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감재 영향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1초

비행장 소음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량 정량평가 및 건축물 설치 기준에 관한 연구 (Quantitative Evaluation of Vibration of Structure by Aircraft Noise and Installation Criteria of Building in Air bases)

  • 안상훈;임남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0-318
    • /
    • 2011
  • 군 비행장은 군용 항공기와 더불어 민간 항공기 운항의 증가와 추진력이 좋은 신형 기종의 도입으로 인하여 소음 및 진동에 의한 민원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군 비행장 내에 근무하고 있는 장병 뿐 아니라 군 가족에게도 이러한 소음과 진동이 과다하게 노출되고 있다. 그러나 군 비행장내 소음 및 진동 실태조사는 전무한 실정으로 건축물 신축시 소음 및 진동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활주로 인접 건축물의 타일 등 내부 마감재가 탈락하는 문제뿐 아니라 관사와 같은 거주지역의 건설 위치를 결정하는데 기준이 없어 건축물의 진동에 의한 영향 최소화 및 적절한 진동대책 수립이 불가능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군 비행장내 소음 및 진동 실태조사를 수행하고 실태조사 자료를 통계분석 방법을 이용해 건축물의 진동량을 예측 할 수 있는 정량평가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군 비행장내 건축물의 용도별 건축물 설치기준을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군 비행장내 건축물 신축 및 비행장 신설 시 적합한 건축물 설치를 위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연제 살포량과 물씻기 시간이 골재노출 콘크리트의 표면성상에 미치는 영향 (Surface Properties of Exposed-Aggregate Concrete Depending on Retarder and Water Jet Washing Timing)

  • 박준희;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9-175
    • /
    • 2015
  • 본 연구는 콘크리트 마감재로써 골재노출 콘크리트를 개발하기 위한 일련의 실험이다. 실험변수로는 고강도 및 일반강도의 물-시멘트비별 당류계 지연제의 살포량 및 세척시기 변화가 물씻기 공법을 이용한 골재노출 콘크리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물-시멘트비 25%는 세척시점 0.75일, 물-시멘트비 35%와 55%는 1일, 65%는 1.5일에 당류계 지연제를 $24m{\ell}/m^2$ 살포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며 양호한 골재 노출의 표면이 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량기포모르터와 합성한 경량형강 벽체의 전단 저항 (Shear Resistance of Light-gauge Steel Stud Wall infilled with light-weight foamed mortar)

  • 이상섭;배규웅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통권71호
    • /
    • pp.397-406
    • /
    • 2004
  • 본 논문은 경량형강으로 제작한 프레임에 경량기포모르터를 채운 경량합성벽체의 전단 거동에 대한 실험 결과와 전단 강도 및 강성 평가를 제시한 것이다. 경량기포모르터는 스틸하우스 벽체의 구조 성능 및 단열 성능의 향상과 마감에 대한 시공성 개선을 위해 도입되었다. 연구 결과 단열 성능에 대한 기여도는 낮으나, 경량기포모르터의 슬러리 비중이 0.8 이상인 경우 구조 성능의 향상과 마감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단 거동에 미치는 경량기포모르터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경량기포모르터의 비중(0.6, 0.8, 1.0, 1.2) 벽체의 스터드 배치간격(450mm, 600mm, 900mm), 마감재(경량기포모르터, OSB, 석고보드) 및 브레이싱 등을 변수로 한 14개의 경량합성벽체를 제작하였고 비교를 위해 대표적인 스틸하우스 벽체 3개를 제작하였다. 면내전단 실험결과, 경량기포모르터를 타설한 경량합성벽체가 기존의 스틸스터드 벽체에 비해 최대 내력은 1.15~5.38배, 초기강성은 1.45~13.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벽체 내부의 스터드를 900mm까지 확장하여도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는 건조수축 균열이 억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온 것으로 경량합성벽체의 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경량기포모르터의 초기 건조수축균열을 억제하고 스터드와 경량기포모르터 사이의 부착력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 마감제인 명유의 방미효력 평가 (Evaluation of Anti-Stain Efficacy of Myoung-oil, Traditional Coating Agent)

