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리플전압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52초

컨버터-인버터 시스템에서 6-스텝 시 토크 리플을 줄이기 위한 가변 직류단 전압 제어 방법 (DC-link Shaping Method in Boost Converter-Inverter System for Six-step Torque ripple Reduction)

  • 최현규;임규철;하정익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7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274-275
    • /
    • 2017
  • 부스트-인버터 시스템에서 6-스텝 시 토크 리플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모델 기반의 전압 방정식을 통해 필요한 직류단 전압의 크기 및 위상을 구하고 전류 전향 보상을 통해 전압을 합성한다. 이를 통해 직류단 캐패시턴스를 수 ${\mu}F$까지 낮출 수 있어 캐패시터의 부피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최적 해 운전 시 생기는 입력 파워 리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정 파워 공급 방법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운전영역에 따른 적절한 운전 방법의 선택을 제시한다.

  • PDF

역률 개선 기능을 갖는 2상 유도전동기를 위한 2레그형 인버터 (2-Leg Inverter for 2-Phase Induction Motor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 배진한;윤덕용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4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6-11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3상 IPM을 사용하여 2상 유도전동기를 위한 2레그형 인버터를 설계하였다. 3상 IPM은 6개의 스위칭 소자를 내장하고 있어서 이중 4개는 2레그형 인버터로 사용하고, 나머지 2개는 역률제어 회로에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하드웨어의 추가를 최소화하면서 역률제어 기능을 갖는 2레그형 인버터를 구현할 수 있다. 2레그형 인버터에서는 반드시 직류링크에 2개의 커패시터를 직렬로 연결하는데, 입력 전원의 반주기 마다 각각의 커패시터에 충방전 동작이 수행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2개의 커패시터에 전압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고 커패시터 용량이 서로 다를 경우에는 이 전압 리플이 더욱 커지게 되며, 이것은 전동기에 불평형 전류를 공급하게 되어 전동기의 토크리플을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직류링크의 전압 불균형 문제가 전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전압 불균형을 보상하여 전동기의 토크리플을 제거하고 동작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이를 검증한다.

  • PDF

입력 전류 리플이 없고 낮은 스위치 전압 스트레스를 갖는 고승압 부스트-세픽 DC-DC 컨버터 (Zero-Ripple Input Current High Step-Up Boost-SEPIC DC-DC Converter with Low Switch Voltage Stress)

  • 이신우;도현락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7-118
    • /
    • 2016
  • 본 논문은 입력 전류 리플이 없고 낮은 스위치 전압 스트레스를 갖는 고승압 부스트-세픽 DC-DC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된 컨버터는 부스트 단의 보조회로에 의해 입력 전류 리플이 상당히 제거되었으며 세픽 단에 결합 인덕터를 적용하여 높은 전압 이득을 달성하였다. 또한 스위치 전압 스트레스는 클램핑 회로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따라서 상대적으로 낮은 $R_{ds(on)}$ 갖는 MOSFET을 사용하여 컨버터의 효율이 개선되었다. 추가적으로 결합 인덕터의 누설 인덕터로 인하여 출력 다이오드의 역회복 손실이 완화되었다. 제안된 컨버터는 이론적 해석과 200[V]-200[W]하드웨어 시작품을 제작하여 검증하였다.

  • PDF

3상 매트릭스 컨버터에 사용되는 옵셋전압 PWM방법과 $V_{max}-V_{mid}$ PWM 방법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Offset Voltage PWM and $V_{max}-V_{mid}$ PWM Method for 3 Phase Matrix Converter)

  • 차한주;김우중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932-93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매트릭스 컨버터의 두가지 전압 변조 방법을 직관적이고 직접적인 그래픽적 접근을 통해 비교 분석한다. 전압 변조에 있어서 옵셋전압 PWM방법은 캐리어비교를 기본으로 하여 옵셋전압을 더함으로써 전압 변조를 하고, $V_{max}-V_{mid}$ PWM 방법은 샘플링 주기내에서 한상을 고정시키고 나머지 두 상을 온-오프 하는 방식으로 전압 변조를 한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두가지 특징이 전류 리플과 스위칭 손실이고, 전류 리플과 관련해서 각변조 방법의 고조파 전압을 그래프로 그려 분석한다.먼저 출력지령전압 벡터와 각 스위칭 영역별 벡터간의 차에 의한 고조파 성분을 스위칭 한주기내에서 벡터도를 그리고, 그 다음으로 출력전압 위상각과 전압 변조율을 달리 하여 각각의 고조파 전압 그래프를 그려 비교 분석해 보았다.

  • PDF

이진 가중치 전류 제어 기법을 이용한 고속 응답 디지털 LDO 레귤레이터 (Fast-Transient Digital LDO Regulator With Binary-Weighted Current Control)

  • 우기찬;심재현;김태우;황선광;양병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154-116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이진 가중치 전류 기법을 이용한 고속 디지털 LDO(Low Dropout) 레귤레이터를 제안했다. 기존의 디지털 LDO는 일정량의 전류를 한 단계씩 제어하기 때문에 응답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며, 링잉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중 가중치 전류 기법은 링잉 문제를 제거함으로써 출력전압이 빠르게 안정화되도록 한다. 출력전압이 목표 전압에 안정적으로 도달하면, 디지털 LDO의 동작을 멈추는 프리즈 모드를 추가했다. 제안된 고속 응답 디지털 LDO는 출력 전원 전압이 급격히 바뀌는 시스템에서 응답속도가 느린 DC-DC 변환기와 함께 사용되어 출력전압을 빠르게 변하도록 한다. 제안된 디지털 LDO는 기존의 양방향 시프트 레지스터보다 면적이 56% 감소했고, 리플전압이 87% 감소했다. 제안된 디지털 컨트롤러는 $0.18{\mu}F$ CMOS 공정으로 제작되었다. $1{\mu}F$의 출력 캐패시터에서 정착시간이 $3.1{\mu}F$이고, 리플전압은 6.2mV 였다.

