌개미취의 광포화점과 광합성 최대속도는 차광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순양자수율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벌개미취는 전천광보다 낮은 광도에서 생장 시 광합성 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이며, 광이 제한되지 않는 불모지 환경에서 생육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Effects of Culture Soil Combinations on Growth of Pteris multifida, Cyrtomium falcatum and Cheilanthes argentea (인공 배양토 종류가 봉의꼬리, 도깨비고비, 부싯깃고사리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Yoo, Dong-Lim;Lee, Hyean-Suk;Nam, Chun-Woo;Kim, Soo-Jeong;Suh, Jong-Taek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9 no.4
    • /
    • pp.517-520
    • /
    • 2006
  • The effects of culture soil combinations on growth of native pteridophyte (Pteris multifida, Cyrtomium falcatum and Cheilanthes argentea)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Six different culture soil mixtures used for cultivating the pteridophytes under 30% shading condition. Pteris multifida was showed the most growth at the culture soil mixtures of peatmoss : living moss (5 : 5), and peatmoss : perlite (7 : 3). Cyrtomium falcatum and Cheilanthes argentea showed the best growth in the culture soils mixtures of sand : soil : leaf mold (2 : 5 : 3) and peatmoss : perlite (7 : 3, 5 : 5),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