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리

검색결과 2,250건 처리시간 0.033초

최루제(CS gas)에 의한 흰쥐 기관 점막의 병리조직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

  • 이형석;김현수;심봉택;태경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6년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종합학술대회 초록집
    • /
    • pp.89-89
    • /
    • 1996
  • CS gas(0-chlorobenzylidene malononitrite)가 우리나라 및 구미 각국에 시위진압과 군 화생방 교육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CS gas는 인체에 자극적인 독성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비인후과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보고가 드물어 CS gas 폭로에 의해 먼저 장애를 입을 것으로 생각되는 기관점막의 구성세포들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사용하여 실험에 임하였다. 실험에 사용되는 실험동물은 150gm 내외의 Sprague-Dawley계 흰쥐로 대조군 5마리, 실험군 24마리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한 CS gas는 한영화학 CO.에서 제조한 분말형 CS gas를 사용하였다. 실험방법은 1㎥ 용적의 플라스틱 chamber에 CS분말을 투입한 후 실험동물을 넣어 CS gas를 흡입시킨 후 12시간, 1일, 3일, 5일이 경과한 후 희생시켜 기관점막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S gas 흡입후 12시간이 경과한 흰쥐의 기관은 상피층이 증가되었고 위중층상피가 중층편평상피로 변화되었다. 2. CS gas 흡입후 1일 경과후는 기관상피층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3. CS gas 흡입후 3일 및 5일 경과후 기관점막은 대조군의 것과 같이 거의 정상화되었다.

  • PDF

토끼 기관에 이식한 혈행성 연골막-구강점막 복합피판의 형태학적 연구

  • 김은서;홍원표;이정권;정유삼;최영준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6년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종합학술대회 초록집
    • /
    • pp.88-88
    • /
    • 1996
  • 선천성 또는 외상등에 의한 후천성 기도 협착의 치료는 아직도 어려운 문제중 하나로서 해결하여야 할 많은 과제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안정되고 유연한 구조적인 골격과 함께 호흡성상피로 피복되는 기관점막은 기관기능 보존에 있어 필수적 조건이다. 저자들은 현재까지 보고자에 따라 견해 차이가 있는, 이식연골막 및 이식점막의 운명에 대하여 시기에 따른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즉 저자들은 혈행성 복합피판의 형태로 이식한 점막에 일어나는 변화를 형태학적으로 연구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혈행이 유지되지 않는 유리이식(free graft)으로 구성된 복합피판을 이용하였다. 또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통해 이식 초기에 일어나는, 이식점막과 결손부 주변조직사이의 재생능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토끼 40마리를 두 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20마리씩으로 하였으며 술후 각각 2주, 4주, 6주 및 8주에 기관에 이식한 피판을 조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섬모의 재생상태는 주사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으며 각 군당 4마리의 토끼를 술 후 1일과 2일에 Brdu-Anti Brdu로 염색하여 결손된 점막의 주변부와 이식한 점막사이의 재생능이 복합피판의 구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1. 혈행성의 복합피판으로 구성된 구강점막은 원주상피로 화생(metaplasia)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리 연골막에 부착한 구강점막에서는 괴사가 진행되면서 주위의 점막에서 성장해 들어가는 양상을 보였다. 2. Brdu-Anti Brdu 염색의 결과, 복합피판의 구성에 따라 이식점막과 주위 기관상피의 염색양상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단일 포식자-희생자 환경에서 포식자 추격 에너지 모델 (A Model of Pursuing Energy of Predator in Single Predator-Prey Environment)

  • 이재문;권영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1-48
    • /
    • 2013
  • 일반적으로 생태계에서 포식자-희생자 모델은 생존 경쟁의 연구모델로서 많이 연구되어 왔다. 기존의 논문이 포식자-희생자의 개체 수 변화량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본 논문은 포식자-희생자 모델에서 포식자가 희생자를 추격하기에 필요한 에너지 제어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문제를 간단히 하기 위하여 한 마리의 포식자와 한 마리의 희생자가 있다고 가정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일정한 거리에 있는 포식자가 희생자를 추격하여 성공하기에 필요 에너지를 물리적 이론을 근거로 제시하였고, 시뮬레이션에 기반하여 소비 에너지 모델을 제안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두 에너지 모델이 자연스러운 추격하기에 올바르게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깊이 정보를 이용한 돈사 내 겹침 돼지 탐지 (Detection of Occluding Pigs Using Depth Information in a Pigsty)