SRM의 정밀속도제어를 위한 순시스위칭각 제어방식 (Instantaneous Switching-Angle Control Scheme for Precise Speed Control of an SRM)

  • 안진우;오석규;황영문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20-25
    • /
    • 1997
  • SRM은 많은 장점으로 인해 각종 산업분야에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토오크리플과 소음이 교류전동기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단점이 있다. SRM은 상전류파형이 동작특성과 토오크리플발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토오크리플을 줄이고 정밀한 속도제어를 위해 순시도통각제어와 PLK제어시스템을 이용하였다. PLL의 위상검출기는 도통각제어에, 루우프필터의 출력은 순시 인가전압의 제어에 각각 도입하여 속응성을 높이고 토오크리플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정밀한 속도제어와 토오크리플 저감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배전선로 안정화를 위한 전압보상기의 무효전력 제어기법 (Reactive power Control of Voltage Compensator for stabilization Distribution Line)

  • 서정진;조종민;김영록;차한주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20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103-105
    • /
    • 2020
  • 본 논문은 저압 배전선로의 전압 조정을 위해 상태관측기와 반복제어기를 적용한 무효전력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시뮬레이션 및 실험으로 이를 검증하였다. 무효전력 보상기는 단상 풀 브리지 인버터 구조이며 전압제어 시 DC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전압 제어와 전류 제어기로 구성된다. DC 리플 보상방식은 상태관측기로 만들어낸 출력 값, DC 링크 리플 성분을 보상한 값을 전압제어기 피드백 성분으로 사용하여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하였다. 무효전력을 안정하게 주입하기 위해 기본파 성분은 PI제어기로 제어하고 반복제어기를 PI제어기와 병렬로 연결하여 저차 고조파를 보상하였다. 반복 제어기는 동기 좌표계에서 구현됨에 따라 홀수파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제안한 제어기법은 5kVar 단상 인버터 시스템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상태관측기와 반복제어기가 적용된 경우 THD가 9%에서 2%로 향상됨을 확인함으로써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3-상 클럭을 이용한 UP/DOWN DC/DC 변환기의 설계 (A Design of 3-Phase UP/DOWN DC/DC Converter)

  • 이신우;임신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II
    • /
    • pp.891-89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3-상 클럭을 이용하여 UP/DOWN 변환을 동시에 수행하는 DC/DC 변환기의 설계에 대해 설명한다. 기존의 UP/DOWN DC/DC 변환기의 경우에는 한 스텝당 변화하는 전압의 양이 많아서 출력에 수십 mV의 리플이 존재하게 된다. 이 리플을 줄이기 위해서는 L, C의 값을 크게 해 주어야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설계된 UP/DOWN DC/DC 변환기는 기존의 UP/DOWN DC/DC 변환기의 구조를 가지면서, 3-상 클럭을 이용하여 한 스텝당 변화하는 전압의 양을 작게 하여 작은 L, C의 값을 가지고도 4mV이하의 출력 리플을 갖는 안정된 전압 변환을 하도록 설계하였다. 설계된 변환기는 0.25㎛ standard CMOS 공정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구현 된 칩의 면적은 1.8 mm × 0.8 mm이다.

  • PDF

전압변조기법 변경을 이용한 유도전동기의 스위칭 손실 및 토크 리플 저감 방법 (Torque Ripple Reduction and Switching Loss Reduction Method for Induction Motors by Hybrid PWM)

  • 이성호;김솔준;이준석;이장무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9-19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유도전동기의 토크 리플 및 스위칭 손실 저감을 위해 전압변조기법인 공간벡터변조(Space Vector Pulse Width Modulation, SVPWM) 기법과 불연속전압변조(Discontinuous Pulse Width Modulation, DPWM) 기법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새로운 변조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지령전압이 최대인 부근에서 SVPWM 기법을 사용하며, 나머지 구간에서는 DPWM 기법을 적용한다. 전 구간 단일기법을 적용할 때와 비교하여 제안하는 방식은 토크 리플 및 스위칭 손실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단위 역률을 갖는 3상 BUCK 다이오드 정류기에서의 새로운 DC 리플-전압 저감 기법 (A New DC Ripple-Voltage Suppression Scheme in Three Phase Buck Diode Rectifiers with Unity Power Factor)

  • 이동윤;최익;송중호;최주엽;김광배;현동석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54-16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에서 출력전압의 저주파 리플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새로운 제어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펄스 주파수 변조 기법은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의 출력전압과 넓은 부하 범위에 대한 주 스위치의 영전류 스위칭을 보장하기 위해 적용된다. 본 논문에서 적용된 펄스 주파수 변조 기법은 일반적으로 입력전류의 낮은 고조파의 단위 역률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출력전압에서 보여진 저주파 리플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되어진다. 제안된 제어기법을 자세하게 설명하며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뮬레인션 및 실험을 통하여 검증한다.

  • PDF