  • 윤새민;박용건;전우석;이현미;황원중;남기달;박재관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05-51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재현한 전통 명유, 전통 명유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개발한 크린 명유, 그리고 명유의 원료이자 현재 목조문화재를 보수할 때 단청의 마감제로 사용되고 있는 생들기름의 방미효력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생들기름은 방미효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두 종류의 명유는 모두 높은 성능의 방미효력을 보였다. 하지만, 명유를 천연용제인 테르펜유에 희석하여 사용하면 균주에 노출된 지 4주 만에 방미효력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목재에 처리된 약제의 함량이 명유의 방미효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목조건축물을 축조함에 있어서 명유가 들기름보다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마감제로 더 적합하며, 야외 환경에서의 곰팡이 성장 억제를 저해 할 수 있는 최적의 처리량 및 처리 방법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하여 명유의 적용 가능성을 높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전통 염색 재료를 활용한 기능성 종이 연구 (Research on Functional Paper by using Traditional Dyestuffs)

  • 이선조;이혜윤;조경실;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9-436
    • /
    • 2010
  • 전통 천연 염색지를 이용한 보존 보관용 재료 개발을 위하여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15종의 염재에서 염료를 추출하여 세균 3종과 진균 2종에 대하여 paper disk 방법으로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매염제 3종을 평가하고, 매염제와 염재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위 결과로부터 항균성이 우수한 9종의 염료를 매염제와 혼합하여 염색지를 제작하였다. 염색지 중 안개나무, 황련, 황벽, 오배자 신나무 복합매염지에서 진균에 대한 항균성이 확인되었으며, 흰개미를 이용한 방충력 실험에서는 황련, 황벽 염색지에서 방충력이 확인되었다. 또한 염색지를 이용하여 금속과 같은 타재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황련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다. 그리고 안개나무, 황련, 황벽3종의 염색지에서 유해가스 제거능력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염색지를 활용하여 문화재 보존용 보관상자로 제작할 경우 다양한 유기물 문화재의 생물피해 방제에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간에서 기능성 마감재로서의 활용성이 기대된다.

가스유해성 평가방법에 따른 유기단열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Organic Insulation Materials According to the Gas Toxicity Evaluation Method)

  • 심지훈;이재걸;한경호;김주완;송석훈;조형원;윤도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519-524
    • /
    • 2022
  • 국내 건축물 마감재는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KS F 2271 기준에 의해 평가되어지고 있으며, 이 실험은 실험동물을 사용하여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이 높은 유기물 단열재 EPS, 우레탄, 페놀폼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3종의 단열재가 연소 시 발생되는 유해성 가스에 의한 실험용 쥐의 평균행동정지시간을 측정하여, 실험용 쥐의 행동정지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용 쥐의 행동정지에 대한 원인분석방법으로는 FTIR 분석과 연기밀도실험을 진행하였고, 마우스의 행동정지 원인을 입자상물질에 의한 질식과 가스상물질에 의한 독성흡입으로 구분하여 실험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우레탄이 가장 유해한 단열재로 평가되었으며, 가스유해성 실험결과에 대한 원인분석으로 FTIR분석과 연기밀도 실험을 진행한 결과, 독성흡입에 의한 영향보다 질식에 의한 실험용 쥐의 행동정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해성가스의 원인분석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독성의 근거를 마련하고 나아가 다양한 재료와 가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인 독성평가의 기준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노출콘크리트 시공단계 품질관리 기준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Quality Control Standards of Exposed Concrete in Construction Stage)