  • 이한해솔;최윤창;사재원;정용화;박대희;김학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33-835
    • /
    • 2018
  • 최근 돼지의 상태 및 행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이용한 돈사 내 돼지에 대한 감시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국내 돈사는 돼지를 밀집 사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돼지의 겹침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돼지들 간 겹침이 발생하게 되면 한 마리의 돼지로 인식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개별 돼지의 탐지 및 추적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깊이 정보 영상을 이용하여 겹침 돼지를 탐지하고 개별 돼지로 특정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임계 값을 설정하여 돼지와 배경을 분리함으로써 돼지들의 영역을 탐지하고, 탐지된 돼지들의 영역 크기를 비교하여 겹침 돼지를 탐지한다. 이후 탐지된 겹침 돼지의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겹침 돼지를 두 마리의 돼지로 특정한다. 실험 결과, 겹침 돼지를 탐지하였고 탐지된 겹침 돼지에 대하여 각각 서 있는 돼지와 누워 있는 돼지로 특정 하였다.

강원도 철원군내 한탄강 유역의 장내 기생충 역학조사 (Intestinal parasite infections in the inhabitants along the Hantrm River, Chorwon-gun)

  • 박명성;김선웅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75-378
    • /
    • 1993
  • 강원도 철원군 한탄강변에서 장내기생충증의 유행을 알기 위해서 1993년 8월 12일부터 9월 14 일까지 주민 465명을 대상으로 대변검사하고 민물고기에서 피낭유충을 조사하였다. 불수정회충란 2, 편충란 1, 간흡충란 39. 메타고니무스충란이 16 명에서 발견되었다. 메타고니무스충란 양성자로부터 회수한 충체는 Mfyata형 메타고니무스로 동정하였다. 잡은 민물고기 68마리 가운데 14마리 (20.6%)에서 메타고니무스의 피낭유충을 발견하였고, 발견된 민물고기는 피라미. 갈겨니, 참마자, 어름치, 참중고기 묵납자루. 붕어이었다 그러나 간흡충의 피낭유충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 지역에서는 토양매개성 선충이 극히 낮은 양성률을 보였으나 간흡충과 메타고니무스는 일정한 유행도를 가지면서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십이지장 궤양을 동반한 호르텐스극구흡충 감염증례 (A case of echinostomiasis with ulcerative lesions in the duodenum)

  • 채종일;홍성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3호
    • /
    • pp.201-204
    • /
    • 1994
  • 상보부 통증과 토혈을 주소로 내원한 55세 한국인 남자 환자를 내시경으로 검사한 결과 위와 삽이지장의 벽에서 궤양을 관찰하였다. 위벽의 궤양은 조기위암으로 확인되어 위절제 수술을 받았다. 시이지장의 병변은 유문부 직후의 뒷벽에 세 개의 궤양이 형성되어 있었고, 그 중 하나에는 움직이는 호르텐스극구흡충이 파고 들고 있었다. 이 충체를 내시경 집게로 꺼내어 표본을 만들어 관찰한 바 호르텐스극구흡충으로 진단하였다. 환자를 프라지콴텔로 치료한 후에 충체 수집을 시도하여, 호르텐스극구흡충 3마리와 미야타형 Metaponimus 7마리를 더 얻었다. 이 증례를 소장 점막의 궤양을 처음으로 확인한 극구흡충증례로 기록한다.

  • PDF

강화도와 영종도의 털진드기 계절 분포 (Seasonal distribution of chigger mites in the Kanghwa Island and Yongiong Island)

  • 이인용;윤상선;이한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41-346
    • /
    • 1993
  • 1992년 10월부터 1993년 8월에 걸쳐 경기도 강화도와 인천직할시 영종도 2개 섬에서 털진드기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포획한 42마리의 들쥐로부터 1,290개체의 털진드기를 채집하여 4속 8종을 동정하였다. 강화도에서는 전 계절을 통하여 Leptotrombidium pallidum이 93.0%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영종도에서는 L. palpale가 38.4%를 차지하여 우점종이었고, L. pallidum은 한 마리도 채집되지 않았다.