  • 정재수;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48-57
    • /
    • 2012
  • 콘크리트는 구조용 재료의 하나로 인식되어 많은 연구개발 및 적용이 검토되어 왔지만, 의장적 기능을 가지는 마감재로서의 콘크리트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노출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더욱 많은 공사비와 체계적인 품질관리가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품질관리 방안이 구체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출콘크리트 노출면의 품질확보를 위해 기존 연구 및 사례를 조사하여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고, Mock-Up 실험을 통해 거푸집 제작, 콘크리트 배합, 콘크리트 타설 방법에 따른 노출콘크리트면의 품질을 비교분석하였다. 콘크리트 배합 측면에서는 단위결합재량, 단위수량, 시공측면에서는 거푸집 종류, 슬럼프, 다짐시간, 다짐방법 등 시공단계의 품질관리 기준을 제시하여 노출콘크리트의 품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고도정수처리용 콘크리트 금속용사 피막의 내오존성 및 오존처리 후 부착강도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Evaluation of Bond Strength after Ozone Treatment and Ozone Resistance of Concrete Metal Spray Coating for Advanced Water Treatment)

  • 박진호;장현오;이한승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68-75
    • /
    • 2018
  • 기존의 정수처리 방법으로는 제거되지 않는 물질이 발생함에 고도정수 처리 시설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오존을 이용한 고도정수처리 시설의 내부 방수 방식재는 오존의 산화력에 의해 열화되며 콘크리트까지 영향을 미쳐 내구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내오존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난 금속 패널을 기존의 시공법 보다 손쉬운 방법으로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금속용사 공법을 이용하여 수처리 시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마감공법 개발 연구의 일원으로 용사금속 종류 및 피막의 표면처리 방법에 따른 내오존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오존처리 후의 부착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용사금속 Ti이 용사 후에도 내오존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면처리 방법으로는 테프론계 봉공처리제를 사용하여 마감하는 것이 내오존성 및 부착성능 확보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 판단된다.

시각적 공간자극에 나타난 뇌파반응의 자극 정도와 만족도 변화특성 - 할로겐 조명과 벽의 영향을 중심으로 - (The Change Characteristic of the Stimul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Brain Wave Reaction to the Visual Stimulation in the Space - Focus on the Influence of the Halogen and Wall -)

  • 서지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99-10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visual stimulus of users to the space through the experiment of EEG and the satisfaction of users depends on the lighting. To do that, the results measured with EEG experiment focusing on Beta ${\beta}$ were compared to each other to figure out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the activation of human brain on lighting's situation as the lighting off and on in the same space. The difference in the results was ver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users which classified with 4 types of the spatial sensi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ly, the spacial sensitivity of user is to communicate well with the different senses with stimulus through interaction among the elements. At this time, the brain plays a major role in build the spacial sensitivity of users as the place to make form. Secondly, there are the differences in the activation of brain depends on lighting situation even in the same space. The stimulus into the brain became generally stronger in images with lighting on than off. Especially, the response in the occipital lobe which connected with the visual center turn out strongly in the image of 'modern natural'. Because the visual stimulus interact well with the bright color, the reflectional texture and the rough texture painted the dark color. Thirdly, the satisfaction of users changed with lighting in the space. But we could know that the satisfaction of users isn't be related to the visual stimulu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Finally, there isn't the difference in the activation degree of brai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which are preference of users into 4 types of the spatial sensitivity through the results came from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with SPSS Program 22.

교육환경 개선 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Indicators)

  • 이상민;최형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3호
    • /
    • pp.35-45
    • /
    • 2018
  • 본 연구는 학생들의 교육 및 생활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교육환경 개선 관련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방향과 교육환경 개선 개념을 설정하였으며, 교육환경 개선 지표 설정 방향 및 교육환경 개선 분야와 요소를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연면적 적정성, 일반교실 적정성, 다목적강당 적정성 등 양적 측면의 지표 43개, 내진성능 확보유무, 소방시설 노후도, 화장실 노후도, 마감재 노후도 등 질적 측면의 지표 34개, 에너지사용량, 사용자 만족도 등 운영 측면의 지표 11개 등 총 88개의 교육환경개선 지표를 최종 설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