  • PDF

성견 구개부 골내고정원 장치에 가해진 즉시 교정력이 주위조직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immediate orthodontic force on palatal endosseous appliance$(C-Palatal\;Plate^{TM})$ in beagle Dog)

  • 김수정;이영준;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1-102
    • /
    • 2003
  • 이 연구는 구개부 골내고정원 장치 C-Palatal $Plate^{TM}$에 가해진 즉시 교정력이 장치 주위 골조직 및 연조직의 치유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고자 시행되었다. 4마리의 비글 성견을 대상으로 정중 구개부에 장치를 식립한 후, 교정력을 전혀 가하지 않고 8주 경과된 한 마리를 대조군으로 하고, 식립 직후부터 8주간 지속적인 교정력을 받은 한 마리, 18주간 지속적인 교정력을 받은 한 마리, 그리고 18주간 지속적인 교정력을 받은 후 장치가 제거되고 이후 4주간의 치유기간을 거친 한 마리, 총 세마리를 실험군으로 하여 동요도 검사, 방사선 사진 관찰, 그리고 조직학적 관찰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희생 후 조직괴의 측면 방사선 사진상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즉시 교정력을 받은 군에서는 플레이트의 수직적 변위가 발생하였으나 경미하였고, 동요도 검사시 모든 군에서 초기 안정성이 확인되었으며 실험기간 중 동요도의 증가는 없었다. 2. 상부 연조직의 치유상태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병리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3. 골유착은 교정력을 가한 8주군과 18주군 모두에서 관찰되었고 18주 경과시 골유착의 분포가 더욱 증가되었다. 그러나 압박측과 긴장측간에 골유착 분포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대조군이 실험군에 비하여 골유착에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스크류 경부의 변연골은 대조군에서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던 반면, 8주군과 18주군에서는 압박측, 긴장측과 무관하게 부분적으로 변연골 침착 및 흡수가 일어났으나 경미하였다. 5. 비강으로 관통된 스크류에서, 8주군과 18주군에서는 스크류 표면을 따라 비강측으로 신생골 침착이 관찰되었으나, 대조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6. 장치 제거 4주 후, 상피층은 긴밀하게 재생되었으나 결합조직은 성글고 불규칙한 배열을 보였으며, 장치를 둘러쌌던 결합조직피막이 잔존하였다. 스크류가 식립되었던 골부위에서는 왕성한 골개조가 진행되고 있었다. 즉시 교정력에 대하여 C-Palatal $Plate^{TM}$는 임상적으로 뿐만 아니라 조직학적으로도 충분한 고정원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oxorubicin의 심근 손상에 대한 Cardioxane의 예방 효과에 관한 연구 (Myocardial Protective Effect of Cardioxane for the Myocardial Damage due to Doxorubicin)

  • 박희주;오재민;김성훈;이창훈;김상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9호
    • /
    • pp.876-882
    • /
    • 2003
  • 목 적 : Doxorubicin에 의한 심근손상에 대한 cardioxane의 심근 예방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몸무게 2.0-3.2 kg의 집토끼 20마리를 이용하였으며, 2마리는 광학 및 전자현미경 결과를 위한 대조 조직을 만드는데 이용되었고 나머지 18마리를 대상으로 group I은 doxorubicin을 단독 투여하였고 group II는 cardioxane으로 전처치한 후 doxorubicin을 투여하였다. Group I은 12마리의 가토를 대상으로 $30mg/m^2$의 doxorubicin을 가능한 한 매주 정맥 주사하였으며 group II는 6마리의 가토를 대상으로 cardioxane $600mg/m^2$으로 전처치한 후 약 20-30분 후에 doxorubicin을 투여하였고, 각각의 doxorubicin 축적총량이 210, 300, $360mg/m^2$이 되도록 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doxorubicin의 총 투여량이 목표치에 도달한 후 6일 경과 시에 개흉하여 심근 조직을 확보하고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으로 심근의 손상 정도를 관찰하였다. 결 과 : Doxorubicin의 총 투여량과는 무관하게 토끼 심장의 외견상 차이 및 양 심방과 심실의 크기나 두께에 있어서 큰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광학 현미경상 doxorubicin의 총 투여량이 $210mg/m^2$까지는 정상 대조 가토와 비교시 조직학적으로 큰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고, 총 투여량 $240mg/m^2$에서는 심근섬유의 변성과 괴사 등을 볼 수 있었고 총 투여량 $300mg/m^2$에서는 국소적으로 그리고 미만성으로 심근 섬유의 심한 변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전자현미경하에서 소견상 group I에서 doxorubicin의 총 투여량이 $180mg/m^2$ 미만에서는 전자현미경 하에서 심장 조직의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210mg/m^2$을 투여했던 가토에서는 미토콘드리아 내에 능선(cristae)의 관강(lumen)이 약간 팽창된 소견을 보였고, $240mg/m^2$을 투여했던 토끼에서는 심근섬유의 변성을 관찰할 수 있었고 $300mg/m^2$을 투여했던 토끼에서는 전반적으로 심한 변성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cardioxane 전처치군에서는 doxorubicin의 총 투여량이 $300mg/m^2$이하에서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 소견상 조직학적으로 정상의 심장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360mg/m^2$에서는 전반적으로는 정상 심근의 소견과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고 국소적인 근세사의 성근 배열부가 발견되었으나 doxorubicin 투여결과에 의한 것인지는 명백하지 않았다. 결 론 : Cardioxane은 doxorubicin에 의한 심근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훌륭한 약제로서 doxorubicin을 투여하는 모든 환자에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두체를 떼어버린 흰쥐의 일반활동 및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General Activity and Stress Response of Rats Following Removal of the Mamillary Bodies)

  • 김철;최현;김정진;김종규;김명석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권1호
    • /
    • pp.79-88
    • /
    • 1968
  • 유두체가 일반활동 및 스트레스 기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를 알기 위하여 유두체가 제거된 흰쥐들(유두체군), 유두체군과 마찬가지 수술 조작을 가하였으나 유두체는 제거하지 않은 흰쥐들(수술 대조군) 및 정상 흰쥐들(정상 대조군)을 마련하여 두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두체 제거에 있어서는 뇌 정위 고정법에 의하여 동물을 좌우 유두체에 각각 전극(+)을 심고 이와 항문에 넣은 전극(-) 사이에 0.3 ma의 직류 전류를 7초 동안 흘려 유두체를 파괴하였다. 첫째 실험에서는 광선차단 회수 측정 방법에 의하여 유두체군(9마리)의 일반활동을 48시간 동안 측정하여 수술 대조군(13마리)의 그것과 비교하였으며, 둘째 실험에서는 $-10^{\circ}C$의 추위에 한 시간 동안 폭로하는 것을 스트레스로 삼고 추위에 폭로되기 전, 폭로가 끝난 직후, 2시간 후 및 4시간 후에 유두체군(52마리), 수술 대조군(45마리), 및 정상 대조군(37마리)의 부신 아스코르빈산 함유량을 측정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48시간 동안의 일반활동을 총괄한 성적을 비교할 경우에는 유두체군과 수술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유두체군의 일반활동은 수술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저녁 때와 실험이 시작된 직후의 몇 시간 동안은 유두체군의 값이 수술 대조군의 값 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2. 스트레스를 받고 난 직후의 유두체군의 부신 아스코르빈산 함유량은 스트레스를 받기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어 정상 대조군 및 수술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이 현저하였다. 그러나 유두체군과 수술 대조군은 정상 대조군 보다 스트레스로 부터의 회복과정이 각각 유의하게 또는 다소 촉진되어 있었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유두체는 정상시 일반활동에 미약하나마 억제성 영향을 끼치는 경향이 있으며 스트레스 기전에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추측되나 이들 문제를 결정짓기에 앞서 많은 연구가 요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